::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05 20:59
에이스 결정전 음악 바뀌었네요 그러고보니. 전에는 확실히 긴장감 없었는데 이정도로 나아진 것만 해도 일단 좋은 현상이라 생각합니다.
14/01/05 21:09
너무 잘생겨서 게임을 할수 없는 주성욱 선수 크크.. 확실히 불편하겠죠. 2층부스 조금의 보완이 필요할듯.. 저런거 은근 신경쓰이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14/01/05 21:32
주성욱 선수가 쓴 빌드는 점멸로 본진 뛰고 파수기로 입구 막아서 본진 초토화시키는 전략인데
이 빌드 자날때부터 있었던 빌드였죠.(그때는 모선핵 대신 관측선이 시야를 밝혔죠) 이 빌드를 저격하는 땅거미지뢰가 신의 한수였네요. 본진 점멸을 해야하는데 땅거미지뢰가 펑하면 망이니까요;;
14/01/05 21:37
연수에다 주성욱이니 점멸할거 뻔하니 여러가지로 대비한듯 보이네요. 오늘 컨디션으로 주성욱이 조성주를 잡을거라생각한거 자체가 의문이네요.
14/01/05 21:34
지뢰 1개면 추적자 던지고 들어갈 법도 했는데... 이건 관전자의 입장이겠죠.
조성주에게서 10 이영호의 배째라 수비법이 떠오릅니다.
14/01/05 21:35
지뢰 숫자를 정확히 몰랐나요? 그냥 무시하고 올라갔어야 했습니다. 어차피 지뢰 1기로는 그렇게 엄청난 피해 나오기 힘들었을 겁니다. 모선핵만 안 잡혔으면 될 일이었죠.
14/01/05 21:51
경험도 이제 꽤 있고, 본인이 의지가 있어서 해외 대회 중계 같은 것도 개인 스트림으로 방송하는데다가, 직접 래더를 뛰기 때문에 질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14/01/05 22:06
저거 돌파하려면 지금부터 여왕 모아야 합니다. 소수 울트라리스크에다가, 엄청난 수의 여왕으로 수혈로 버티면서 돌파해야죠. 그냥 울트라리스크 쓰면 그거 다 녹습니다.
14/01/05 22:14
지금 신동원 선수는 울트라리스크만 많고, 여왕이 너무 적네요. 무리군주 운용할거 아니면, 타락귀는 좀 낭비고요. 지금은 울트라리스크+수혈이 답이죠.
14/01/05 22:33
저도 정말 걱정됩니다.
중반에 좀 더 저돌적으로 했었어야 하는게 아니었는지.. 암튼 우승자 출신이나 잘 헤쳐나오리라 봅니다.. 화이팅입니다 신동원 선수..
14/01/05 22:31
김기현 선수 진짜 제대로 이겼네요..본인도 뿌듯하겠습니다...
다만 원조 수면제인 고인규가 인정한 수면제...가 된게..크크.. 신동원 선수는 뭐 잘했습니다...다음 경기에 잘 하면 되죠 뭐.. 저는 아직도 저그가 어떻게 해야 이길 수 있었을지 모르겠습니다.
14/01/05 22:36
http://www.youtube.com/watch?v=PshsxU5CEtM&feature=c4-overview-vl&list=PLHZ-lw26q81WcB0Z4tODIHAnNtBHMmW3X
여기 나오는 첫 경기 하이라이트가 그 답입니다.
14/01/05 22:35
저그가 테란보다는 빠르게 성장하고 조합이 완성되니까, 그전에 계속 밀어붙여야 할것 같네요.
스2 에서도 테란은 테란이네요. 작정하니까 엄청 세네요 크크
14/01/05 22:35
이번시즌 프로리그 시작이 정말 좋네요 현장 관람객들도 많고 게임도 꿀잼들이 쏟아지고 있구요 흐흐흐흐
시간만 조금 조정해서 방송 끝나는 시간만 조금 앞당기면 더 바랄게 없겠는데요...
14/01/05 22:37
궁금한 게 있는데 스타2 하면은 시작할 때 일꾼들이 자동으로 일하던데 그게 대회에서도 그러는지, 프로리그에서는 저렇게 게임 로비를 만들면 일꾼이 자동으로 안나눠져서 선수분들이 일일이 나누는지 궁금하네요.
14/01/05 22:38
스2 클라이언트 설정입니다. 대회에서 굳이 막을 필요는 없죠.
정확하게 딱딱 처음부터 나눈다면 안 쓰는 것이 자원을 약간 더 먹기는 하는데 큰 차이는 아니고 실수할 수도 있어서 쓰는 선수도 있고 안 쓰는 선수도 있고...
14/01/05 22:49
이번시즌 약체로 평가받던 삼성.. 저번주, 이번주 이틀 전혀 다른 엔트리인데 승리를 거둔다면 갑자기 라인업이 두터운팀이라는 이미지가 되어버리겠네요.
14/01/05 23:11
송병구 선수 요즘 경기력은 어떤가요??
제가 요즘 경기를 못챙겨봐가지고... 저번 프로리그처럼 아직 개념이 안잡혀서 이도저도 아닌 수준인가요.. 아님 확실히 늘었는데 뭔가 조금씩 아쉬운 수준인가요... 아니면 잘하긴 하는데 운이 없는 수준?? 뭐 비슷하긴한대... 흠... 13연패ㅠㅠ
14/01/05 23:12
송병구 선수, 물론 연패할 순 있지만, 그 동안 패한 경기의 경기력들을 볼 때 한계가 보여지네요..
앞으로도 어쩌다 한 두번 이길 순 있어도, 그 이상은 힘들 것 같네요.
14/01/05 23:12
정말 마음이 아프군요..
에결에 나오지는 못할거 같고....다음 경기를 기대해 봐야 할 거 같습니다.. 송병구 선수 힘내세요....몇패를 하건 1승만 하면 또 달라집니다.
14/01/05 23:44
파이썬 토스12시 저그9시에서 상대 9풀을 프로브로 보고도 선넥했던게 허패왕 시절 모습이죠...
사실 잘 키워냈으니 성공사례지 그 당시 칸빠들은 속이 터져나갔...
14/01/05 23:24
얼마전에 겜게에서 스2 프로토스 관련 글 하고는 정반대로...오늘 프로토스는 프프전 빼고 전패할거 같네요;;
반면에 테란은 6연승 덜덜덜
14/01/05 23:27
삼성이 2연승하고 CJ가 2연패를 하나요. 삼성이 긍정적인 것은 송병구의 부진은 아쉽기는 한데 8개팀중 신구조화가 잘 되어간다는 것 같습니다.
14/01/05 23:32
지난주에는 권태훈선수가 1승을 신고하더니 오늘은 신노열선수가 1승 신고하는 그림이네요. 우승자의 클래스가 그리 쉽게는 사라지지 않는듯 합니다.
14/01/05 23:42
신노열 역시 한때 최강 우승자 다운 클래스를 보여주네요..
군락 유닛만 나오면 정말 신급을 플레이를 보여줍니다. 멋진경기 잘 봤습니다. 허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