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0/04 02:24
외국팀에 진출한 한국 선수 중에 이번 롤드컵에서 잘 하고 있는 선수가 혹시 있었나요?
경기를 띄엄띄엄봐서 제가 본 경기만 그런건지 그런데 불판글 보니깐 다들 망; 분위기인거 같기도 하고 흐흐
15/10/04 02:24
루키 솔킬에 너무 집중해서 그렇지 인카네이션 아지르가 거의 루키 압도한거 아닌가요? 아지르 엄청잘했는데... 라인전에서의 챔프 특성 감안해도 cs 압도했고 거의 뭐 흠이 없는 아지르 플레이를 보여주네요
15/10/04 02:24
트리가 너무잘커서 다녹일 것 같은데요. IG가 프나틱한테는 질 수 있다고도 생각했는데 설마 C9한테도 이렇게 될거라고는 상상도 못했어요..
15/10/04 02:25
IG봇듀오 + 답없는 운영 2개가..
봇듀오야 못한다치고 나르가 프리징만 하고 있으니 2킬먹은 텔포에코 들고도 수적우위를 못가져가는거죠. 2차타워까지 나르가 라인 쭉쭉밀면서 상대정글을 콜해야 에코가 로밍가서 이득을 보지 나르가 탑에서 가만히있으니 에코가 흥하고도 숫자에서 밀리죠..
15/10/04 02:25
"There are worrying trends for C9."
이 드립은 망한 걸로... "There are worrying trends for LPL."
15/10/04 02:28
얼리긴 잘 얼렸다만 아이고 부질없다...
바드궁이 저렇게 이니시용으로 쓰는게 아니라 한타 벌어졌을때 주딜러 묶어주는 용으로 써야 이길 듯.
15/10/04 02:29
차라리 작년에는 중국팀들이 다섯명이 다 비슷한 실력으로 구멍은 없었는데
이건 한국인들 버스타고 롤드컵 온 중국인들이 너무 구멍이 크니까, 세계 레벨에선 감당이 안되네요.
15/10/04 02:29
IG의 픽이 의아한게 나르-에코-바드는 각자 정말 정교한 기술과 총체적인 호흡이 필요했는데 그게 제대로 안되는 팀..
뭐 가장 큰 문제는 지고 싶은건가 싶을 정도의 시비르와 도무지 픽의 의미를 모를 바드..
15/10/04 02:31
유럽리그와 북미리그는 탑팀들만의 리그고 수준이 낮다고 생각해왔는데 이런생각들을 정말 박살나게 해주네요....중국리그는 엄청난 거품....거품그자체....
15/10/04 02:33
EDG야 사실 h2k에게 승리를 차지했고 아직 SKT랑 한 경기 남아있고 느긋할만합니다.
문제는 IG랑 lgd는 안좋은 모습 제대로 나오면서 졌어요.
15/10/04 02:34
MSI 때 EDG의 포스로 중국리그가 1위리그가 되었는데, 그때의 EDG만 특별했던 것인지... 쩝 아직 4경기 더 남았지만 실망이 크네요
15/10/04 02:35
MSI 때의 EDG (당시 리그 1위), IEM 때의 WE (당시 리그 꼴지 이후 미드원딜 교체) 임팩트가 상당했죠.
그 때 봤던 LPL 팀들의 모습은 저돌적이고 소규모 난타전에서 멋진 승부를 만들어내는거였는데...
15/10/04 02:43
http://matchhistory.na.leagueoflegends.com/en/#match-details/TRLH3/1001380399?gameHash=dfe24021d9975ba2&tab=stats
아까 다이러스 보다는 잘 모르겠고 확실히 상대 원딜 절반 보다 약간 좀더 딜 했네요. 아지르의 죽창질이 넘사벽입니다.
