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2/13 20:18
더블임프트 한타 무빙 보소;;;;;;;;;;;;;;;;;;;;;;;;;;;;;;;;;;;;;;;;;;;;;;
라인전까지 포함한 원딜러로서의 총합치는 차치하고서라도, 한타력은 진짜 임프가...
13/02/13 20:19
LG IM은 라일락이 문제인게 맞죠.개인 기량도 문제고 팀에서 픽밴/오더를 맡는 걸로 알고 있는데 LG IM 픽밴이랑 오더 때문에 말아먹은 경기가 한둘도 아니고...
13/02/13 20:20
MVP는 역대 팀들 중에서 지금 조합이 가장 강한 느낌도 있어요. 사실 이지훈만 초반 잘 넘기고 성장하면 부족한 게 없는 팀입니다.
13/02/13 20:20
가능성은 진짜 없지만.. -_-;;
MVP화이트 맴버와 GSG출신 맴버들을 하나로 합치는것도 정말 좋아보이네요 하지만 이러면 시드가 한장날라가고 나머지 한명의 맴버가... ㅠ
13/02/13 20:21
천주선수를 좀 더 띄워줄 수 있는 부분이 많았던거 같은데... 아까 산불궁때문에 평가가 너무 박해졌나 싶기도 하고..
모처럼의 우리말 방송인데 영 성에 안차는게 사실이네요.
13/02/13 20:21
카서스 럼블 존야타이밍이 진짜 좋네요;;;
이즈리얼이 3딜템은 정말빨리 뽑았는데 그후로 전혀 템이 늘어나지 않으면서 약간씩 딜이 부족했구요.. 후반 올라프의 존재감은 거의 0... lg는 베인을 좀 더 확실히 물 수 있는 케릭이 없는게 아쉬웠습니다. 전체적으로 다른 포지션들은 다 비등비등 했다고 보는데 후반 올라프 vs 럼블의 존재감 차이가 결정적인것 같습니다.
13/02/13 20:21
신짜오도 그렇고 올라프도 그렇고... OP챔이라고 무조건 가져오는건 아닌듯 싶기도 하고. 물론 상대방에게 주기 싫어서 가져왔을지도 모르지만
해외대회를 보면서 느끼지만 OP챔프 보다는 연구와 조합에 더 신경쓰는게 좋아 보입니다.
13/02/13 20:21
베인은 적이 올라프인데 거의 프리딜 수준이고 이즈는 럼블 궁이 항상 레드카펫처럼 깔리고 ;
저 올라프가 샤이였다면 임프의 저 모습은 안나왔을듯.... 진짜 라일락보면 클라스는 영원하다는 말도..... LG는 봇이 쌍으로 영원히 고통받는 느낌이네요
13/02/13 20:22
방금 MVP팀은 호홉만 잘 맞추면 스프링에서도 경쟁력이 있을꺼 같아요.
기존 엠화보다 강해보이네요. 시드랑 서킷포인트가 아깝긴 하지만..
13/02/13 20:24
이즈리얼의 삼위일체가 아쉽네요..좋은템이긴 하지만 얼어붙은 건틀릿이었으면 더 좋았을듯..
임프도 임프지만 마타도 괜찮네요. 임프의 엄청난 무빙 직전에 이즈리얼과 베인이 영혼의 1:1 하다가 베인이 밀리니까 뒤에서 어느샌가 룰루의 커져라~
13/02/13 20:25
이렇게 되면 LG IM이 다음 경기 지면 어려워 지는것이 CJ전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 어려운 상황이 됩니다. 그런데 4경기를 MVP가 이기고 5경기를 CJ가 이긴다면 6경기는 의미가 없는 것 아닌가요.
13/02/13 20:27
중간중간에 영 이상한 소리를 하긴 합니다만 1인 중계라는 점에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크크
부담감만 해도 장난이 아닐 테니까요.
