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8/14 18:51
불판을 미리 올렷는데... 갑자기 일이 생겨서 잠시 나가 봐야 할듯하네요... 즐거운 시청되시고 다음 불판은 다른분에게 부탁을 드립니다~
13/08/14 19:12
이번 섬머시즌 들어서는 CJ나 나진팀이 없어도 항상 만원이네요.
이제 양대 인기팀에만 관중이 몰린다는 말은 옛말이 된거 같습니다. 그나저나 예상을깨고 진에어가 이겼으면 좋겠네요 ㅠㅠ
13/08/14 19:28
나미 자크 오리아나 자르반. 이건 제대로 연계되기만 하면 도저히 막을 수가 없는 조합 아닌가요?
블리츠크랭크 하나만 조심하면 T1이 확실히 앞서가는 밴픽 구도 같은데요.
13/08/14 19:30
아 그렇긴 하네요.
그런데 이건 쉔이블린까지는 괜찮다고 T1이 풀어준 느낌이라.. 쉔 선픽이 노골적인 타이밍에 트위치를 밴하면서 '잠수함만 아니면 돼~'같은 느낌이랄까요.
13/08/14 19:38
양쪽 정글러가 특별한 갱킹없이 무난하게 큰다면 T1이 더 좋습니다.
블리츠는 2:1 라인에서 할 게 없고 자크는 쉔보다 CS를 먹기 더 좋은 환경이거든요.
13/08/14 19:46
스물스물 밀립니다 팰컨스...
이블린이 기습이니시 걸기에는 나미 자르반 자크 등등 너무 무섭죠. -_-;; 뒤에서 어어어어 하는동안 이블린 쉔 보호막깨지고 순삭당할 수도 있습니다.
13/08/14 19:46
양쪽 정글 + 서폿이 얼마나 활발하게 와딩하고 맵 컨트롤 하느냐가 중요한 게임이네요.
양쪽 조합이 시야를 잡는 쪽이 무조건 이기는 조합이에요.
13/08/14 19:53
MVP는 푸우만두에게 주고 싶네요.
간단하게 맵 장악하면 이기고 못하면 지는 게임이었는데 푸우만두가 2돈템에 올핑와 도배가 엄청나네요.
13/08/14 19:55
바텀에서 코그모가 베인한테 벽꿍 당하면서 쉔 궁 넘어오면서 모든 나비효과가 발생했네요
팰콘스가 많이 못했다기보다 의도치 않은 난전으로 베인이 너무 잘컸네요
13/08/14 19:59
쉔 이블린 다 줘도 상관없다 우리는 대책이 있다
라는 픽밴이었네요 후덜덜 개인적으로 저 조합을 어떻게 파훼할 수 있을까 궁금했는데 T1이 보여주네요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13/08/14 20:00
블리츠를 뽑았는데 초반에 이득 못보고 중반 가면 점점 불리해지는건 심해에서도 자주 일어나는 일이니..근데 베인은 밴 하거나 먼저 가져와야 할거 같네요.
13/08/14 20:02
맨 처음 탑에서 도발점멸이 실패하면서 모든 수레바퀴가 어긋났다고 봅니다. 탑에서 갱킹 실패하고 바로 미드에서 이즈리얼 죽었죠. 거기서부터 스노우볼...
13/08/14 20:02
이블린뽑고 초반에 저렇게 무난하게 흘러가면 이블린뽑은 의미가 없죠. 변수를 만들려면 죽이되든 밥이되든 한라인을 후벼파서 핑와강제하고 스노우볼 굴려야되는데 맞라인 안서주고 시간끄니까 이블린은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와드화, 미드이즈 템나올라면 한세월에 코그모는 크기는커녕 짤려대고 이러면 절대 못이깁니다. 개인적인 구상과 실제 경기력과에 너무나 큰 갭이 있는 느낌이에요.
13/08/14 20:03
그리고 펠컨스의 픽 자체가 라인스왑을 허용하면 안되었죠
초반 1렙 쉔도 있고 블리츠도 있겠다 강력한 조합인 만큼 적 정글로 들어가서 미리 와드를 진짜 있는대로 써서 상대라인을 확인해서라도 맞라인전을 했었어야했다고 보는데...
13/08/14 20:05
사실 한국도 재미만 추구한다면 타 대륙처럼 8강한다면 경기력이나 재미는 보장될거 같은데
그러기에는 한국팀의 숫자가 너무나 많죠 ㅠ 12강도 적다고 말들이 많아서..