15/10/04 02:34
정말 최강리그 LPL설은 허상이었나요
전투가 좋다 항상 싸워서 재미있다 엑소더스 이후 LPL이 최강이다...였는데 엑소더스이후 한국선수들이 중국리그에 맞게 하향평준화가 됐다고 봐야하는걸까요 전투민족이면 뭐합니까 싸울판을 안만들어주고 운영에서 밀리고 라인전에서 구멍을 파여버리니;;; EDG처럼 구멍없이 탄탄한 5인팀이 아니면 롤드컵같은 상위티어급 대회에서는 밴픽부터 구멍이 파이고 경기에서도 파이니 답이 안나오네요;;; 하다못해 보는맛도 없어요 구멍이 워낙 크게 다가오니
15/10/04 02:45
싱크홀이 너무 커요.
운영을 해도 뭐 기본이 되야지 하지. 바위게만도 못했네요 정말. 루키가 봇듀오 멱살잡아도 착한 멱살인정합니다
15/10/04 02:34
아 진짜 edg빼고 나머지 두 중국팀은 구멍이 좀 심각한데요? 저 선수들 데리고 못이깁니다 ig팀원들은 시비르때문에 홧병날지도
15/10/04 02:34
시비르 못커도 바위게 드립 나왔을때는 그냥 웃었는데
이게 진짜 안좋은 의미로 바위게가 되었네요. 미드에서 멀뚱멀뚱 그렇게 죽을만큼 처맞는거 보고 바위게 빙의한줄 알았습니다
15/10/04 02:34
이거 특정 팀이 메타를 못따라가서 무슨 한시즌만에 폭망한건 봤어도
무슨 리그 자체가 폭망한건 정말 희귀한 케이스네요 한국의 경우 넘사벽 최강에서 내려왔지만 그건 중국에 선수들이 죄다 빠져나가버린 탓이고 물론 아직 뭐라 말하긴 섣부르긴 합니다만, 이정도면 뭐 간보기니 전력숨기기니 이런말 하기도 민망한 수준이죠
15/10/04 02:34
중국이 이렇게 죽쓴적이 있었나요? 시즌2 ipl부터 우승 못할땐 있어도 꾸준히 상위권을 찍은게 중국인데 이번 롤드컵은 3팀 모두 멸망이라니 덜덜..
15/10/04 02:38
전 딱히 EDG가 약하다고 생각하지않습니다. 오히려 플래시 울브즈가 잘한다고 생각합니다. CLG 사앧로도 그랬고 KOO상대로도 그랬고 정말 좋은 운영을 보여줬죠
15/10/04 02:48
전 오히려 비벼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게임이란게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개인적으로 쿠도 EDG와 해볼만하다고 했는데 그런 쿠가 EDG에게 진 만큼 플래시울브즈도 충분히 해볼만하다고 봅니다. EDG가 잘한다고 구멍이 없다고 하지만 결국 LGD가 EDG를 잡고 우승을 했으니까요. 그리고 그런 LGD는 지금 D랭크에게 터지고 있었구요. EDG에게 같은 결과가 나오지말란법없죠. 더군다나 플래시 울브즈는 북미 1위인 CLG에도 거의 다이긴 게임 실수로 진거고 한국 2위인 쿠타이거즈도 잡았으니까요
15/10/04 02:35
레딧 경기 후 댓글에서 빵 터졌네요 크크크크
"THIS IS A WORRYING TREND FOR CHINA MotherFXXkers"
15/10/04 02:35
이게 진짜 중요한게 생각외로 b, d조가 파워 밸런스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느낌이라 중국팀 두팀이 꽤 치명적으로 흔들리고 있네요.
물론 아직 1주차도 1경기씩 남았고 2주차도 남아있지만...
15/10/04 02:38
그러나 저러나 이번 롤드컵은 정글러 활약이 거의 없네요. 시야 장악이 빡빡해서 유효 갱킹 자체가 거의 없어서, 오롯이 운영만으로 승부가 나는 느낌.
15/10/04 02:39
그리고 탑이 망하는건 별 상관 없다 이런 느낌..
물론 썸데이 다리우스, 마린 피오라 & 레넥톤 처럼 눈에 띄게 캐리하는건 다릅니다만.
