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8/31 10:08
저 어제 CPA 발표났는데..
합격했습니다. 요즘에는 불판에 예전에 오시던 분들 많이 안 오시지만 그래도 공부할 때 심심함을 달래주던 불판에 좋은 소식을 알리고 싶어서 글 남깁니다. 불판이 다시 살아났으면 좋겠어요. ㅠ_ㅠ
12/08/31 11:01
큐피알 전담회계사 등록 축하드립니다.
합격하셨으니 하는 얘기지만 불판에서 놀면서 합격하시다니... 공부하는 머리를 갖고 계셨군요 ^^ 앞으로 재무제표 의심가는거 있으면 종종 쏴드리겠습니다. 감사의견 거절은 네이버;;;
12/08/31 11:07
집에 TV가 퍽하는 소리와 함께 장렬히 산화한 뒤로
(TV 엔진이 고장이라던데.. TV에도 엔진이라는 부품이 있다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 집에 새로 들여올 TV를 알아보고 있는데요, 역시 TV의 양강 삼성과 LG TV를 아버지께서 좀 알아보라고 하시는데.. (LED TV로요) 3D 기능은 하루이틀 쓰고 나면 안 쓸거고.. 화면은 비슷비슷한 것 같아요. 가서 보고 어떤 화질이 더 좋은지 알아봐야 할 것 같고.. 뭐 딱히 봐야할 점이 있을까요? P.S. 인터넷 보니까 TV는 화면 큰게 장땡이라고 PDP TV로 화면 큰 걸 사라는 얘기도 있던데 이것도 고려해 볼 만한 옵션일까요..?
12/08/31 11:38
가전제품은 그냥 많이 사는거 사는게 무난하게 좋은 것 같아요. 딱 하이엔드 보다 하나 아래 정도 등급 정도로.
대신 크기가 중요한데, 역시 집크기와 관련이 있죠. 40평대 이상이면 50인치대, 그 이하이면 40인치대가 좋긴 한데.. 이것도 사람마다 편차가 있어서.. TV같은 가전제품은 특히나 매니아 의견은 적당히 가려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어짜피 사면 뒤도 안돌아볼 제품이므로..
12/08/31 16:29
시경님 제가 최근에 TV를 바꿔서 많이 알아봤습니다.
지금 시점에선 그냥 삼성 LED 8000 시리즈로 구입하시면 됩니다. (46인치랑 55인치가 나오든가 그렇습니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아니고 쪼금만 설명을 더 드리면요, 저런 고급 tv 구입하셔서 그냥 두시는 건 Zel님 말씀대로 비용대비 효율이 떨어집니다. 캘리브레이터를 부르셔서 집 환경에 맞추어서 색 밸런스를 맞추세요. 아니면 매니아들 가는 사이트를 검색해보시면 권장 설정치가 나옵니다. 그것들을 적용해 보셔도 되시구요. 고급 tv 써보니 이런 거 구입하는 이유가 다른 거 없고 세팅이 세밀하게 조절되냐 아니냐 그 차이가 제일 크더라구요. 그러니 반대로 말하면 이런 셋업을 하지 않으실 거면 이런 상위모델은 크게 의미는 없다는 얘기도 되죠. 전 10만원 들었는데 돈이 아깝지 않습니다. 정말 집이 영화관 됩니다. 집에 오는 사람마다 다른 건 말 안해도 tv 잘나온다는 소리 듣고 있어요. 그리고 합격 축하드립니다^^
12/08/31 13:02
시경 님 축하드리면서, 새삼 느낀 건데, 주식 불판이 피지알 자게2 같은 기분입니다. 여기 오시는 분들이야말로 서로 훈훈하게 잘 해주시는 듯 :)
12/08/31 14:14
일본에선 삼성 손을 들어주는 판결이 나왔네요.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685851&g_menu=020800 바운스백 특허에 대한 판결이 남아있다지만.. 이건 이미 우회기술이 적용된거고.. 삼성이 애플 상대로 소송건거에서 삼성에게 승리를 안겨줄지가 관심이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