13/08/14 20:07
픽밴은 팰컨스가 나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스왑을 그대로 허용했다는건 조금... 스왑을 허용하면 블리츠가 할게 없어지고 자크를 상대로 다이브는 미친짓이라 이블린은 커버밖에 할 게 없죠. 그러면 무난하게 초반부터 손해가 쌓여가고 타워, 용을 먼저 가져가기 좋은 SK T1 쪽이 무난하게 맵장악하면 팰컨스쪽에서 변수를 만들 수 없죠.
13/08/14 20:17
오늘 SKT가 이기면
진에어 팰컨스 뿐 아니라 나진쉴드도 롤드컵 진출전 컷인 서킷6위가 될 가능성이 사라지게 되고, CTU역시 우승이 아닌경우 6위 가능성이 없어지게 되어, 사실상 6개팀의 진출전 라인업이 완성되게 됩니다.(금요일 결과에 따라 확정) 금요일까지 무난한?결과가 나오게되면 직행 가능성이 있는 팀은 소드/오존/SKT/KTB/프로스트 진출전컷이라도 가능한 팀은 5개팀 + 블레이즈 이렇게 완성됩니다.
13/08/14 20:18
도란방패에 아머가 붙어 있는것도 아니고 체력 + 체젠뿐인데....
적어도 영약 3포 시작했으면 저렇게 디나이는 안당했을겁니다.
13/08/14 20:18
래퍼드 뭐하죠? 맞라인을 세우던가 그게아니면 자크를 후벼파던가해야지 타워 밀릴때까지 갱한번 안갈꺼면 이블린뽑으면 안되죠. 역시 정글러클라스차이가 너무 많이납니다.
13/08/14 20:22
모든라인+정글러 모두의 실력이 다 부족해 보이네요.
극단적인 2정글, 5미드 등의 거의 4드론급 전략이 아니라면 정석적으로는 답이 없어 보이네요
13/08/14 20:24
안타깝지만 1세대에 속하는 래퍼드와 로코도코는 이제 그만 은퇴하는게 맞지 않나 싶네요
"래퍼드는 맨날 8강 가는데 실력이 없다고 할 수 없다" 라는 의견도 있으나 사실 팀이 이렇게 많아진 상황에서 강팀들을 제외한 팀들은 다 고만고만한, 언제 자리가 바껴도 이상할거 없는 실력의 빈부격차가 큰 상태라 8강 간게 실력을 인증하는 시대도 아니고;; 레퍼드는 탑으로도 안되, 정글은 왜 갔는지 모르겠고..
13/08/14 20:25
전 그런 생각이 듭니다. 진 에어가 발을 빨리 들이 밀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말이죠.
충실하게 이행해줄(엘지같지 않게) 후원은 있는데 선수가 그에 미치지 못하는 느낌이랄까요
13/08/14 20:26
진짜 잘하는 팀은 정글러가 너무 강해요... 그런 의미에서 블레이즈와 프로스트는 정글러의 역량을 빨리 끌어올려야할듯..
13/08/14 20:27
국내 롤팀중에서 대표적인 팀중에 하나인 CJ프로스트(와 블레이즈)가 항상 문제시 되던게 약한 정글러였었죠.
항상 4강 우승권에 들어가던 CJ조차도 정글러가 아무것도 못하고 털리기 시작하면 게임 내내 끌려다니다 지는 경우도 나오는데 그보다 (전체적인) 실력이 아래급인 팀이 정글러마저 약하면 정말 답이 없죠.
13/08/14 20:28
6강체제가 정말 굳건해진 것 같습니다. 지난 주에 털린 나진실드나 지금 털리고 있는 팰컨스 + 죽음의 조에서 탈락한 스텔스 정도가 2티어 팀의 선두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세 팀이 6강 중 어느 팀을 상대로 이길 거라는 생각이 안 드네요
13/08/14 20:30
양CJ, 나진소드, mvp오존, skt1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들은 사실 아마추어팀들이랑 맞짱터도 비등비등한터라;;
실력차이가 너무 나니 이건 머 불판도 열이 안나고 흥미가 없네요 사실상 8강 꿀재미는 kt와 블레이즈를 제외하고는 전부 원사이드하게 흘러갈듯;;
13/08/14 20:35
팰컨스는 이건 게임전에 밴픽 생각하지말고 멘붕을 막을 방법을 생각해야 할거 같은데요.
노멀에서도 이렇게 지면 다음게임도 영향이 있는데...
13/08/14 20:35
씨불얼 2강에서 소드가 나오면서 3강을 이루고
뒤이어 KTB가 4강, 다음시즌에는 SKT가 4강 그리고 오존이 우승.. 한시즌 마다 새로운 강호가 등장하면서 상향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번 시즌에는 딱히 안보이네요 그래도 1년만에 6강이 이루어진걸 보면 반년만 더 지나면 대략 8강은 될수 있을거 같습니다.