13/02/13 20:33
크.... 그건 그렇죠. 다만 한창 때의 김동수에게는 그만한 기대를 걸 수 있는데, 최근의 김동수는 롤에 대한 열정이 조금 식으면서 폼도 같이 떨어진 느낌이라... 그냥 비슷비슷...할 듯하네요 흐흐
13/02/13 20:32
네 흐흐 그 부분을 감안하면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끔은 가장 기본적인 부분을 안 짚어주는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다른 사람도 아니고 동준좌랑 해설을 해왔는데 이제사 혼자 다 해야 하는 상황에서 아는 것도 다 나오기 힘들겠지요. 잘해주고 있다고 봅니다~
13/02/13 20:26
아무튼 LG는 남은 3경기(MVP, CJ, CJ) 중에서 2경기는 잡아야 되는 상황입니다.
후보선수..랄까 아무튼 방송경기 경험 없는 선수들의 포텐폭발이 급하게 요구되는 시점이네요.
13/02/13 20:31
강현종이 CJ 구 멤버들 기용할 생각이 없는 건 명확하네요
CJ 구 멤버들을 출전시키던,그냥 벤치에서 구경만 시키던 경기에서 이길 목적이면 그 선수들도 엔트리에 포함시켜야 했어요 지금 MVP를 보면 견적 나옵니다 럼블 밴 안 하면 천주 나오고,럼블 밴하면 옴므 나올 겁니다.헛밴한거죠. 선수의 존재 자체가 상대의 픽밴을 꼬는데 그런 우위를 버리고 선수들을 숙소에서 썩힌다? 뭐하자는 거죠 이건.
13/02/13 20:32
그렇죠. 인섹만 엔트리에 있었어도 제드밴을 해야되나 말아야 되나
롱판다만 있었어도 앨리스를 밴해야 되나 말아야 되나 고민할텐데요.
13/02/13 20:36
다른 예를 들자면 신짜오의 예를 들 수 있겠네요.
기존 아주부계열 멤버들로만 구성된 팀이면 상대 팀은 신짜오 픽을 보고 정글 짜오만 고려하겠지만 롱판다가 엔트리에 있다면 탑 짜오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건 엔트리에 선수가 많으면 그냥 무조건 유리한 규정이에요
13/02/13 20:34
이게 일정이 바쁩니다 오늘부터 금요일
다음주 월 수 금 토 해서 끝내는걸로.. 2인/3인중계 번갈아가면서한다네요 동준좌도 나올겁니다
13/02/13 20:34
설마 그건 아니길 빕니다... 강민 본인에게도 부담이겠지만, 보는 입장에서도 하루는 응응 혼자서는 역시 힘들겠지 하면서 보더라도... ㅠ.ㅠ 동준좌가 보고 싶습니다
13/02/13 20:34
그나저나 MVP 화이트는 팀 빌딩 잘 한거 같네요.
GSG 3인 + 임프 + 마타. 기존 GSG 보다는 조금 더 강해보이네요. 기존 GSG가 이미 빅3? 빅4 제외하고는 최강팀이었던걸 감안하면... 빅4 안에 들어갈수도 있겠네요. 변수는 마이틀리를 버리고 유명한 선수들을 영입하는 SKT 와 인섹 스페이스등 기존 CJ 선수들의 이동이 변수겠네요.
13/02/13 20:35
이게 애매한게 GSG3인만들어왔고
MVP화이트도 미마,밍구가 나가서 3명만 남아있는상황이라 시드생각하면 아마 못합칠듯..?
13/02/13 20:39
그게 문제네요...
팀 입장에서도 10명이 전부 시드 받고 경험치 쌓는게 나을수도 있으니... 문제는 GSG 3인이 임프만한 원딜을 어디서 구할것이며.... 기존 엠화의 3인은 옴므가 좀 구멍이라서....
13/02/13 20:35
GSG랑 엠화의 시드 2개중 하나를 버리면서 리빌딩할 가치가있는지는 직접 판단해야겠지만..
충분히 가능성있다고봅니다. 그런데 시드를포기하기엔..너무아깝죠 예선 뚫을수있는지 확실하지도않고..
13/02/13 20:36
화이트는 옴므,댄디,이노베이션,임프,후마 로 갈거 같고
옴므, 댄디, 임프 중 한명이 블루로 가버리면 화이트팀 시드가 사라지니까요. 블루로 gsg 멤버3명을 데려오면서 서킷포인트와 스프링 시드를 갖고 바텀을 새로 뽑을 것 같네요.
