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4/27 19:11
처음 아닌가요 크크
다음주도 정시시작 하길.. 다음주 토요일은 무려 코스프레데이에 대진도 지금 상황상 1,2위 결정전 혹은 단두대매치가 되는데다 저번시즌 4강팀이 다나오는.. 현재 최고 인기팀이 다모였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나진소드 VS CJ 블레이즈/ CJ 프로스트 VS KT롤스터 B의 경기라..
13/04/27 19:12
현재 A조
1. SKT T1 #2 3승 1무 0패 승점 10 - 1위 확정 - CJ Blaze 2:0, 나진 소드 1:1, MVP Blue 2:0, KT Rolster A 2:0 남은 상대: MVP Ozone 2. MVP Ozone 1승 2무 1패 승점 5 - KT Rolster A 2:0, MVP Blue 1:1, CJ Blaze 0:2, 나진 소드 1:1 남은 상대: SKT T1 #2 2. 나진 소드 1승 2무 1패 승점 5 - MVP Blue 0:2, SKT T1 #2 1:1, KT Rolster A 2:0, MVP Ozone 1:1 남은 상대: CJ Blaze 4. MVP Blue 1승 1무 1패 승점 4 - 나진 소드 2:0, MVP Ozone 1:1, SKT T1 #2 0:2 남은 상대: CJ Blaze, KT Rolster A 4. CJ Blaze 1승 1무 1패 승점 4 - SKT T1 #2 0:2, KT Rolster A 1:1, MVP Ozone 2:0 남은 상대: MVP Blue, 나진 소드 6. KT Rolster A 0승 1무 3패 승점 1 - MVP Ozone 0:2, CJ Blaze 1:1, 나진 소드 0:2, SKT T1 #2 0:2 남은 상대: MVP Blue
13/04/27 19:12
B조
1. CJ Frost 2승 2무 0패 승점 8 - 진출 확정 - SKT T1 #1 1:1, ahq Korea 2:0, 나진 실드 1:1, LG-IM #1 2:0 남은경기 KT Rolster B 2. KT Rolster B 2승 1무 0패 승점 7 - 진출 확정 - ahq Korea 1:1, 나진 실드 2:0, LG-IM #1 2:0 남은경기 SKT T1 #1, CJ Frost 3. SKT T1 #1 0승 3무 0패 승점 3 - CJ Frost 1:1, LG-IM #1 1:1, ahq-Korea 1:1 남은경기 KT Rolster B, 나진 실드 3. 나진 실드 0승 3무 1패 승점 3 - LG-IM #1 1:1, KT Rolster B 0:2, CJ Frost 1:1, ahq Korea 1:1 남은경기 SKT T1 #1 3. ahq Korea 0승 3무 1패 승점 3 - KT Rolster B 1:1, CJ Frost 0:2, SKT T1 #1 1:1, 나진 실드 1:1 남은경기 LG-IM #1 6. LG-IM #1 0승 2무 2패 승점 2 - 나진 실드 1:1, SKT T1 #1 1:1, KT Rolster B 0:2, CJ Frost 0:2 남은경기 ahq Korea
13/04/27 19:54
그래도 천주가 비타민보단 낫네요
비타민은 똑같이 2:1하면 지금쯤 cs10개도 못먹고 땀 흘리고 있던데 그래도 20개 넘게 먹었네요
13/04/27 20:14
럼블이 이런 상황이 되면 화방이 미니언에게 50%밖에 들어가지 않아서 은근히 라인관리가 쉽지 않고
때문에 상대 탑솔과의 성장차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도 한몫하는거 같습니다. 럼블은 궁이후 딜도 탱도 애매한 상황에서 다이애나는 온갖 어그로를 다 끌고 존야로 살아갈수가 있으니..