15/10/04 02:38
루키는 1인분씩만 하면 태워주겠다는데 나머지가 엎어버렸고
볼스는 초반부에 무존재감에 중반 넘어서야 사람같이 했는데 나머지가 강제로 밸트매고 버스태워줬네요 크크
15/10/04 02:38
kid가 망쳤죠.
일단 봇에서 밀렸지만 탑 정글 미드가 잘해주면서 1,3,1 돌리는 상황에서 미드 라인클리어만 해주면 되는데 무리하게 올라가다가 창에 찔려서 빠질수 밖에 없었고 그 기회를 이용해서 c9이 미드 쭉밀면서 정글 장악하고 첫 바론 대치 유리하게 만들고 거기서도 혼자 가다가 물려서 점멸쓰고 집가고 그래서 바론도 뺏기고 드라곤 대치상황에서도 딜 못넣고 루키가 혼자 해보지만 역부족... 중국 선수들은 lpl에서도 그렇고 전부 케리병이 심해요. lpl리그는 서로 케리병이니 그게 맞물려서 박터지게 싸우면서 재밌어 보이지만 이렇게 빡빡하게 운영하는 경기에서는 독만 될뿐이죠.
15/10/04 02:42
edg는 분명 순항중이고 격차가 좀 나더라도 괜찮은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긴 한데... 한 팀만 잘하고 나머지 팀이 쓸려나가면 리그에 대한 평가가 낮아질 수 밖에 없지 않나 싶어요.
15/10/04 02:43
뭐 결국 나라 전체에 대한 평가는 어떤 팀이 높은 자리까지 올라갔냐니까요.
EDG가 우승까지 차지하면 쏙 들어갈 이야기긴 합니다.
15/10/04 02:38
진짜 꾸준히 c9 팬이었는데 이 팀은 팬할 맛이 납니다...진짜 만화 주인공 같은 팀들이랄까...진짜 엄청나게 강한 건 아닌데 지는 경기도 재밌게 지고 전혀 예쌍치 못한 경기를 이기는 모습도 자주 보여주고...
캬~
15/10/04 02:40
Jatt이 볼스 국내 솔랭이 다이아2에서 머무르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는데, 이게 선수들의 반발로 이야기가 확대되면서 밈처럼 발전했습니다.
15/10/04 02:40
라이엇 직원이 c9 balls가 한국에서 솔랭을 빨리 못올리는거에 대해서 우려된다고 이야기했다가 솔랭 못하는 북미 프로들한테 폭격맞은거 말하는거 같아요.
15/10/04 02:39
iG
zzitai 16.1k kakao 10.3k rookie 20.5k kid 13.9k kitties 6.4k C9 balls 10.5k hai 12.0k incarnation 39.2k sneaky 24.2k lemonation 7.6k
15/10/04 02:40
중국이 우리보다 앞선다는 분석 자체가 IEM하고 MSI 때문이었는데 둘 다 판단을 내릴 근거로서는 정말 형편 없는 경기수와 포맷 그리고 왜곡적 요소가 있었죠. 가령 IEM은 다들 시즌 중이라 준비가 어려운 대회였고 MSI는 각 최고 1팀 끼리 붙여놓은거라 리그간 비교도 어렵고 SKT 일정이 살인적이었는데 결국 준비 부족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는 픽밴에서 진거니; 이 두가지를 보고 어느 한쪽 메타가 완전 앞선다느니 한국은 이제 국제대회에서 중국에게 완전히 밀렸다니 하는건 너무 나간 분석이고 그것 때문에 역풍 제대로 맞는거라고 봅니다. 레딧에서도 벌써 중국은 매 시즌 거품이라는 댓글들이 보이죠.
15/10/04 02:56
무슨 롤 전문가들을 다 롤알못 취급하는 댓글들이 계속 반복되어서 답답하네요.