13/02/13 20:37
LG-IM 밴 : 럼블, 쉔, 카서스
MVP 밴 : 제이스, 리 신, 신 짜오 블루 - LG-IM : 트위스티드 페이트 / 올라프, 이즈리얼 / 이렐리아, 블리츠크랭크 퍼플 - MVP : 케이틀린, 소나 / 라이즈, 바이 / 문도 박사
13/02/13 20:37
그래요 이겁니다. MVP는 모든 선수들을 엔트리에 넣음으로써 각 선수들이 가장 잘하는 챔피언을 픽하고, 그에 따라서 선수들을 입맛대로 가져갈 수 있지 않습니까? 지금만 해도 아직 뚜껑은 안 열렸지만 MVP의 문도는 옴므의 탑 문도고 MVP의 바이는 츄냥이의 정글 바이죠. 만약 달리 흘러간다 하더라도 그것도 그것 대로 상대에게 혼란을 주는 셈일 겁니다. 그런데 CJ는... 씁....
13/02/13 20:39
lol이 이런식으로 계속 가면 식스맨이 필요하겠지만.. CJ 같은 팀이 이 경기 우승에 크게 많은 의미를 둘 것 같진 않습니다. 팀 케미 재확립의 기회로 삼겠죠.
13/02/13 20:38
마스터즈 방식이 픽밴이 뻔한측면이 없어서 괜찮은것 같네요.
그리고 후보 선수들 기용이 가능하니 게임단 구성에 여유도 생기고요. 진행만 매끄럽게 되면 괜찮은것 같네요
13/02/13 20:39
픽밴이 기존보다 훨씬 넓어져서 재미라는 측면에서 늘어난거 같은데..... 좀 지루하네요
차라리 쉬는 시간 광고시간에 픽밴 상의해서 다 해버리고 바로 선수 앉아있고 챔프 소개하면서 했으면 좋겠네요.
13/02/13 20:41
블루 - LG-IM : 이렐리아(스맙), 올라프(링), 트페(미드킹), 이즈리얼(파라곤), 블리츠(라일락)
퍼플 - MVP : 문도 박사(옴므), 바이(츄냥이), 라이즈(이지훈), 케이틀린(임프), 소나(마타)
13/02/13 20:43
30대같은데..확실한건 총감독분보다는 어립니다... 저 가운데에있는분이 롤 감독이고 왼쪽에 있는분 MVP총감독.. 아마 롤감독분보다 4~5살정도 더 많습니다.
13/02/13 21:08
그럴꺼면 이야기를 하지 마셨어야죠.
'크크크 그사람 실제로는 영...' 이런 식으로 이야기 해놓으시고 이야기 할 맘은 없다고 하면 뭐 안좋은 소리가 사라지나요; 공공장소에서 뒷담화 한거나 마찬가진데... 님도 그다지 만나보고 싶지는 않네요.
13/02/13 20:43
이렐리아 기대 해보겠슴다.
전 처음에 엑스페션이 보여줬던 니달리가 정말 충격적이었기 때문에... 오늘 대박치고 엑페 못지않은 훌륭한 탑솔러가 되기를...
13/02/13 20:44
뭐랄까 픽백은 녹화방송으로 하면 안될까요? 5분녹화가 안될려나..
광고시간에 픽밴하는거 녹화 해놓고, 녹화해놓는거 틀어놓을때 셋팅하면 시간좀 줄이고 재미도 다 잡을수 있을텐데...
13/02/13 20:44
옴므는 탑문도를 자신의 트레이드마크로 선택했군요. 옴므 탑문도로 재미 많이 봤는데 그걸 모르는 강민...해설가지고 뭐라한적은 없는데 경기는 좀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13/02/13 20:56
마 오늘만은 있는 힘껏 좋게 봐주려고 노력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흐흐;
다만 첫 1해설 체제라고 이해해줄 수 있는 것도 오늘까지겠지만요.
13/02/13 21:00
저도 웬만하면 해설자들은 비난하지 않는 편인데.....
