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3/29 18:31
땅거미 지뢰 합류해서 압박했지만 미리 나와서 땅거미 지뢰만 잡아내니 역시 광자 과충전이 걸린 연결체 앞에서 해병만으로 진군하는 것은 무리죠.
13/03/29 18:32
생각보다 많이 강합니다. 사거리가 무척이나 긴데(정확히는 기억이 안 나는데 공성 모드 수준일겁니다.), 공격력이 20이나 되죠. 60초 지속이고요.
13/03/29 18:34
프로토스가 거신을 너무 쉽게 잃었네요. 입지 말아야 할 피해를 입고 있어요. 이게 막힌다 해도, 어차피 테란은 제2확장 돌아갑니다. 거신조차 안 쌓이는데 테란이 불리할 점이 없습니다.
13/03/29 18:36
막긴 막았는데, 제2확장 따라가야죠. 소모전해서 자원도 없는데다가 특히 가스는 진짜 부족하죠. 이 상태에서 자원 우위인 테란 병력 상대로 막기도 힘들고, 고위 기사나 거신을 어느 정도 확보하는 것도 매우 어렵고요.
13/03/29 18:54
제가 아직 잘 몰라서 그러는데 한가지 여쭤보겠습니다.
테란은 어느 종족을 상대하건 의료선을 필두로한 견제플레이가 필수인거 같던데 그럼 후반에는 어떤 조합을 짜게 되나요? 토르, 밤까마귀, 전순 이런게 .. 쓰이나요? 하이라이트에선 몇번봤는데 실제로 본적이 없어서요.. 그리고 밴시 요새도 자주 쓰나요? 저그전에 자주 썼던 기억이 나는데..
13/03/29 18:57
후반에도 토르나 밤까마귀 소수 정도가 아니면 여전히 해병, 불곰, 의료선, 땅거미 지뢰입니다. 전투순양함은 프로토스전에서 쓰면 자살 행위에 가깝습니다.
13/03/29 19:00
DMZ의 경우에는 사신이 들어갈 통로가 앞마당을 통한 길 하나 밖에 없는데다가, 의외로 8가스 확장까지 매우 가깝고 지키기도 쉽죠. 무엇보다 의료선 막기에는 동선이 매우 짧습니다. 제 생각에는 저그가 꽤 좋은 맵 같네요.
13/03/29 19:02
의료선으로 별 피해를 못 주면, 이미 저그가 8가스까지 무난히 가져가고 견제했어야 할 화염차와 사신은 아무 것도 못하고 다 잡혔죠. 저그가 유리하다고 봅니다.
13/03/29 19:12
그런데 생각해봐야 할 점은 오히려 중앙 확장이 금방 마르기 때문에 저그보다 테란이 자원줄이 더 금방 바닥날 수 있습니다. 슬슬 테란 인구수가 180을 못 넘고 있어요.
13/03/29 19:19
땅거미 지뢰를 저렇게 다수를 대놓고 배치하는 경기도 처음 보네요. 천공 발톱 연구를 빨리 하고 저리 방어선으로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13/03/29 19:19
전 지금까지 2군수2반응로에서 4지뢰씩 찍었었는데 이제 3지뢰씩 찍어야겠네요. 지뢰 다수 쓰는거 정말 괜찮습니다.
인터페이스가 좋아서 시프트E로 지정 심기가 가능해서요.
13/03/29 19:18
중반까지 의료선 견제를 정말 완벽하게 막았는데, 저그가 후반에 공격적으로 나가면서 중앙 확장이 아니라 너무 테란 쪽 본진으로 몰아붙이면서 그 사이에 견제에 너무 휘둘렸네요. 하다 못해서 추가 확장 하나 더 가져갔으면 저그가 그렇게 밀리진 않았을 것 같고요. 무엇보다 마지막 교전 때 군단 숙주 동원 안 한것도 크네요.
13/03/29 19:18
울트라를 허투루 쓰게되면 저렇게 되는 게임양상이 요즘 자주 나오는 것 같네요. 테란이 지뢰오닉을 많이 써서 울트라 나왔을때가 타이밍인데 말이죠.
13/03/29 19:25
지뢰가 테란의 본대와 함께 움직이면 소수 히드라로 지뢰를 제거할 엄두를 못 내죠. 그리고 히드라 소수로는 의료선의 스피드를 따라잡기 힘들구요.
13/03/29 19:25
의료선을 처리하기에는 이동 속도도 의료선 애프터버너 점화를 따라잡을 수 있는 뮤탈리스크가 제일이긴 합니다. 히드라리스크는 소수면 의미가 없는데다가, 기동성에서 뮤탈리스크와 차이가 심하죠.
땅거미 지뢰를 막기 위해서 쓰기에도, 히드라리스크 자체가 해병 상대로 그리 강하질 못해서 지뢰밭 제거하러 갔더니 해병에게 싸그리 잡히는 모습도 자주 연출됩니다. 아무래도 뮤탈리스크가 주류라서 히드라리스크까지 쓰기에는 자원 부담도 그렇고, 제대로 활용하기가 어렵다고 봐야죠.
13/03/29 19:34
화염기갑병 오랜만에 베타시절의 위엄을 보여줬네요 크크크
아 근데 이대로 배상환 선수가 올킬하면..8시 안으로 끝날수도 있겠는데요;;; 그냥 정규리그도 9전 5선승제로 하면 안될까요?..왜 2경기를 줄여서 7전 4선으로 할까요?ㅠㅠ 아무리 군심으로 넘어왔다 하더라도 경기 시간이 스1에 비해서는 짧은데..
13/03/29 19:36
7전 4승제도 선수층이 얇은 팀이 힘들어하는게 보여서 어렵다고 봅니다. 당장 엑시움-에이서 같은 팀은 9전까지 가면 선수가 모자를 지경이죠. 선수가 다 와야 하는데, 이러면 GSTL 때문에 다른 대회 참가하기도 어려울 수 있고요.
13/03/29 19:44
아 하긴 해외대회 참가랑 겹친다면...선수층 적은 팀으로서는 힘들겠네요...사실 승자연전제라 최대 5명만 있으면 되니 이론상으로는 가능하기는 할텐데..
13/03/29 20:12
요즘 gsl이든(전시즌) gstl개막하는걸보면
생각보다 스타2에 대한 반응이 요즘 괜찮다는걸 느끼고 있습니다 gsl막시즌도 거의 전경기 관중이 많이 찼고 올해 gstl도 꾸준히 차는군요.. 이제 프로리그만 좀 차면되는건가요? gstl은 다음팟이나 이런데서 보는사람도 생각보단 많습니다. gsl도 해주면 많이볼것 같은데 말이죠 온겜에서 방영예정이니 기대됩니다.
|
||||||||||
권혁재 / 강태훈 / 김태균 / SortOf
김정훈 / 신기훈 / 이상민
조명환 / 이원표 / 이승현
김남중 / 박준성 / 한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