13/04/27 20:15
엠블이 너무 허술하게 운영한거 같네요. 탑에서 궂이 럼블이 그리 무리하게 룰루를 쫓을 필요도 없엇던거 같고, 용에서의 한타구도도 역시 어처구니없는 다이애나Q에게 스틸당하면서 손해를 극복하려고 무리하게 싸우다가 손해를 왕창봤죠.
mvp팀들은 각각의 라인의 힘은 그리 빠지지 않는거 같은데 뭔가 허술한 운영, 던지는 플레이가 발목을 잡는 느낌이에요.
13/04/27 20:17
라인전에서 봇조합은 누르고 정글은 미드파서 두 캐리를 다 말려야 그나마 플레임의 활약이 적어지는듯..
플레임은 정글이 오든 봇조합하고 라인전하든 할건 다하는듯하니
13/04/27 20:18
이건 천주가 바텀에서 했던 그 한번의 오바가 게임을 여기까지 끌고 왔고
그걸 플레임이 제대로 잡아냈고 이후에도 이니시면 이니시 딜이면 딜 어그로면 어그로 생존이면 생존까지 모든면에서 진짜 플레임이 진짜 정말 너무 완벽하게 해줬습니다.
13/04/27 20:20
국대미드 앰비션이 폼이 돌아오고 탑솔로가 기량이 절정이다 보니까 좋은 운영이 가능해지네요 이러면 블레이즈도 남은 대회 기대해볼만한데요
13/04/27 20:24
전 MVP 블루든 오존이든 탑라이너 확보안되면 답없다고 봅니다.
천주 럼블이 이제 거의 최강카드였는데 이게 막히기 시작하면 호미갓화 될 가능성이 아주높고 최근 2연패하던중에 천주모습도 상당히 불안전했거든요. 츄냥이도 마찬가지긴했지만 물론 이지훈이라는 강력한 미드라이너가 있긴한데 어쩃든 탑똥내려오면 힘든건 매한가지라..
13/04/27 20:21
플레임을 말리려면 맞라인을 안 가는게 좋고, 그렇다고 라인스왑을 하자니 초반에 약한 선장함장듀오가 무사히 큽니다.
지난 시즌 블레이즈를 완파했던 KT B 같은 경우에는 라인스왑을 하든 말든 카카오의 미친듯한 정글링으로 라인을 파괴시켰는데, 엠블의 츄냥이는 아직은 그 정도가 아닌가보네요.
13/04/27 20:22
보통 소드가 CJ한테 털릴때 저런모습이었는데... 스노우볼 굴리는듯 싶다가 어이없거나 상대 스펠 못읽고 다이브치는거 프로스트가 잘받아서 역공한방에 경기 뒤집히고...
이게 12강이라서 어떻게 작용할지 모르겠는데 MVP는 그래도 져도 다음주 KT A라는 맛집이 있어서 8강 진출을 기대해 볼수있는데(무조껀 이겨야 하지만) 이 경기를 Blaze가 승리로 장식하면 다음주 소드는 무조껀 블레이즈 상대로 이겨야 하는 압박감이...
13/04/27 20:22
동등한 킬뎃, 타워에서 한타구도로 가면 좀처럼 지지 않는 블레이즈를 상대로 봇에서부터 럼블이 무리한게 나비효과가 된 느낌이에요.
물론 럼블이 죽은 이후에 용에서 충분히 용만 먹고 빠졋다면 계속 유리함을 갖고 갈수 있었을텐데, 다이애나에게 용뺏기고, 뻘바운스에 그 이후 존재감이 없엇던 츄냥이 선수가 워스트, 다이애나로 엄청난 존재감을 보여준 플레임 선수가 베스트 같네요.
13/04/27 20:22
잭패가 받아도 안될건 없긴한데 받으면 살짝 웃길수도 있겠네요. 이번엔 결과적으로 플레임이 잘해주긴 햇지만 재때 딜넣은 엠비션과 운이좋긴 했지만 아슬아슬하게 살며 킬을 안준 리신등 골고루 잘한거 같아요.