경기상황은 거의 90% MVP쪽으로 기울었는데 LG-IM쪽으로 완전 경기 기울었다고 말하는게 이게 정말 제정신으로 말하는건지 생각없이 머리따로 입따로 말하는지... 왜 저런 사람들 해설로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13/02/13 21:02
크크크크 ㅠ.ㅠ 그 심정 이해합니다. 처음에는 저도 적극적으로 칭찬할 부분을 찾아보려고 하고 그랬는데 자꾸 이상한 소리가 계속해서 나오니까 이젠 무념무상이네요...
13/02/13 20:44
근데 아무나 신짜오 한다고 잘하는건 아니네요.
와치의 짜오 같은 모습은 찾기 힘드네요. 결국 Cj는 소드말곤 잡을팀이 없을꺼 같네요.
13/02/13 20:48
그런데 차기 시즌을 위해서 온게임넷은 추가 해설을 영입해야 한다고 보여집니다. 차기시즌도 기존방식으로 진행되면 12강은 주 3일 진행 될텐데 그러면 해설 1명이 더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김태형 해설은 스타리그 해설이라 해설이 어려운 상황이고 선수출신 해설을 영입하든 고정적으로 해설 할 사람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13/02/13 20:50
프로리그도 일정이 빡세서 둘다는 무리인가요? 이승원해설이 하면 좋을텐데 아니면 김태형해설이나 엄재경해설이라도... 엄해설은 스타리그해설말고 프로리그중계 하나요?
13/02/13 20:48
참 진행방식은 맘에 안드네요..
세팅문제는 100% 생길게 뻔한데... 픽밴을 마친 다음에 셋팅을 하라고 하니... 12시 넘기는게 뻔해 보입니다..;;;
13/02/13 20:54
이번겜 지고 cj한테도 1경기지면 2경기에는 차노아겜 한번 보고싶네요
못하는데 억지로 대리고 있다는 루머들이 많아서 실력좀 보고 싶네요..
13/02/13 20:58
라이즈가 트페보다 cs 20개넘게 밀렸는데 금새 따라잡았네요.
그리고 트페는 좀 도박수로 2도란링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탑도 문도고 봇은 평화롭고 딱히 이득볼 곳은 없어보이는데... 어차피 블루도 받았고..
13/02/13 21:00
2인체제가 비어보이는 이유는 강민 해설의 문제가 아니라 생각합니다.
2인체제에서의 캐스터와 해설은 3인체제와는 다르거든요. 캐스터가 캐스터의 역할뿐만 아니라 보조 해설의 역할도 어느정도 겸해줘야..
13/02/13 21:11
아..강민 이득은 아니죠..
일단 바론싸움에서 바이 궁극기가 생각외로 너무 잘들어갔고 MVP의 타겟팅이 좋았던점을 지적했어야한다고 보는데 흐음..
13/02/13 21:15
좀 뒤에 덧붙인 설명을 하긴했지만 성장하면 무서운 챔프인 라이즈와 캐이틀린이 킬을 먹어서 일겁니다. 단순 골드상으로만 볼 것은 아닌 것 같네요.
13/02/13 21:15
생각이 다른 사람을 두고 못 까서 안달이라고 하시면 안 되죠.
다른 사람이 탱구와레오님을 두고 못 빨아서 안달이라고 하면 안 되는 것처럼요.
13/02/13 21:21
채팅창에서 강민을 대놓고 욕하는건 못까서 안달인거 맞다고 보는데요.
다른사람이 님을 욕하고 까면 기분 좋지는 않을 꺼 아닙니까?? 그리고 동준좌랑 비교해서 잘하는건 아니지만 바론한타이후 상황판단 말고는 그렇게 못한다고 보지 않아서요..
13/02/13 21:29
기분나쁘실지모르겠지만 가감없이 말해서 솔직히 진짜못합니다.
평타라뇨... 전 정말 모르겠네요. 그래도 못하는게 죽을죄는 아니니까 욕은 안합니다만 못한다고 까시는 분들을 말리기도 민망하고 쉴드치기도 너무 힘드네요. 특히나 김동준도 아니고 강민에게 2인 중계를 맡기는건 정말 무리인것 같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