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6/24 17:36
근데 만약 에버가 삼성마저 잡아내면..
케스파컵에서 이겻던 팀을 다시 롤챔스에서 이기고 있는데요.. 16강 삼성(아직 경기중) - 8강 아프리카 (승리) - 4강 SKT T1 (경기 미 진행) -> 결승 CJ (승리)
16/06/24 17:37
지금까지는 이거 무조건 키 알리스타 mvp인데..
w 점멸 q라는 신박한 콤보로 4인 띄우는 플레이는 정말 미쳤다라고밖에 크크크
16/06/24 20:56
몇 년 전에 메라가 w로 하나 밀어서 3명 있는 곳에 보낸 뒤에 점멸 q로 다 띄우는 거 보고 소오름 했었는데... 그야말로 종교였죠...
16/06/24 17:50
에버도 슬슬 반동하는 느낌이네요. MVP도 그렇고 2라운드가 기대되네요.
1라운드는 LCK 맛뵈기 단계였고.. 이 기세면 5위는 충분히 노려볼법도 할것 같네요
16/06/24 17:55
에버는 마지막 경기가 티원임을 고려하면 이번 경기 이기면 3/6으로 마칠테고 MVP는 4/5나 5/4도 가능해보입니다. 크크
16/06/24 17:56
모르죠 이기세를 바탕으로 지금 케스파컵을 이긴 팀을 그대로 이기고 있어서 T1도 이길 수도 있어요..
4강에서 이미 이겨본 적이 있어서..
16/06/24 17:59
근데 지금 냉정하게 보면 탑이 센 팀한테는 다 지고 그나마 탑 약한 팀한테는 다 이기는거 같은데 그렇게 치면 티원전은 떡실신 당할 가능성이 커보여요... 그땐 마형이 마음이 딴데 가있었는데 지금 듀크는 칼갈고 나올거 같아서
16/06/24 18:03
이상하게 롤챌스 출신 팀들 미드가 바루스를 참 잘허네요. 탬트 이안 둘다 바루스가 명품입니다. 물론 mvp는 키 알리스타.
확실히 승강전 올라온팀들이 잘하니 꿀잼리그네요
16/06/24 18:04
지난 시즌 챌코 보면서 케이틀린 바루스 니달리만큼은 챌코팀이 어지간한 LCK팀보다 훨씬 잘한다고 봤는데 증명해줘서 기쁩니다.
16/06/24 18:05
요즘 노잼스란 말이 나오는 이유가 역전도 잘 안일어나고 경기가 너무 일방적입니다.
오늘 경기도 사실상 5킬 나온 시점에 끝났다고 봤는데 이후에도 별 교전 없이 10여분이 흘러가고 기껏 킬이 나온 시점에선 제대로된 한타가 아니라 일방적인 학살이더군요. 스포츠의 묘미가 반전과 역전으로 스릴이라면 요즘 롤챔스는 짜여진 각본에서 벗어나질 못하는 것 같습니다. 롤챔스 즐겨보시는 분들은 오늘 20분 전에 승패가 결정났다는 걸 아셨을 겁니다. 이러한 양상이 자주 나오는 걸 보아 팀들의 문제가 아니라 라이엇 패치의 문제가 크다고 보여지네요
16/06/24 18:07
죽어도 불리하면 이니시 안거는 쫄보 운영 + 바론 3분 30초
이 두개가 만나니까 답이 없네요 바론이 세면 바론전에 게임을 뒤집을 생각을 해야 되는데 아몰랑 다줘하면서 다내주는데 그러다 바론버프 3분 30초동안 회생불능까지 쳐맞는거죠.
