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9/21 22:38
라인전에서 삼화에게 압살당하자 : 나메이 > 임프지만 임프 마타 > 나메이 fzzf다. 나메이는 후반 한타에서의 포지셔닝이 정말 좋은 데프트형 원딜이다.
14/09/21 22:40
잠깐 온게이머즈 영상을 보고 있는데 미네스키와 게이밍기어가 작년 롤드컵에서 둘이서만 스크림을 계속했다네요..
아무도 스크림을 안해줘서 ... ㅠㅠ
14/09/21 22:43
어쩔 수 없습니다.
스크림이란 실전감각을 살리는건데 약팀과 하면 오히려 감이 죽죠. ㅠㅠ 그래도 둘은 같이 스크림해서 다행이지... DP는 과연 스크림이란걸 해봤을지가...
14/09/21 22:41
삼화도 제대로 하지않을까 싶어요. 나메이 한경기 더 털어주면, 이미 시궁창에 빠진 나메이 세체원설을 아예 소각장에 묻어버릴 수 있으니
14/09/21 22:46
[–]NegativeEagie [숨겨진 추천수] 17 minutes ago*
"Namei has amazing late game positioning blah blah blah" Edit: I'm sure he's a great adc, but he's so overhyped and he's not delivering. Dade of 2014 크크크
14/09/21 22:41
lol을 보면서 감동을 느낀건 처음이네요.
사실 삼성이 이기고 재경기를 가더라도 EDG가 올라갈거같긴 하지만 그래도 롤드컵의 존재이유를 보여준 AHQ 정말 감동적입니다.
14/09/21 22:42
그리고 방금 경기로
왜 하위리그 팀들에게도 롤드컵 참가를 시켜줘야 되는지를 보여준. 롤드컵의 존재 이유가 나온 경기가 된거 같네요.. AHQ가 정말 GPL의 자존심을 최후의 최후에 와서 살려냈습니다.
14/09/21 22:47
겜게에 가면 관련글이 있을텐데 간단히 설명드리면
레지와 로코가 가만히있던 덥맆과 몬테를 디스해서 논란이 되었죠. 특히 로코 힘들때 잘 챙겨준게 몬테인데 태세전환을 해서..
14/09/21 22:48
좀 도를 넘어서서 몬테를 비꼬았죠. 뭐 몬테도 반응이 좋은건 아닌데 그건 몬테의 분석력에 관한거고, 로코도코는 그걸 가지고 인신공격을 한 거라 욕을 좀 많이 먹었을 거에요. 사과문은 올렸습니다만...
14/09/21 22:49
비정석까지는 아닙니다. 충분히 갈수있는템이고 메자이를 가서 스택 쌓아서 전체 ap를 높여서 스킬효율을 올리느냐
아니면 미카엘 가서 생존력을 도모하느냐정도로 갈립니다.
14/09/21 22:50
잔나 자체가 후방에서 포지셔닝 하고 빠른 이속과 cc로 인해 잘 죽지않아서
메자이 스택쌓기가 좋고 스택이 쌓이면 q가 꽤나 아파집니다.
14/09/21 22:53
전 어제도 온게이머스 보고잤는데 어젠 별로 들을게 없더군요. 오늘은 켈시 나온다 그래서 완전 기대중입니다.
EDG가 터지는바람에 낄낄낄
14/09/21 22:56
그 호스트한 헌터 레이 그분은 좀 맘에 들더라구요. 스펠시가 엊그제 쏘린한테 나메이대신 용서를 구하는 투다라고 했다가 공격 당하던데 푸하하하 오늘 화가 꿀잼일듯 합니다 크크
14/09/21 22:48
와.... 화이트가 이득 볼때마다 대만관객들이 환호를하고 삼성이 승리하면 다들 삼성 삼성을 연호할걸 상상하니..
그냥 이 경기 하나만으로 삼성은 MVP 인수한거 뽕을 뽑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는데요. 크크크크크크
14/09/21 22:48
나메이가 3번인가 짤린걸로 아는데 그게 전부 중반이후에 나와가지고... 아마 다 쓰래쉬 사형선고에 걸려서 시작된걸로 아는데 진짜..
답이없음... 중반이후에 원딜의 비중을 생각하면...
14/09/21 22:48
가장 롤드컵다운 경기였네요.
희망은 가까운 곳에 있다는 이야기가 참 잘 어울리는 한판이었어요. 어제까지 실망스러웠던 동남아 지역 팀들에 대한 팬들의 시선을 긍정적으로 바꿔준 경기이기도 했고. 그나저나 나메이는 매경기 실망스런 모습만 보여주니 나메이 원탑설을 꾸준히 주장하던 사람들은 참 뻘쭘하겠네요.
