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13 15:52
종이돈 자체로는 추적은 힘들지만 결국 세탁된 종이돈을 주고받는건 [사람] 인거고,
주고 받는 사람들의 금융활동내역 등을 정부기관에서 추적하고 파다보면 범죄수익인지 아닌지 알아낼수있는데 거기에 안걸리게 작업해놨다 정도로 퉁치는거죠.
25/10/13 16:06
현실에서 취등록세 내는 물건(집,차)은 못사긴하죠.
본인사업장차려서 한번더 세탁하거나 로또 당첨권을 웃돈얹어서 사거나.. (로또 판 사람도 다시 현금 출처를 만들긴해야겠네요..)
25/10/13 16:47
질문에 부합하는 답변은 아니지만 금융위 블로그에 자금세탁에 관한 글이 있네요.
https://m.blog.naver.com/blogfsc/50146157715
25/10/13 16:54
쓰는쪽도 그런돈은 어차피 마트가서 쓰고 백화점가서 쓰고 은행넣고 그런개념 아니죠. 유흥가서 현금 몇천 쓰고가고 비합법적 물건 거래할때 통으로 넘기고 도박판가서 쓰고
+ 25/10/13 17:25
세탁이라는게 개념이 문제가 있는 일련번호 추적이 가능한 돈 현금을 그대로 주는 개념이 아니라 이곳저곳 돈을 돌려서 일련번호가 맞지 않는 것들로 다시 채워서 주는걸 세탁이라고 표현하는거 아닌가요?
요즘같이 소득에 대한 증빙을 해야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그냥 돈 쓰면 되는걸로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 25/10/13 17:46
니가 현금으로만 쓸꺼면 세탁된 돈이야고... 그걸 입금하는건 다른 얘기죠.
그래서 로또 1등 복권이 더 비싸게 팔리고 (그건 출처까지 댈 수 있는 정말 깔끔한거니까. 물론 세금내야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