16/06/24 18:10
개인적으론 바론시간 증가가 역전불가에 가장 큰 요인인것 같고
용 젠 시간이 늦어서 용 먹고 5분간 라인운영하면서 타워 칠때 치고 빠질때 빠지는 운영이 모든 LCK팀이 다 좋아서 그런것 같네요. 타워도 오브젝트지만 라인관리 능력들이 전부 출중해져서 변수가 있는 오브젝트 싸움이 용 말고는 크게 일어나질 않는 느낌이에요. 전령은 1회성이고요. 용이 좀 더 자주 젠되서 라인운영할 타이밍을 더 적게 주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16/06/24 18:05
삼성 패치 적응 완전 망했네요. 그동안 부진하던 탑솔들 이번 패치로 반등의 기회 얻었는데 큐베는 전혀 반등없고. 본인 성장 위주 플레이는 여전한 엠비션. 선수 하나하나가 문제가 아니라 너무 픽 플레이가 안 변해요. 우리는 무조건 정석조합만 간다. 운영싸움 가자. 상대팀들도 엄연한 lck 팀들인데 이걸 카운터 못 칠리가 없죠. 이제 슬슬 다른 팀들이 답을 찾아가는 느낌이에요. 정석 위주로 운영 싸움을 가는 팀 상대로는 초중반 주도권 쥐는 픽 아니면 cc도배 되어있는 조합골라서 유리한 타이밍에 이득 보고 오브젝트부터 소규모 국지전까지 끊임없이 스노우볼 굴려요. skt도 그렇게 당했고 진에어도 그렇게 당했고 삼성도 그러하듯이요.
16/06/24 18:06
비빔메타가 사라져서 좀 그렇네요. 초반 승기 잡은 팀이 그냥 쭈우욱 밀고가니까.. 그렇다고 두 팀 사이에 전력차가 큰 것도 아니고 말이죠.
LCK는 승기잡았을 때의 운영에 극에 달한건가.
16/06/24 18:08
운영이 극에 달했다고 봐야죠..
어느팀이 말했는지는 기억이 잘 안나는데.. 중국 쪽은 승기를 내줬다 하더라도 역전하기 쉬운데.. 한국 팀들과 하면 역전하기가 진짜 어렵다고 하더라고요..
16/06/24 18:09
승기잡았을때의 운영 잘하는것도 잘하는거지만 지고 있을때 아무것도 안하는 습관이 몸에 밴거죠.
해외팀들 무적모드 SKT한테 질때 보면 라인전 떡실신당함 -> 그래도 모여서 싸우는데 쳐발림 -> 그래도 또 모여서 싸우는데 또 쳐발림 -> 패배 이렇게 지는데 국내팀들이 무적모드 SKT한테 질때 보면 라인전 떡실신당함 -> 타워 주자 -> 용 주자 -> 바론 주자 -> 억제기 주자 -> 넥서스 주자 이렇게 지는거 보면 똑같은 패배지만 솔직히...
16/06/24 18:09
아 그리고 삼성은 코치들 선수들 전부다 큰 착각하는게 큐베가 소위 말하는 캐리력 있는 챔프(피지컬이 필요한)잡으면 캐리 할거라고 생각하는거죠. 이 선수 이렐, 피오라, 에코 등 피지컬 필요한 챔프를 나머지 픽들(마오카이 등등) 보다 좋아하는데 정작 정글이 안봐주는데 그런픽 왜하죠? 안 망할수가 없는 상황들 연속인데. 설령 커도 이니시나 텔포 활용 보면 이 선수 탑으로서 역량은 좋게 봐도 하위권인데. 본인이 자기 상황을 냉정하게 판단하고 픽 플레이 했으면 좋겠네요
16/06/24 18:12
근데 이거 영자막 붙이는 분 누군가요?
문법적인 오류야 둘째치더라고 점멸을 flesh라 하지 않나 뽀삐는 Pope라 하지 않나... 눈을 의심했다는;;;
16/06/24 18:17
아 삼성도 수요일날 아프리카처럼 신예선수들을 첫 경기에 내보내고 이기면서 바로 담세트에 교체해서 승리해서..
용병술의 대가처럼 보이게 하고 싶은데.. 자꾸만 실패하네요..
