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6/23 00:25
혹시 해외 중계 좌표 좀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친구가 캄보디아에 가있는데 거기서 중계를 볼 수 있게끔 세팅을 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왔데요...
네이버나 다음 같은 곳은 막혀있데서.. 알려주세요 ㅠㅠ
14/06/23 00:54
벨기에 응원하시면 되요
전력상 벨기에가 조1위 우리랑 러시아가 조2위를 겨루게 되기 때문에 벨기에가 반드시 이겨주고 우리나라 또한 오늘 알제리를 반드시 꺾어야해요
14/06/23 01:16
러시아가 벨기에랑 비등하게 하면 우리도 벨기에랑 할때 자신감은 가지고 하겠네요
시작도 하기 전에 멤버만 보고 쫄아있는것보단 나으니...
14/06/23 01:26
그러네요.. 정성룡 무릎 꿇고 고개만 돌리는 모습을 너무 많이 보여줘서 걱정입니다
차라리 김승규가 낫지 않나 싶은데 김승규나 이범영의 경기를 많이 본게 아니라 확신이 없네요
14/06/23 01:28
뭐 데려가라 그러면 사실 정성룡이 가장 무난한 선택이긴 합니다. 우리가 지금 경험치 쌓을 상황도 아니다보니
어린 키퍼를 중용할수가 없다는거.. 운재형이나 병지형이라도 데려가서 전담코치라도 시켰으면 마음이 좀 놓였을텐데 말이죠.
14/06/23 01:22
아! 현장 중계와 무슨 종합센터(?) 같은 곳에서 하는 중계가 있나 보네요?
모든 중계가 해당 경기장에서 이뤄지는 건 줄 알고 브라질이 엄청 큰데 어떻게 매번 다른 캐스터와 해설 조합이 만들어지는지 궁금했었는데 크크
14/06/23 01:25
아스날 팬 입장에서 말한다면 베르마엘렌 풀백 수비가 그렇게까지 헬은 아닙니다.
발빠르기도 나쁘지 않고 공격수와의 일대일도 센터백에 있을때보단 되려 잘해요 (풀백은 상대를 라인쪽으로 밀어붙이는 선택지가 있어서...물론 센터백에서의 일대일 마킹이 그만큼 불안하단 얘기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공격력이죠. 앞선의 윙을 전혀 보좌해주지 못해요
14/06/23 01:27
지금은 좀 나은데. 헬 일때는 센터백하고 간격을 지 멋대로 어중간하게 늘여놓다가 털려먹기도 하죠(...)
하지만 그래도 산토스에 비하면 매우 준수-_-;;
14/06/23 01:31
사실 한국이 예상외로 꽤나 잘한거지 러시아가 누구한테 호구잡힐 팀은 아니죠.
저렇게 수비 단단한 팀과 붙으면 루카쿠가 존재감이 사라지기도 하고...벨기에는 벤테케가 진짜 아쉬울듯 베르마엘렌 교체네요. -_-;;;
14/06/23 01:33
루까꿍을 타겟지원형로 쓰는데 사실 루까꿍이 그런거 잘하는 타입도 아니고 주변에 같이 받아주는 선수가 없어서 고립되는 현상이 이번경기도 나오네요
14/06/23 01:37
벨기에는 양풀백이 확실히 약점이예요. 알더베이럴트 선수 역시 오른쪽풀백이 전문이 아니고 베르통헌, 베르마엘렌 선수도 마찬가지죠. 두선수다 소속팀에서 왼쪽풀백 뛸때마다 불만을 토로했는데 벨기에가 풀백이 없어서 그냥 뛰는게 강해요.. 양쪽풀백+조직력만 갖춰지면 향후 5년은 걱정없을 나이와 스쿼든데..
14/06/23 01:40
양 윙백이 못올라감 -> 펠라이니가 조율하러 라인을 내림 -> 아자르의 활동범위가 줄어듬 -> 공격방법이 메르텐스뿐...
