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7/23 20:59
임프 컨디션이 좋아보이는데요? 다음경기도 기대합니다
전판도 사실 질리언이 잘 풀리게 된것도 처음 용 앞 전투에서 대승한거 때문인데... 그 상황에서 화이트 판단이 나쁜게 아닌데도 대패한 이유가 트리스티나의 중반 딜로스가 궁으로 난사하는 트위치보다 크기 때문에 크게 진거 같습니다. (원딜 성장은 비슷했음에도 불구하고..) 트위치나 코그모를 임프가 할 수 있는 상황이 된다면 오늘 하드캐리 가능할거 같습니다.
14/07/23 20:59
번외로 전 여전히 페이커랑 다른 미드들이랑 한클래스 차이있다고 보는데..특히 초중반 라인전에서
그 모든걸 무시해주게 만드는게 직스죠. 스킬사거리도 안닿는데서 직스QWE난사하면 장땡이니까요. 다데도 페이커한테 밀리는거 인정한이후부터 주구장창썼던게 직스였고 오늘 폰도 2연직스입니다. K가 직스 안쓸거면 직스 밴하면 어떨까싶네요
14/07/23 21:00
삼성이 마스터즈에서 트페로 SKT를 그냥 격파했는데.
그거에 대한 해법이 정확히 안나온건지, 스크는 지금 트페 고정밴을 하고 있죠.. 트페가 밴 당하면서 나온 삼성의 2차 해법이 직스로 보입니다.
14/07/23 21:04
밀려서 어쩔수 없이 직스를 쓴다는 거 보다
페이커가 워낙 전투 지향적이라 굳이 싸울 필요가 없다. 안 사우고 피하면 다른 라인에서 흥할꺼니 변수를 굳이 만들 필요가 없다는게 판단이고 그 캐릭에 맞는게 직스이죠. (혹은 트페) 다데는 절대 밀린다고 생각 안할껄요. 1대1 미드빵에서도 이긴게 다데인데요
14/07/23 21:00
2경기는 화이트 입장에서 평하자면
'임프가 슈퍼캐리로 멱살 잡고 중반까지 끌고 갔고' '폰이 중반 이후에 먹은 CS 바탕으로 겜을 뒤집었습니다' 그리고 1,2경기 전체에서 게임을 지배하고 있는건 페이커네요.. 2경기 막판 실수가 있긴 했지만
14/07/23 21:00
신은 페이커에게 손가락은 주셨지만 침착한 두뇌는 주지 않으신건지
아니면 아직 고등학생이라 어려서 그런건지 중간중간 슈퍼플레이는 진짜 감탄의 연속이었지만 막상 되짚어보면 안나와도될 아쉬운 장면도 많이 나왔던게 아닌가 싶어요
14/07/23 21:00
직스를 상대하려면 같은 포킹으로 가거나, 아니면 확실한 이니시 수단이 있던가 둘중 하나네요. 아니면 속도가 빠르던가.
확실한건 렝가는 아닌걸로.. 렝가보다는 차라리 자르반이 나을거 같네요.
14/07/23 21:00
페이커가 진짜 대단하긴 하네요. 오리아나를 암살자처럼 씀 크크크 근데 스크크 너무 무리하게 삼성한테 한타 안걸었으면....오브젝트만 딱 먹고 빠지면 되는 데 쓸데 없이 무리하는 느낌
14/07/23 21:01
제발 스크크 선수들 흥분하지 말고 냉정해집시다 ㅠㅠ 아 2세트 너무 아깝네요..... 삼성화이트 선수들이 멘탈을 잘잡을 여유를 줘버렸네요...
14/07/23 21:02
A, B조가 꿀조였다는 얘길 듣고 어떤 팀이 A, B조에서 탈락했나를 생각해보니... A, B조에서는 나진 양 팀이 나란히 깔아주었던가요
14/07/23 21:04
사실마지막 한타에서는 그냥 룰루 끊긴채로 뺄수있었는데
마타가 점멸 사형선고가 들어가면서 후반 캐리에 한몫했다고봅니다.. 저거아니였으면..
14/07/23 21:04
저는 임프랑 데프트가 현재 원딜 투탑이라고 보는데
안정성의 데프트, 캐리력의 임프가 아닌가 싶네요 솔직히 이런 흐름의 경기를 원딜이 역전시켜버린다는건 유일하게 임프만이 할 수 있지 않을까
14/07/23 21:07
그건 그렇고 저번시즌 NLB부터 피글렛이 코그모를 사용했는데
한번도 이긴걸 본적이 없네요--;이상하게 코그모로 흥해도 게임을 지는 상황이 자주 나오던데...
