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6/17 17:20
픽밴 거지같이 해놓고 얼만큼 거지같이해도 이길수있는지 확인해보는건가요?
하다하다 그런 말도안되는생각까지 듭니다. 오늘은 더 이상해서..
16/06/17 17:24
블라디 선픽보고 막픽으로 뽑은 미드가 룰루인데다가..[...]
원딜은 이즈상대로 진 픽하고.. 탑은 스웨인이라 딱히 이니시도 안될거같고... 그냥 무난하게 후반가면 노딜조합될거같은데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딱히 초반에 강점있거나 그런조합도 아닌거같고요.
16/06/17 17:26
오늘 SKT 조합이 이번 섬머 시즌에 보였던 조합 중에서 가장 최악 같은데 이걸로도 이기면 할 말이 없지만......
이거 지면 좀 꺄여야 한다고 봅니다. 아무리 자기들 실력에 자신이 있어도 오늘 조합은 전혀 이해하기 힘드네요.
16/06/17 17:31
크크크크 진짜 이게 뭔가요. 제가 롤알못이라 픽을 이해를 못하는건지
아니면 그냥 순수 실력차로 찍어누르는건지 모르겠네요.... 그냥 생각을 포기하겠습니다
16/06/17 17:32
전령 효과는 이렇게 금방 빠지나요? 페이커가 먹은지 얼마 인된거같은데.. 게임 안한지 일년이 넘었는데 시합만 챙겨보니 기본적인걸 모르겠네요
16/06/17 17:48
이번판은 사실상 힘들어졌네요. 조합상 원래부터 후반 가면 거의 이기기 힘든 조합이었는데 미드 앞에서 참사가 너무 컸어요.
페이커도 혼나야겠지만 이번판은 꼬치가 아무리 생각해도 잘못했다고 봅니다. 선수들 의견 고려해서 조합 짠거라고 해도 이건 좀 너무하지 않나요.
16/06/17 17:50
무근본조합의 말로 크크크크 그래도 그 쓰로잉 아니었으면 저 스웨인이 룰루궁이나 나미 CC를 받고
진의 지원사격까지 더해질거라 보면 납득이 안가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쓰로잉 한방에 기세가 바뀐게..
16/06/17 17:51
이번 세트 슼의 문제점은
1. 무근본 픽조합도 정도가 있다 2. 페이커 치명적인 쓰로잉 3. 전체적으로 적중률이 좋지 않았던 cc 연계
16/06/17 17:52
조합 얘기하기엔 룰루 점멸 한방과 그때 블라디 슈퍼 플레이없었으면 몰랐을 게임이죠. 이건 쿠잔이 너무 잘한거지 SKT는 룰루 점멸 한번 빼면 다 잘한거 같은데
16/06/17 17:59
그 전에 슈퍼플레이만 여덟판을 했는데 한 경기 하드쓰로잉 하면 끝난겁니까? 그럼 다음판에서 잘하면 뭐, 다시 시작하는거에요? 퇴물이라는 단어에서부터 참 어이없는 분이네요.
16/06/17 17:53
그냥 하드쓰로잉에 진거지 조합은 별로 문제가 없어보이는데요. 김정균 코치 인터뷰도 그렇고 SKT는 그냥 원거리 메타에서 상대가 강제 이니시 약할 때 최적 조합이 이거라고 생각하는 것 같구요.
16/06/17 17:56
근데 만약 정규시즌까지 무실세트로 정규시즌 우승을 차지했지만.. 결승전에서 3:0으로 준우승을 거두는 경우는 진짜 마른하늘에 날벼락 맞는 확률보다 낮겠죠?
16/06/17 17:54
사실 페이커가 무리만 안 했어도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경기였고
솔직히 SKT가 스노우볼 굴렸을 것 같긴 한데.. 내가 써서 이기면 그게 곧 메타는 맞는 말이지만, 어쨌든 무근본 조합이라는 게 한번 실수하는 순간 답도 없어진다는 걸 보여준 경기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한국은 왜 특이픽, 도박수 잘 안 나오고, 정석픽을 선호하는지 또 보여준 경기가 아니었나싶구요
16/06/17 17:56
맞습니다. 사실 조합픽 탓하기에는 쓰로잉이 지나치게 컸고 오히려 교전에서 너무 나사빠진 플레이가 많이 나온게 패인이지만, 불리할때 그만큼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불안요인은 있죠. 근데 뭐 이게 핵심은 아니라...
16/06/17 17:55
SKT에겐 조합 문제 이전에 실수 연발이 패배의 가장 큰 요인이죠.
중반 미드에서의 치명적인 실수가 없었다면 SKT가 준비한 그대로 경기가 흘러가서 승리로 마무리 지었을 겁니다. SKT는 원래 실수 없이 제 실력 다 살려서 경기하는 것이 모토인 팀이고 이정도 레벨의 팀에게 애매한 조합이란 비판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16/06/17 17:55
시즌 진행하면서 언제까지 이길수 없다는 것도 그렇고 한세트 정도는 언젠가 질거라 알고는 있었는데 이번판은 진짜 그 조합으로도 이기고 있던 게임을 미드 쓰로잉 때문에 완전 말아먹은거라...꼬치 입장에서도 충분히 빡칠만 하다고 봅니다. 저라도 열받았을 것 같아요.
16/06/17 17:56
무슨 마법사 리메이크 직후엔 블라디, 카시, 스웨인 승률이 나란히 밑에서 1, 2, 3등 하고 있는 걸 게시판에서 본 기억이 있는데 이젠 블라디는 진짜 미드 1티어 챔프가 된 거 같네요...정말 신기합니다...