16/06/24 18:15
그래도 코어장전 선수 자꾸 지고 교체당하더라도..
아프리카의 예도 있듯이 아프리카도 자꾸 지다가 한번은 이기는 경우가 있으니 실망하지 말고 더욱 노력하시길 빌게요..
16/06/24 18:16
아니 1경기 또 코어장전이였나요? 삼성 왜 그러나요. 진짜... 왜 맨날 굳이 험한 길을 가는지...
삼성 세트 득실때문에 저번 시즌 힘들었던거 기억안나나요? 더군다나 지금은 시즌 초반 좋았던 분위기 다 깨지는 중인데..
16/06/24 18:16
아.. 빌어먹을 민방위 이제 끝났네요. 세상 쓰잘떼기 없는듯..
그나저나 1세트 의외로 에버가 압도적이었나 보군요. 코장이 또 안좋았나요?
16/06/24 18:18
엠비션은 탑라이너를 블레이즈때 헬리오스 격으로 생각하는거같은데
제발 탑이 아니라도 다른라인이라도 갱킹 한번 하는거 보고싶네요 캐리형정글 메타가 지나간지가 언젠데
16/06/24 18:19
터질 거품이 터지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각 팀들중에서 탑, 정글간의 조합이 약했던 팀들이 있고 게임의 흐름에 따라서 터지는 것이라고 봐야겠죠. 딱 봐도 CJ가 꼴찌인 것은 당연한 것이고 탑솔을 밀어주는 운영이 주가 아닌 진에어나 삼성 같은 팀들은 손해를 봐야죠.
16/06/24 18:43
클템이 말한 쉔을 파서 다이브해서 계속 죽이기는 쉔이 바뀌어서 힘들어죠 예전에는 1렙 w가 쉴드량이 많아야 5~60이었는데 지금은 평타를 2번을 씹는데 초반에 스킬딜도 없는데 다이브를 어떻게 해서 잡습니까 아까 이렐 렉사이 다이브했다가 뒤지는거 못봤나요
16/06/24 18:48
이번판도 지난경기처럼 그냥 거의 퍼펙트 나오는 게임인데 딱 하나 삼성이 기분 나쁜건 드래곤이네요 대지 화염보단 2바다가 월등하게 좋은데
16/06/24 19:13
코장 있을때랑 레이스 있을 때랑 엠비션 동선을 받쳐주는 안정감이 차원이 다른데 굳이 레이스를 빼서 세트를 자꾸 내주는건 뭔가요. 삼성 저번 스플릿도 승점이 아니라 득실차이에 밀려서 플옵 못간걸로 아는데...
16/06/24 19:14
코장을 자꾸 내보내는 이유가 경험을 쌓게 하면서 상대팀으로 하여금 헷갈리게 하려는 것 같은데..
SKT 나 아프리카나 락스는 다 성공하는 것 같은데.. 삼성은 계속 실패하니.. 참 식스맨이 어려운 것 같네요.
16/06/24 19:22
그나저나 이번 서머 롤챔 미드 OP는 그냥 르블랑이네요.
페이커가 요근래 레드사이드에서 먼저 선픽했다가 터진거 빼면. 사실상 전승 카드네요. 스프링땐 르필패 소리 들었는데 텔블랑이 유행하면서 크크
16/06/24 19:23
코장이 실패하는 이유는 이러나 저러나 지금 삼성의 조타기를 잡는 선수는 앰비션이고, 앰비션의 항법이 가진 리스크를 레이스는 잘 커버해주는데 반해, 코장은 다른 플레이는 어떨지 몰라도 이 역할을 레이스만큼 해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삼성의 최후의 한 조각을 맞춰주는 게 앰비션이고, 앰비션의 최후의 한 조각을 채워주는 건 레이스.