13/08/14 20:36
래퍼드는 본케가 다이아1 몇점대인지 궁금하네요
로도코도는 다이아1 20~30점에서 벗어나질 못한다는 소릴 듣고 역시 그럼 그렇지 라는 소리가 나왔는데
13/08/14 20:40
로코에게 적용된 기준은 의미가 없죠.
포지션의 적응기간까지 고려해야 하니까요. 바로 한 시즌전에 그런 소리를 듣던 라일락 선수가 챌린저를 찍었으니까요.
13/08/14 20:40
찾아보니까 40대네요.. 아마 래퍼드는 포변직후라 레이팅 확 떨어졌을 겁니다. 제가 페북에 래퍼드 팔로잉했는데 T1 계약만료 직전에 챌린저 찍었던 적도 있죠 ㅠ.ㅠ
13/08/14 20:40
그런데 또 이경기를 래퍼드에게 뒤집어 쒸우는건 좀 그렇네요 ;;
애당초 모든 라인이 거의 티원에게 한두수 아래라서 딱히 래퍼드를 몰아부치기에는 팀 수준의 격차가 어마어마 했는데 은퇴하라니 ;; 래퍼드는 프로게이머 달고 단 한번도 8강밑으로 떨어져 본적 없는 선순데 그러면 나머지 밑에 선수들은 다 접고 집에 가야죠 ;;
13/08/14 20:43
래퍼드 상당히 좋아하는데 이번시즌 팔콘스는 작년서머 IM처럼 포지션변경 무리하게 하다가 조합이 산으로 간 것 같습니다.
래퍼드가 자기는 탑미드정글 중에 아무데나 가도 상관없다고 했다고 합니다만 1년 내내 탑만 하던 래퍼드인데 탑이랑 미드정글과의 차이가 현격함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었고, 지금 미드 맡고 있는 오장원은 원딜만 하던 선수였고 ESG로 들어올 때도 원딜로 들어왔는데 레이븐의 미드 포지션변경이 여의치 않아서 어쩔 수 없이 미드로 갔죠. 팀이 깨진 상태로 계약만료는 됐지 어떻게든 2명은 채워넣어서 대회 나가야지 하면서 그냥 잘하는 사람들 교통정리도 안된 채 끌어모은 게 독이 된 것 같아요.
13/08/14 20:45
일단 레이븐은 뺴고 생각해야되요
팀 전체의 색깔과 극도로 안맞는 선수입니다.-_-; 현재 미드 하고 있는 선수 다시 원딜로 돌리고 래퍼드가 미드연습을 하던가 미드라이너를 영입하던가 해야되요
13/08/14 20:46
8강 성적을 뛰어넘는 엄청난 잠재력의 해설 실력때문인것 같기도합니다. 크
근데 오늘은 좀 많이 실망스럽네요. 픽밴 운영 뭐 하나도 제데로 한게 없으니..
13/08/14 20:43
우선 진에어는 빨리 롤 전담 코치진을 만들 필요성이 있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팀들을 보면서 좋은 건 빨리빨리 흡수해야죠 LGIM만 봐도 전담 코치가 없으니 그 좋았던 멤버들을 갖고도 힘들어했죠. 하루빨리 코치진을 꾸리고 선수들이 패배하하고 나면 멘탈수습도 도와주고 해야죠.
13/08/14 20:54
아... 팰컨스 이해할 수 없는 플레이들 투성이네요.
초반에 상대 와드 낭비 잘시켰고 자신들은 와딩을 최소한으로 상대 라인스왑을 봤으면 자신들도 라인스왑을 따라가야지 미드에 2:1을 시키네요... 아리는 2:1에 이점이 아예 없고 다이애나가 미드에서 2:1을 못버티는 챔프도 아니거든요. 차라리 케이틀린 룰루면 베인 나미 상대로 이득을 가져가기 훨씬 좋을텐데
13/08/14 21:30
개인적으로 SK T1은 CJ 프로스트랑 성향이 반대같은게
짜여진 전략대로만 이끌어가면 압도적으로 강한 모습을 보이지만 계획대로 되지않아 후반으로 질질 끌리면 의외로 쉽게 무너질듯한 느낌이라 변수가 너무 많은 롤드컵 같은 대회에서는 별로 신뢰가 안갈거 같네요.
13/08/14 21:35
고전파 인터넷방송할땐 순딩순딩 착했는데 팬들 요청 채팅에도 귀여운말투로 다 대답하고..
저런모습이 아직도 적응이 안돼네요 진짜 프론트에서 시키나?
13/08/14 21:46
챔스 8강에서 원불판굴욕이라니... 내일 nlb도 불판 5개는 깔고갈거같은데...
누구 탓하기보다... 전포지션 안밀리는 곳이 없으니 원사이드할수밖에없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