16/06/17 17:57
그나저나 페이커 이지르도 존야 안가서 욕한번 심하게 먹고 대각성 했는데 쿠잔 블라디도 존야 안가서 욕먹더니 이후에 대각성...
16/06/17 17:58
진에어가 중반부터 상당히 유리해 보였는데.. 해설은 별차이 없다는 식으로 말하네요.
skt가 나름 잘 막으면서 주도권 최대한 안뺏길려고 했지만.. 어짜피 오브젝트 한타에서는 진에어가 자신 있어서 무리하게 안하고 안전한게 한거 아닌가요? 조합만봐도 서로 사고없이 똑같이 크면, 미래는 진에어가 훨씬 좋아 보였는데.. 바드 궁 하고 진의 점멸 교환했을때의 멘트도 공감 안가고.. 오늘 이상합니다.
16/06/17 17:59
이게 SKT라는 가중치가 붙는 중계가 아니었나요?
SKT는 약간 불리해도 역전을 잘해내는 팀이니.. 별차이 없다는 식으로 중계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16/06/17 17:59
사고없이 크면 진에어가 훨씬 좋은 조합이었는데 김동준 해설이 진에어가 당장이라도 뒤집지 못하면 망하는 것처럼 얘기를 하더군요. 이건 좀 어이없었습니다
16/06/17 17:59
예전에 해설진분들이 말한적이 있지만 각팀의 전력을 고려해서 어드밴티지를 주는 경우가 있다고 했죠. 방금 경기도 바론쪽 한타대패+바론까지 내준 상황 이전에는 skt의 컨셉이 망가진 건 아니었으니..
16/06/17 17:59
롤챔스 2위 팀에 대한 기대치에 걸맞는 운영은 아니었으니까요.
2차 타워 민 팀이 상대 정글 와드를 전혀 못하는 움직임은 굉장히 소극적이고 강팀다운 모습이 아니었죠.
16/06/17 18:00
저도 3킬 이후 끝난겜이라고 봤는데... 블라디 그냥 답도 없었죠.
블라디 없는데서 득보니까 SKT가 할만해보인거지 합류하는 순간 지옥행
16/06/17 18:04
투텔로 한타 안붙으면서 질질 후반끌고갈수 있으니까요. 후반에 다 풀코어붙고 한타하면 모르는거고. 실제로 진에어가 운영실수로 3천골드의 이득을 그냥 없애버리기도 했고.
16/06/17 18:06
페이커는 세체미라도 되지 하위권팀 미드 비디디도 CJ가 지면 어떻게든 모든 잘못을 다 비디디탓 하는 사람 많던데요 크크 롤팬들 패시브인듯
16/06/17 18:00
진에어 이 기세를 타고 오늘 경기 이기길 빕니다..
근데.. 진에어 스프링때도 1라운드에서 SKT를 2:0으로 잡은 전적이 있는데.. 과연 이 기억을 통해 이번에도 2:0으로 SKT를 잡을지..
16/06/17 18:01
진에어가 단점도 많은 팀이긴 하지만
감잡았을 때 스로잉은 제일 적은 거 같긴 해요 어떻게 보면 과감하지 못해 답답한 구석은 있지만 괜히 그러다가 스로잉이 되는 팀보단 나을 때가 있습니다.....킅..이놈들..
16/06/17 18:03
제가 아프리카 팬이라서 몰라도.. 이 패시브가 저번 스프링 시즌때 와카전에서 이게 통해서 아프리카가 탈락을 해서.. 패시브가 강한것 같애요.,
16/06/17 18:03
최감독이 SKT 1강이라고 자신감 있게 인터뷰를 했던데(물론 동의합니다만...) 이런 무근본 조합으로 지게 되면 오만함 있나 싶은 마음이 안 드는 게 아니네요.
16/06/17 18:04
슼의 2세트 밴픽 대응도 그렇지만, 인게임에서 리커버리를 냉정하게 잘할지 궁금하네요. 페이커'만' 흔들린거라면 걱정이 덜하겠지만 은근히 봇듀오 스킬 상태도 이번 시즌 들어서 제일 안좋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페이커가 던지자마자 더 급속도로 무너진거 같은 느낌도 있구요.
16/06/17 18:10
네 그리고 16강이 2전제였을 시기라서 무승부도 나올 수 있었던 시기였죠. 16강 2 대 0 x 3 / 8강 3 대 0 / 4강 3 대 0 / 결승 3 대 0 그래서 15세트 연승으로 전승우승이었습니다.
16/06/17 18:10
아 생각해보니 당연히 무실세트겟네요. 토너먼트에선 원래 우승팀이 승부자체는 전승해야지 우승하는게 당연하니까요. 무실세트였어서 전승우승이라고 불렀습니다.
16/06/17 18:10
요즘 게임은 거의 안하고 리그만 봐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탑 트런들이 그렇게까지 좋은지 모르겠네요. 상대 탑 안보고 선픽 박을 정도는 아니라고 보는데 SK가 유독 선호하는 픽 같아요.
16/06/17 18:11
탑 대세가 탱커에서 딜탱으로 이동하고 있고 딜탱 상대로 트런들은 굉장히 좋은 픽이죠. 물론 탱커 상대로도 좋긴하지만 한타 기여도에서 밀린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딜탱 상대로는 아예 씹어먹는게 가능하다보니
16/06/17 18:12
솔랭이면 아지르 진이 같이 나오면 나미 같은거 하면 망하는데... 팀적으로 커버가 될지 라일라이 나오면 걍 돌아다니지도 못하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