IEM MSI 말고 근거로 삼을만한 세계 대회가 어디 있었습니까? IEM이 시즌 중이라 준비가 어려운건 어느 지역이나 다 마찬가지였구요. 그리고 그 때의 실패를 삼아서 분명히 변화한 부분이 많은게 현재의 LCK입니다. 그리고 IEM MSI 에서의 경기수나 지금 롤드컵 조별예선 1/3한 경기수나 도찐개찐으로 경기수가 적어요. 지금 보여주는 모습만으로는 IG와 LGD의 부진이 눈에 띄지만 이 때다 해서 감정싸움 하자고 올라오는 댓글들은 참 눈쌀 찌푸려지네요.
15/10/04 02:59
그래서 저는 지금도 평가를 보류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 쪽 편향된 전문가들은 그러지 않았죠. 그리고 MSI나 IEM이 딱히 한국에 불리한 대회라는걸 말하려는게 아닙니다. 어떤 판단의 근거로 삼기엔 표본의 질이나 양이 너무 부족하다는거죠.
15/10/04 03:11
네 마찬가지로 아직 조별리그 반도 안지났는데 벌써 중국 리그 거품 꺼졌다 이런 소리 하기도 표본이 부족해요.
중국 쪽으로 편향된 전문가들이라기 보다는 중국이 우세하다, 잘한다 하는게 대세인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어찌됬든 그들의 직업이 '누가 누구보다 낫다'라는걸 이야기 해야 한다는걸 고려하면 너무 고깝게 볼 이유가 없다고 봐요. 일련의 경기들을 보면서 과거 발언을 수정하고 또 새롭게 평가하고 하는게 직업이니까요.
15/10/04 03:20
뭐... 그건 그런데 해외 쪽에서 중국 관련 분석가들 중에 지나치게 편향된 분들이 몇 있습니다. 이 분들이 지난 시즌 4 나메이 띄우기의 주역들이기도 했고; 중국이 강하다는게 대세 의견으로 자리 잡은 것 자체는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있는 표본이 그것 밖에 없었으니.
15/10/04 02:40
IG 봇듀는 그냥 443 바위게 이해할만한 드립이구요.... 운영도 솔직히.....LCK에서 저런 운영 했으면 눈썩이라고 비판받을 운영을 해서...EDG 말고
조별리그 광탈확률 60%정도 예감합니다..
15/10/04 02:41
근데 과거 무전기 메타때도 그렇지만 하이 이선수도 진짜 재능이 남다르네요. 오더도 쩔지만 정글러의 기량으로 봐도 준수하다는게...
15/10/04 02:45
시즌 4 롤드컵에서 하이 선수가 있던 C9이 그야말로 도망자 메타를 구사하면서 눈치 보면서 스플릿으로 백도어 계속 하면서 게임 운영하는 거였습니다 크크크
15/10/04 02:46
지난 시즌 4에서 집요하게 제드가 스플릿과 백도어를 선보이면서 흔드는 모양새를 보여줬는데 그걸 보고 무전기로 통신하면서 잠입액션하는 느낌이라고 무전기 메타라 불렀습니다 크크크 그때 나진이랑 삼성 블루가 크게 흔들렸던 걸로 기억합니다. 크크
15/10/04 02:50
작년 롤드컵에서 제드로 스플릿 한 경기를 말합니다.
1:4 로 스플릿 하면서, 팀원들과 와드를 통해 정보를 얻어서 적이 근처로 온다 싶으면 숨고, 적이 다시 가면 나와서 스플릿하고. 이 장면을 해설진이 기가막히게 살리면서 무전기 메타라는 말이 나왔었습니다.
15/10/04 02:44
정글링이 어떻다 갱킹이 어떻다를 떠나서 저 하이가 들어오고 리그 7위팀이 롤드컵에 올라왔다는 것 만으로 인정해야되지 않을까... 싶어요.