13/04/27 20:24
지난주나 이번주의 최근 강팀들의 특징을 보자면 라인스왑이나 용을 뺏기거나 퍼스트 블러드를 당하는 등 초반에 불리하게 시작해도 운영으로 극복해보이는 모습이 자주 보이네요.
mvp 팀들은 한타는 잘하나 운영에서 너무나 아쉬운 모습이 보입니다. 더욱 더 높은 곳을 가고자 한다면 운영이나 오더의 연습이 더욱 필요해 보입니다. 초반우위를 어떻게 계속 유지하면서 글로벌 골드를 벌릴 수 있을지... mvp의 선전을 바랍니다.
13/04/27 20:25
cj양팀의 특징이 강력한 탑솔로들을 바탕으로한 스왑으로 라인전을 버텨내고 이어지는 한타에서 한몸같은 운영 그리고 미드와 ad캐리의 귀신같은 파밍력을 바탕으로 지배해버리는건데 이번 경기에선 그점이 잘 들어난거 같네요.
4강 이상까지 오른 탑클래스 팀들간의 경기에서도 이정도 운영을 보여준다면 기대해 볼만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지금까지의 상대전적등을 보았을때 조금 의구심이 들긴하네요. 요즘들어 중화권팀들 경기를 보면서 눈이 너무 높아졌나봅니다.
13/04/27 20:25
소드는 블루 한참 기세좋을때 2:0으로 털려서 12강 전체를 어렵게 가고 있네요.
다음주 블레이즈와 붙는데 8강 가려나...
13/04/27 20:26
사실 블레이즈에 대한 평가가 박한 것은 블레이즈에게 거는 기대가 워낙 크기 때문이지 블레이즈는 항상 4강권의 팀이었습니다. 뭐 블레이즈 예전부터 응원해오신 분들이라면 국내대회 4강도 성에 찰 리가 없는 거죠 흐흐
요새 들어 경기가 좀 재미가 없어져서 블레이즈 경기를 잘 안 챙겨보게 되었는데 플레임 보는 재미가 쏠쏠하네요
13/04/27 20:32
잭선장은 장단점이 극명한 원딜이라고 봅니다. 라인전은 여전히 못하고, 그 대신 괜찮게 성장했다면 한타에서의 움직임은 잭송장 소리 한창 들을때도 멋졌어요. 개인적으로는 퍼플팀이 탑라인전에서 라인스왑을 하는 트렌드가 생긴 이후로 라인전이 약하고 한타에 강한 선장함장듀오가 다시 한번 멋진 모습 보여줄 기회가 많아졌다고 생각합니다. 라인전이 약하다 약하다 해도 2:1을 털리진 않거든요 흐흐
13/04/27 20:29
한가지 궁금한 게 있는데요. t1 2팀은 1위 확정인가요? 승자승원칙이 적용된다면 t1이 1위 확정 같은데요? 아님 다른 방법이 있는지요
13/04/27 20:30
프로스트 / 블레이즈는.. 그냥 클래스는 영원하다는걸 롤판에서 가장 잘 보여주는 팀인지라..
2012년 스프링, 썸머, 롤드컵, 윈터 전 대회 결승의 프로스트와.. 스프링, 썸머, 윈터 전부 4강의 블레이즈.... 니
13/04/27 20:33
다이애나는 태생적으로 밸런싱이 불가능한 캐릭터인가...저번에 수치 하향 진짜 말도 안 되게 해가지고 답도 없는 고인 만들었다가
좀 롤백시켜주니 다시 (예전만은 못 해도) 밴리스트에 오를만한 챔피언이 되네요.
13/04/27 20:35
쉴드 사거리도 롤백되었습니다.고인 시절에는 쉴드 구체의 사거리가 평타 사거리보다 짧아서 돌진 후에 쉴드가 생성이 안 되고 그랬습니다.
13/04/27 20:34
근접챔프지만
1.원거리공격 2.실드 3.소규모광역cc 4.돌진(1의 조건이 갖춰지면 1+1).. 스킬들이 전부 깨알같이 좋아서 어쩔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
||||||||||
CJ

CJ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