14/07/23 21:08
확실히 지금 삼화 조합에서, 스크크가 문도를 뽑으면 답이 없으니
문도 잡을수 있는 트리스타나 뽑는게 좋은 선택은 맞죠.. 스크크는 케일을 뽑아서 피글렛에 힘 한번 더 줍니다.
14/07/23 21:09
1경기부터 원딜 밴을 하나씩 하는걸로 보니 트리로 고구마랑 트위치를 둘다 잡을수 있게 준비를 해온거 같기는 한데... 이미 한번 실패한 전력이 있으니 불안불안하네요
14/07/23 21:10
그것도 있고.. 지금 삼화도 AP를 많이 뽑고 있어서 문도 견제도 겸하고 있는점도 있는거 같네요..
(실제 현 삼화 조합에서 다른 원딜 뽑으면 문도때문에 망할수도 있는 상황이라..)
14/07/23 21:10
2경기 피글렛은 임프한테 완전 밀렸는데
이번 skk 조합은 피글렛에 힘빡준 조합이네요. 이번경기 멱살잡고 캐리는 못해도 임프는 이겨야 면목이 설텐데요.
14/07/23 21:11
레넥 쉬바나는 카이팅에 허우적 댈것같고, 이렐도 순간 생각해봤지만 위험부담이 너무 크고
결국 남은건 케일밖에 없어서 어쩔수없이 케일 했는데 조합이고 뭐고를 떠나서 성능이 너무 구려졌다고 생각하기에 ㅠㅠ
14/07/23 21:12
삼성 VS 스크가 붙을때 직스가 노잼스까지 안가는 이유는
이 두팀은 '유리할때 계속 교전과 운영을 통해서 이득을 보고, 눈이 정화되는 교전을 계속 펼치기 때문에' 와와!! 하면서 감탄만 하게되고. 다른팀들이 직스를 뽑으면.. 그냥 수십분동안 싸우지도 않고 무한 파밍만하니 노잼스가 되는 차이죠.. 사실..
14/07/23 21:14
대표적인게 다데의 직스죠. 다데가 직스 골랐다고 노잼이니 이런말 안나오니깐요.
팀 간의 스타일이라고 봅니다. 그런뜻에서 SK S의 이지훈은 정말 직스 잘 다루는데 그와 반비례로 재미가... ㅜㅜ
14/07/23 21:14
사실 페이커의 최대 강점은
제드 사기요 -> 리븐으로 잡으셈 그라가스 사기요 -> 르블랑으로 잡으셈 오리아나 사기요 -> 제라스로 잡으셈 직스 사기요 -> 질리언으로 잡으셈.. 미드 오피 트랜드를 넘어서는, 그 특유의 폭넓은 챔피언 폭을 바탕으로한 실력인데. 밴카드로 삼성이 견제를 확실하게 해주고 있네요..
14/07/23 21:17
대회에서는 승률 상당히 안좋습니다만.. 선수들은 밴/픽 정말 많이 하는, 좋은 평 받는 챔프입니다.
렝가 점프 + 룰루/오리아나 궁극기 연계가 상당히 좋은 점수를 받는다고 보시면..
14/07/23 21:18
덧붙이자면 렝가의 강점은..(대회에선 필패수준이지만)
탱이 되면서, 순간 이니시가 가능한 정글러라는 점이고. '오리아나/룰루' 라는 대세 챔프와 시너지가 상당히 좋다는게 강점입니다. 단점은 너무 많이 나왔으니 패스를....
14/07/23 21:19
이번 8강전의 핵심은 피글렛의 폼이 살아느냐에 있습니다. 빛나는건 페이커지만 결국 화이트를 이길려면 피글렛이 살아나야 한다고 판단.
질리언이나 케일로 피글렛 키우기를 할려고 하는거 같애요
14/07/23 21:24
페이커선수가 수비적인 챔프를 가지고도 공격적으로 대단히 잘해서 굳이 위험한 픽을 안하긴 하는데 이렇게 팀이 말릴때는 좀 아쉽다 싶기도 해요.
폰은 1,2,3경기 여전히 4.5:5.5는 잘하고 있거든요.