15/10/04 02:46
원래 정글러출신이었죠 미드포변하고나서 피지컬쪽에 좋은평가 못받았지만 샷콜능력은 북미최고라고 얘기들었었는데 정글러출신인게 크다고 생각합니다
15/10/04 02:41
바드는 원래 저러기 쉬운챔프라 이해라도 되는데 키드가 진짜심했죠 트루 라인전에서 완전 발린것도 발린건데 미드에서 아지르한테 딜교 삑낸건 진짜 프로면 하면 안되는 수준의 실수였고 한타페이즈에서 실수는 생각나는거만 두번이상이네요 키드가 캐리했습니다이건
15/10/04 02:42
개인적으로 이렇게 될 것 같았다는 생각을 한 이유는
예전에 미드 에코의 코코 선수와 아지르를 픽한 아나키의 미키갓 선수의 솔랭을 본 적이 있었는데 그 솔랭의 내용은 6랩 이전에 에코가 파밍에 어려움을 겪음 6-7랩에서 에코가 순수하게 솔킬을 내면서 하드캐리의 기분을 느끼게 함 같은 팀의 누군가가 싸면서 스플릿 운영이 되기보다는 커버링에 치우치거나 대치전이 강요됨 죽창이 갑자기 많이 아파지면서 한타를 계속 짐 그리고 서랜의 흐름이었죠. 따지고 나면 IG가 보여준 게임의 수준은 딱 솔랭수준입니다. 누군가가 정신을 차렸으면 미드캐리 받으면서 끝나는 게임이었죠.
15/10/04 02:42
몇개월간은 중국리그 세계최고라고 떠드는꼴 안볼수 있어서 속 시원하네요.
매년 이렇게 박살나서 조용하다가 신기하게도 몇달뒤면 귀신같이 또 띄워주는 사람들이 나와요
15/10/04 02:45
글쎄요. 매년 중국리그 띄워주기가 있었다는건 처음 듣는데요. 올해가 처음으로 잘하지 않나 하는 평가가 시작된거죠. 한국팀 에이스들이 대거 중국으로 넘어갔고, 실제로 이전 세계대회에서 결과가 있었으니까 이런말이 나오는거죠. 한국팀들 성적 좋다고 오히려 중국리그에 대해 후한평가 했던 분들을 멸시하는 분위기가 너무 심한데 한국대회 욕할라고 그런 평가 했던게 아니라 결과로서 말했던건데 스무디킹님 뿐만 아니라 지나친 말들이 너무많네요.
15/10/04 02:46
사실 이번에는 그럴수밖에 없었던게 당시 한국최고 선수들인 카카오라든지 삼성화이트 선수들도 나갈당시에는 한국최고였거든요. 그런데 이 선수들이 기량이 떨어진게 아니라 이적을 해버려서 비교대상이 사라져버려서 당연히 선수들이 빠진 중국이 최고리그 라고 밖에 생각할 수 없었죠. 그러나 중국가서 의사소통의 문제도 있고 선수들의 기량도 하락하면서 확실히 중국이 최고라고 말하긴 힘든게 증명이 된거죠
15/10/04 03:01
그런 평가자체가 현재까지는 이상한거죠. 10명이 그대로 중국을 '한팀'으로 갔으면 신뢰성이 높지만, 시너지라는게 결코 무시못하는 5:5팀게임인데 중국에 최고 10명 다갔으니깐 한국리그 = 설거지리그 이상한 논리인거죠.
SKT가 마치 호랑이 없는곳에 날로먹는 팀으로 치부하는 사람들도 여러있었고요. IEM은 모르겠으나 MSI만큼은 3:3 결과인데도 중국 >>>>>>>>>> 한국 말하는사람들이 엄청 늘어났죠.