의 테크트리네요 -_-;; 양 윙백이 강함 -> 패스공간이 많아짐 -> 펠라이니가 공격에 집중 -> 빈공간으로 아자르 침투 -> 루카쿠에게 마크가 옅어짐... 이 되어야 하는데...
14/06/23 01:40
벨기에가 H조에서 상대적으로 우세한 전력인 건 변함없지만, 98 네델란드나 2010 아르헨티나처럼 압도적인 느낌은 확실히 아니네요.
14/06/23 01:43
이거 조 1위 벨기에가 아니고 러시아로 생각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이거...
후반 갈수록 러시아가 그냥 일방적으로 가패삼기 하는 것 같은데 -0-
14/06/23 01:46
팽팽한데 러시아가 훨씬 좋은 경기였네요.
마무리를 못지은게 아깝지만. ;; 아까전에 그 헤딩은 그냥 골문으로 들어가게만 갖다댔어야..
14/06/23 01:47
벨기에도 뭔가 시원찮네요 역습이나 스타플레이어의 한방말고는 음.. 뭐 그것도 충분히 무섭긴 합니다만. 우리나라도 충분히 할만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일단 알제리전 부터 잘하자..!
14/06/23 01:53
벨기에는 경기력이 1차전 그대로네요..
많은분들이 1차전때 알제리가 잘하는건지 벨기에가 못하는건지 궁금해 하셨는데 전 벨기에가 생각보다 별로라고 봅니다. 아자르도 루카쿠도 공 잡으나 안잡으나 이름만 불렸지 공도 많이 못잡았는걸요.. 후반되서야 겨우 교체카드로 골넣고 풀린거지 전체적으론 정말 안좋았습니다.
14/06/23 01:55
벨기에는 느낌이 아르헨티나네요.
스타 플레이어는 있으나 팀으로는 뭔가 부족한.. 확실히 이런팀에게는 팀워크로 다져진 철퇴축구가 카운터긴 한데 과연 벨기에에서는 메시 정도의 크랙이 될 선수가 있을지 궁금하네요.
14/06/23 01:58
이 경기가 비긴다면 경우의 수가 복잡해지기는 한데, 우리가 알제리를 2골차 이상으로 이길 경우엔 오히려 편해지는 면이 있구요. 벨기에에 골득실이 앞서기 때문에 마지막 경기를 비겨도 벨기에를 무조건 깔고 들어가게 되거든요. 1-0 승리라면 1승 2무로도 집에 돌아갈 각오를 해야 하긴 합니다..
또 알제리전이 잘 안 풀려서 비기게 되는 경우에는 차라리 이 게임도 비기는 게 낫습니다. 알제리에 진다면 애초에 16강이 뭐라는 계산이 귀찮은 단계고..
14/06/23 02:14
뭐랄까...약점이 확실히 존재하는 팀이고 카펠로는 그걸 잘 이용할 역량이 있는 감독이죠
어쩌면 러시아전의 선전은 정말 우리에 대한 정보가 적어서일수도(...)
14/06/23 02:19
루카쿠는 리그에서도 수비 탄탄한 팀 or 맨마킹에 능숙한 수비수를 만나면 제대로 클로킹이었습니다.
저 몸으로 마구 밀어붙이면서 우겨넣어도 충분한데 아직 그걸 못해요. 공간이 있어야 힘을 쓰는 유형입니다 아직은 벤테케보다 역량이 아래라고 봅니다. 무링요가 지난시즌 안쓰고 임대를 보낸 이유가 있죠 ...물론 에토바보다야 나았겠지만 -_-;
14/06/23 02:23
저는 이 게임이 더 문제라고 보는게.. 어제 아르헨티나 상대로 좋은 경기 펼친 이란 선수들한테 미안하지만 이란-나이지리아 경기 당시에 저는 그따위(...) 경기가 나올 거라고 미리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오늘은 이게 도대체 생각도 못 했던 매치업에서..