14/07/23 21:27
저도... 그냥 페이커가 폰에 비해 4.5:5.5 정도의 근소 우위
나머지는 최소 4:6 최대 2:8 정도로 SKK선수들이 그냥 전체 기량적으로 밀리는 듯요.. 페이커 영고라인 입성에 박차를 가하네요
14/07/23 21:27
벤픽의키는 임팩트의 룰루였던거 같네요. 1,2경기에서 임팩트가 최근의 부진을 씻고 좋은 모습을 보여주나 싶었지만 그라가스,룰루가 없는 상황에서 정신을 못 차리네요.
14/07/23 21:31
그 트리플킬 이전 라인전도 그렇고 그후도 그렇고
라인전도 못이기고 한타 위치선정도 그렇고 계속 짤리고 폼하락이 너무 눈에 보이는데요.
14/07/23 21:35
그 이전 라인전은 솔직히 별차이 없지않나요?
오히려 쓰레쉬를통해 이니시열고 스크 봇듀오가 잘노렸죠 그상황에서 상대탑은 날라오는데 아군탑은 실수하면서 트리플킬 탑에서 케일까지 잡히면서 완전터진상태에서 그후 라인전은 당연히 밀릴수 밖에 없는거 아닌가요
14/07/23 21:39
공감하기 힘드네요 어짜피 요즘 메타에서 죽이되든 밥이되든
cs만 크게 밀리지않으면 아무 문제없고 트타 태생상 라인을 밀게되는데 정글러 불러서 오히려 잘노린거죠 요즘 선수들 cs수급능력 생각하면 그상태에서 타워끼고 cs챙긴다고 더 밀렸을거라는 가정도 별로 이해는안가네요
14/07/23 21:40
딜교환을 계속 밀려서요. hp상황이 코그모가 계속 안좋았죠. 트타한테 e-평 각 계속줘서 지속적으로 얻어맞고..
트타가 초반에 개쎄서 밀리는게 당연한거긴한데 그걸 알면 처음부터 사렸어야죠.. 몰랐을리는 없고
14/07/23 21:48
자꾸 텔포나오기전 상황의 과정만 가지고 말씀을 하시는데
고작 딜교환 조금 밀려서 타워허그하면서 클라스 비교될 정도라고하시면 드릴말이없습니다 개썌서 사린다고 사려지는게임도아니구요 흔히 랭겜에서 라인전 밀리는 아군한데 "사리면서하세요" 한다고 진짜 사린다고해결되는게 아니니까요 2경기에 임프와 피글렛 경기력 차이가 난건 분명하지만 3경기는 그냥 초반 4킬에 터졌을뿐 이정도 팀들끼리 붙었을때 초반에 터진걸로 원딜 실력 운운할 정도는 아닌거같습니다
14/07/23 21:27
각각 미드라이너에게 느껴지는 원딜들의 부담감이 차이가 나겠어요.
오리아나 때문에 코그모가 좀처럼 나와서 프리딜하기 힘들듯하고 반면에 트타는 직스의 광역딜에서 조금은 자유롭죠. 탈출기도 있고 뭣하면 룰루의 커져라도 있으니..
14/07/23 21:27
음 다른걸 다 배제 하고나서 피글렛의 움직임을 어떻게 보시나요.
개인적으로 2경기의 임프 성장의 바탕에는 피글렛이 있다고 보는데 2번의 드래곤앞 한타에서 전부 직스한테 굉장히 쉽게 딜을 허용할수있는 드래곤 둥지 안에서 딜을 하는바람에 굉장히 쉽게 움직임을 허용하고 그 두번의 싸움에서 모두 졌거든요.(두번의 싸움에서 모두 죽음) 트위치와의 2:1 에서도 스펠 아끼면서 동시에 죽으면서 오히려 손해를 봤거든요. 1-2 경기에서 정글싸움은 쎄미 싸움으로 봤을때 미드는 둘다 평타를 친셈이면 저는 피글렛이 굉장히 아쉽다는 느낌이거든요.
14/07/23 21:32
그건 잘모르겠고 이선수가 뭔가 예전같은 느낌이 없습니다. 몇일전에 리뷰글이었나 플레이 스타일이 공격적으로 바뀐게 아쉽다고했었는데...
한타에서 포지션이 좀 안좋습니다. 아니 좀이 아니고 많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