16/06/24 19:24
음 템트가 라이즈하는 모습을 거의 보여준적이 없어서 탑일줄 알았는데 이렐을 뽑는군요 뭐 라이즈 자체가 탑보단 미드에서 훨씬 강한 모습을 보여주긴하지만
16/06/24 19:40
근데 참 뭐라고 말하기 그런 게 초반에 무너지는 건 초반에 무리를 해서인데 무리를 안 하면 경기가 재미없고 무리를 하면 게임이 확 터지고....
16/06/24 19:42
축구로 치면 10백쓰면 재미가 없고 그렇다고 라인을 끌어 올리면 뒤가 털리는 거라.. 그냥 적절히 잘 하면 좋겠지만 모든 팀이 그럴 수도 없긴 하죠 ㅜㅜ..
16/06/24 19:52
6.13 패치되면 조금은 나아질듯싶습니다. 1~9렙 챔피언처치 경험치 하락하고 레벨차 많이 날때 미니언 경치 상승하는 범위 좁히고. 초반 스노우볼 약화가 어떤 결과를 낳을지.
16/06/24 19:54
이게 뭔가 하나씩 돌아다니는 챔프가 있으면 끊어먹을 텐데 삼성이 집요하게 1/3/1을 하고 있어서.. 3쪽은 물어도 그라가스 술통 던지면 진형 붕괴되면서 시비르 R로 유유히 살아갈 거구요.
16/06/24 19:57
그리고 늘 느끼는 거지만 그라가스가 나오면 R의 압박때문에 사거리 짧은 챔프들이 몸을 사려야 되요. 특히 라이즈같은 챔프는 딜을 할 수가 없죠 도무지.. 근데 지금 라이즈가 딜을 안 하면 에버는 이길 수가 없어요. 이렐도 딱히 딜이 센 상황이 아니고 엘리스는 방템 위주 세팅이고..
16/06/24 19:57
이렇게 되니까 1경기때 왜 코장을 쓴건지 더 이해가 안가네요.. 당장 아프리카한테 득실차 밀려서 포시 고배 마셨던게 저번시즌이었는데.
16/06/24 20:00
식스맨 써볼 수도 있죠. 상대적으로 약팀과의 경기라고 판단되면.. 그런데 문제는 레이스가 삼성에서 차지하는 지분이 너무x8 크다는 겁니다. 개인적으로 삼성의 레이스는 다른 선수로 대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룰러 대신 스티치는 기용해볼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16/06/24 20:06
왠지 경기 초반 클템이 했던 80분 경기 드립이 생각나네요. 삼성 이렇게 유리한데 설마.. 어제 프나틱 급으로 경기 던지나요?
16/06/24 20:11
<중간 순위>
순위-팀명-승-패-세트 득실 1위 ROX Tigers 6승 2패 +5 (12 - 7) 2위 Samsung GALAXY 6승 3패 +4 (12 - 8) 3위 SK telecom T1 5승 2패 +7 (11 - 4) 4위 kt ROLSTER 5승 2패 +6 (11 - 5) 5위 JIn AIr Green Wings 5승 3패 +2 (10 - 8) --------------------------------------------------- 포스트 시즌 6위 MVP 3승 4패 -1 (7 - 8) 7위 afreeca Freecs 3승 4패 -2 (6 - 8) 8위 LONGZHU 2승 5패 -4 (6 - 10) --------------------------------------------------- 승강전 9위 ESC EVER 2승 6패 -6 (6 - 12) 10위 CJ ENTUS 1승 7패 -11 (4 - 15)
16/06/24 20:14
일단 만약 남은경기에서 롱주마저 지면 강등권 싸움을 CJ 에버 롱주 삼파전으로 싸울 것 같고
롱주가 이기면 CJ 에버가 나란히 승강전으로 갈 것 같습니다.
16/06/24 20:15
삼성의 코어 플레이어는 크라운과 봇듀오인데 코장을쓴다는건 겜이길 의지가 없는거죠 특히나 레이스는 지금 3손가락안에 들어갈만한 서포터인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