14/06/23 02:23
아무리 객관적 전력우열이 있다지만 경기는 해봐야 아는건데
지금 벨기에 러시아 경기력은 월드컵전에 일부 한국팬들 설레발이 좀 너무했다 싶을정도로 시망이네요
14/06/23 02:25
왜 제가 생방으로 보는 경기는 다 노잼이죠?
아르헨:보스니아?, 미국:가나, 한국:러시아, 일본:그리스, 벨기에:러시아.........
14/06/23 02:31
이러고 우리나라 16강 못가면
이런 개꿀조에서도 탈락하냐고 되려 욕먹을기세... 분명 월드컵전에는 오히려 한국사람들로부터 찬양받던 팀들이;;
14/06/23 02:35
우리가 러시아를 잡았어야 하는 게 월드컵의 흥행을 위해서라도 좋았을것 같습니다. 우리가 이겼으면 러시아도 완전 배수의 진을 치고 나왔을 거고,
벨기에도 이런 경기를 하지는 않았을것 같네요;;
14/06/23 02:39
이거 아무래도.. 러시아랑 벨기에가 이렇게까지 못할 수가 없는데,,
이거 진짜 기후적으로 뭔가 선수들이 적응하기 힘들거나 뭐 그런거 아닐까요? 이럴 선수들이 아닌데.. 이지경일 애들이 아닌데..
14/06/23 02:42
축구는 정말 문회안이라서 잘 모르겠지만 벨기에보다 우리나라가 러시아 상대로 더 잘한거 같은데 혹시 설명해주실 고수분 있나요??? 기대치가 커서 그런가 벨기에가 너무 못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14/06/23 02:46
BBC 해설진들이 갈수록 빡쳐갑니다.
What a fantastic venue, in the centre of Rio, overlooked by Christ the Redeemer, but he would be completely disinterest in this game. 아 이곳은 정말 멋진 곳이지요. 리오 데 쟈네이루의 중심에 있고, 예수상이 내려다보고 있어요. 그런데 예수님도 이 경기엔 절대 관심을 안줄 것 같네요.
14/06/23 02:48
기후, 체력적 세이브를 위해 양팀다 무리를 하지 않은 것도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러시아에는 패싱게임을 할 선수가 없고 벨기에는 라인간 간격이나 짧은 원투패스조차 잘 안맞을 정도로 선수들의 손발이 안 맞아요.
지금처럼 후반부에 상대팀의 체력이 방전됐을 때 한,두명의 뛰어난 선수의 플레이로 골을 넣는게 벨기에의 한계네요. 현재의 아르헨티나와 별반 다를바가 없습니다.
14/06/23 02:52
러시아 좀 억울하겠내요
다시보면 확실하겠지만 골넣기 직전 벨기에진영에서 벨기에측 파울이 있었던거같은데 심판이 안불어서 급역습당한 느낌이 강합니다
14/06/23 02:53
벨기에가 전승을 하고 나머지 3개팀이 각각 비기면 어떤 방식으로 2위를 뽑을까요. 골득실이라면 벨기에한테 전부 1:0으로 진 경우 또 어떻게 방식이 갈릴까 궁금해지네요.
14/06/23 03:01
월드컵은 아니고 무슨 북중미 골든컵인가에 초청됐던 대회였는데 (당시감독 허정무)
캐나다하고 완전 동률이라 동전던지기 했다가 꽝 나와서 떨어졌죠 헐헐
14/06/23 03:09
하이고 설명이 부족했군요. 게다가 기억도 틀렸습니다. 2승1패로 떨어진 대회는 다득점으로 떨어진 U계열 대회였던걸로..
골드컵에서는 캐나다에게 동전던지기로 떨어졌죠.
14/06/23 02:56
한국 알제리 라인업
대한민국 정성룡 윤석영 김영권 홍정호 이용 기성용 이청용 구자철 한국영 박주영 손흥민 알제리 엠볼히 부게라 메스바흐 할리체 만디 메자니 브라히미 페굴리 드자보우 벤탈렙 슬리마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