15/10/04 02:42
C9은 서머 중반까지만 해도 스니키 부진 + 인카네이션 이름값 못함 + 볼스 최악 + 오더의 약화로 강등위기까지 갔는데
하이 끼면서 팀 운영이 좋아지고, 후반가면서 스니키-인카네이션 더블에이스가 부활하면서 극적으로 올라오더니 롤드컵 전지훈련 때 무슨 특훈을 한 건지 실력이 더 올라왔습니다. 인카네이션 엄청 잘하네요 진짜;
15/10/04 02:45
진짜 하이 이 친구가 진국입니다..겉으로만 보면 스니키와 인카네이션 두 피지컬 맨이 캐리하는 것 같은데 내적으론 하이가 거의 독재자 수준으로 오더를 내린다죠. 마타 같은 존재랄까. 아무튼 메테오스 나간 건 아쉽지만 하이랑 비교하면 너무 차이가 많이나서 어쩔 수가 없어요.
15/10/04 02:42
개인적으로 lpl의 부진은 일단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가장큰거 같습니다.
Lgd나 ig나 한국선수들과 중국선수들 간의 움직임이끊어져요. 사실 작년보다 팀들이 상향평준화된 상황이라 조금의 틈이 치명적으로 작용하죠
15/10/04 02:45
저는 그냥 4명이 1구멍못막는다때문인거 같아요
물론 상향평준화가 그 구멍에 더치명적으로 작용하는거 같기도 합니다 근데 정말 1인분만 하면되느 상화에서 그걸 못하니...
15/10/04 02:48
정말 너무 멋진 선수에요. 미드였을 때도 매력덩어리였죠... 미드의 슈퍼스타들을 상대로 서포트 미드라는 자신만의 스타일로... 기흉이 아니었다면 미드로도 더 멋진 활약했을거에요. 은퇴안했으면 좋겠어요... 유유
15/10/04 02:43
괜히 마타가 마우스 집어 던지고 겜 안한게 아니죠. 중국 얘들은 왜이리 케리병이 심한지... 시비르로 멀 믿고 그리 미드에서 치고 간건지...
진심 1,3,1 돌릴때 조심하면서 라인 클리어만 해줫으면 이겼을 거에요. 탑 미드 우위로 정말 좋았는데 말이죠.
15/10/04 02:44
현재까지 북미도 만만찮은 매치업을 상대로 성적이 진짜 기대 이상이네요. CLG, C9 각각 2승, TSM만 2패. 토탈 4승 2패라니
15/10/04 02:45
최근 국제대회에서 지역 어디든 피지컬은 거기서 거기라는걸 증명했는데. 서구권팀이 한국와서 운영적인 측면을 많이 보완했네요. 거기에 비해 중국팀들은 본국에서 하던 스타일 그대로 하니깐 간파당해서 강제로 운영싸움으로 가게되고 크게 밀리는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15/10/04 02:47
일단 지금까지의 결과만 놓고 느낀점을 써보자면
1. 한국팀중에 쿠는 생각보다 위험해보인다. 2. 중국팀중에 IG와 LGD는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어보이며 생각보다 굉장히 약해보인다. 3. 프나틱은 기대대로 정말 강하고 CLG는 기대했던거에 비하면 뭔가 아리쏭하고 TSM은 기대대로 못하고 있으며 C9는 스니키가 정말 잘하고 운영적인 면이 좋아보인다. 4. 나머지 유럽의 2팀인 오리진과 H2K는 오리진은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잘하고 있고 H2K는 그닥 기대가 되지 않는다 5. SKT는 역시 강력했고 KT는 썩 좋은 성적을 못거둘거라고 개인적인 예상을 했는데 빗나가는 거 같다 6. 동남아팀들은 도대체 어느정도인지 감도 안잡힌다 7. 와일드카드팀들의 실력은 현재로썬 어쩔 수 없는 거 같다
15/10/04 02:49
그정도는 아닙니다. 물론 SKT,KT가 이길거라는 거에 걸겠지만 SKT가 아니면 쉽게 이기진 못할것같습니다.
C9이 요소요소마다 잘했어요.
15/10/04 02:52
솔직히 똑같은 상황이 SKT KT에 주어졌으면 볼즈는 계속 말라죽고 하이는 탑 집간타이밍에 커버만 줄창가다가 봇이 갱킹에 털리는 그림이 그려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