14/09/21 22:49
전 겜알못인데 정말 저같은 사람들한테 해설분들이 대단하다고 느껴져요. 김동준해설이 거기서 잘만 잡으면 한타 죽지않고 완승할 정도다라고 했을때 설마 설마했는데...
14/09/21 22:52
이게 퓨어탱커에 어그로를 끌수 있는 존재가 없으면 가끔 이렇게 됩니다.... 근데 다 포킹이라 근접하는게 쉽지 않았는데
그걸 그린티가 세번이나...
14/09/21 22:54
저도 거기서 정말 재미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김동준 해설은 주로 이기고 있는 팀의 입장에서 어떻게 이길지를 이야기 하시는데 오늘은 왜 지고 있는 팀의 입장에서 해설을 하시는지 궁금했는데, 작두를 타신건지........!
14/09/21 22:51
ahq가 edg를 잡은것도 충격이었지만 경기자체도 재미있었던게
포킹메타를 상대로 진짜 딱 한번만 제대로 물면 이긴다 이길수 있다 하지만 그게 어렵다 싸움이었는데 그걸 그린티가 절묘하게 낚아채네요 나메이가 위험하게 행동하기도 했지만 말이죠 더파이팅 일보 보듯이 그 일발역전의 양상때문에 더 재밌었던거 같아요 거기에 마지막 넥서스칠때 다죽길래 예능찍나 했더니 리신의 플래쉬 이후 넥서스 파괴 공격까지
14/09/21 22:53
진짜 그렇게 진짜 진짜 딸피 극적으로 한번 이기면, 그전까지 해왔던 모든 스노우볼, 모든 행동 하나하나에 감사하게 되고 내 자신이 자랑스럽죠 크크
14/09/21 22:53
전경기 밴 맞습니다..
유럽에서 아트록스로 정점을 찍은 선수이자.. 현 메타 기준으론 전세계에서 아트록스 넘버 원이라고 불러도 될껍니다. (다른 팀들은 다 아트록스 안쓰니)
14/09/21 22:56
조이럭 해설 영상을 봤는데 아트록스를 밴하는건 아트록스가 굉장히 세서가 아니라, 아트록스를 쓰는 팀이 저팀밖에 없는데 아트록스 연습하기엔 시간이 아까워서 그냥 밴으로 막는거라고 합니다.
14/09/21 22:57
그게 혼자만 잘쓸때 얻는 강점이기도 하죠..
사실 아트록스를 저만큼 쓰는 팀이 없다보니 연습도 힘들고. 그래서 당하면 대응이 힘들어서 풀수가 없다고 합니다. -.-;;
14/09/21 22:56
트포가 기본적으로 왠만하면 나쁜시너지를 내는템은 아니죠. 베인 구르기 쿨도 짧고 잘 맞긴하지만.. 비교적 싸면서 시너지가 잘나는 몰왕이 있다보니..
14/09/21 22:58
근데 아트록스 진짜 잘하긴 해요. LCS 경기 보면 계속 딜러들 에어본 시키면서 물고 늘어지니 상대가 제대로 한타를 못하더라고요.
그사이 탱커진은 아군이 정리하고, 본인은 패시브로 살아나가고...
14/09/21 23:13
TSM이 밀린다 -> 재경기를 안한다 -> 1시간 일찍 퇴근한다 -> 아이 신나..
중계진이 파워업을 하고 있습니다?!?!?!?!
14/09/21 23:13
결국 SK게이밍이 질 수 있지만
사실 B조에서 전패할만한 팀은 정말 아닌데... 정글러만 제대로 갖추고 게임했다면 하는 아쉬움이 진하게 남네요
14/09/21 23:17
SKG가 정상전력이 된 이후론 1승 1패에. 지금 리드중이라는거 감안하면
확실히 SKG가 제제로 훅 간게 1~3일차 경기 노잼화에 영향을..
14/09/21 23:17
어메이징은 프로급의 실력이 아닌것 같습니다.
몇 경기째 이러기도 쉽지 않은데 차라리 리신을 하지말지 같은편에 방호 타는거 말고 하는게 뭐가 있는지
14/09/21 23:20
롤은 상대적인거라 어지간하면 평가절하하기는 싫지만; 어메이징은 저자리에 한섭 챌린저급 정글러 아무나 갖다놔도 저거 이상은 하겠네요..
14/09/21 23:24
이게 직스를 처분(?)해야 각이 나오기 때문에 TSM도 싸움을 걸때 베인만 볼수가 없거든요.
캔디판다가 평소같은(...) 플레이만 안하면 베인 하드캐리도 나올 법해 보입니다
14/09/21 23:35
TSM은 상대의 카직스 베인 두 딜러만 잡으면 직스는 상대적으로 아주 잘큰건 아니거든요 데캡도 없고
SK는 반대로 잘 들어가주기만 하면 코그모,신드라가 생존기가 없고 리신이 잉여해서 언제든지 잡을수 있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