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3/06/02 11:49:17
Name 곡물처리용군락
Subject [스타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5R EG-TL vs SKT
-프로리그-
5R 5주차
12시(용산 상설경기장)

▶EG-TL vs SKT

1세트 벨시르 잔재 플토김학수(Oz,P) vs 플토최민수(Brown,P)→김학수 승
2세트 신투혼 플토김학수(Oz,P) vs 플토정윤종(Rain,P)→김학수 승
3세트 아킬론 황무지 플토김학수(Oz,P) vs 플토원이삭(Parting,P)→원이삭 승
4세트 돌개바람 저그이제동(Jaedong,Z) vs 플토원이삭(Parting,P)→이제동 승
5세트 나로정거장 저그이제동(Jaedong,Z) vs 테란정명훈(Fantasy,T)→정명훈 승
6세트 뉴커크재개발지구 저그최정민(zenio,Z) vs 테란정명훈(Fantasy,T)→정명훈 승
7세트 코랄 둥둥섬 플토박진영JYP,P) vs 테란정명훈(Fantasy,T)→박진영 승

4:3 EG-TL 승리

국문중계: 네이버 / 유튜브 /온게임넷 /티빙/ 유스트림
영어중계: 트위치tv
불판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6/02 11:55
수정 아이콘
EG-TL 풀전력으로 해도 장담하기 힘든판에 오늘 멤버는 ㅠㅠ......
13/06/02 11:56
수정 아이콘
앗 시작이군요. 고맙습니다.
DavidVilla
13/06/02 12:02
수정 아이콘
감독, 코치 제외하니 딱 네 명 나오네요;
13/06/02 12:05
수정 아이콘
윤영서는 또 안 나왔네요.. 그냥 아예 참가하지 않는 것이 나을듯.. 딱히 스케쥴도 없으면서 불참하는 것이 한 두번 아닌데 참 ;;
13/06/02 12:47
수정 아이콘
손목부상때문에 쩔쩔매고있는거 아닌가요...
13/06/02 13:11
수정 아이콘
그런 손으로 어떻게 갠방송은 하는지 모르겠네요.
13/06/02 12:08
수정 아이콘
오 김학수 몰래 탐사정을 크크

광자포러쉬를 시전하네요
13/06/02 12:09
수정 아이콘
독하다. 이런것도 처음 보네요. 크크
13/06/02 12:10
수정 아이콘
결국 광자포러쉬로 쉽게 1승 거두는 김학수
13/06/02 12:10
수정 아이콘
김학수선수와 하이파이브를 하는사람이 감독,코치 포함 5명 크크...
L.lawliet
13/06/02 12:11
수정 아이콘
전력의 핵심인 송현덕이 미국에서 wcs를 치루기 위해 빠졌군요..
13/06/02 12:11
수정 아이콘
바로 정윤종을 내보내네요;;
13/06/02 12:12
수정 아이콘
오 관중 꽤 많네요. 게다가 정윤종. 켠김에 정윤종 크크.
13/06/02 12:12
수정 아이콘
올킬을 하기 위해 내보낸듯한;;; 다승 1위 따라잡을수 있을지
L.lawliet
13/06/02 12:12
수정 아이콘
정윤종 내보냈다는 것은 올킬 노리겠다는거나 마찬가지죠.. 못해도 최소 3킬을 바라고 낸 카드인데요.
13/06/02 12:14
수정 아이콘
만약에 1명이라도 더 빠졌다면 오늘 EG-TL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딱 4명이네요;;
온니테란
13/06/02 12:15
수정 아이콘
엔트리가 정윤종,원이삭,정명훈 + 1명같네요.
6라운드가면 택신도 다시볼수있을꺼같아요~
13/06/02 12:16
수정 아이콘
당장 다음주 STX전에서 신대근선수와 경기하죠 택신은.... 크크
온니테란
13/06/02 12:17
수정 아이콘
아 이미 선봉인가요? 크크 연습실에서 괜찮게 하고있는거같네요. 임감독이 최근 자주기용중이고~
13/06/02 12:18
수정 아이콘
선봉이 아니라 다음주부터 다시 프로리그 방식이예요~ 오늘이 5라운드 마지막 경기죠. 김택용선수는 다음주 4세트에 나옵니다
온니테란
13/06/02 12:19
수정 아이콘
아. 6라운드 엔트리였나보군요~~ 확인해봐야겠네요 훗;
13/06/02 12:21
수정 아이콘
초반러쉬를 매우 싫어하시는 박태민해설이 래더에서 3연 광자포러쉬를 당했네요 크크
13/06/02 12:21
수정 아이콘
아 진짜 맞어요. 10여년전에 아는 형이 여자 동기 데려와서 자기 하는거 보여주면서 저와 했는데 제가 이겼...
저는 그걸 잊고 있었는데 얼마전에 그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승부는 승부죠. 크크크.

그때 그 형이 뽀대 따진다고 무한도 아닌 헌터스에서 했는데 말이야. 크크
13/06/02 12:22
수정 아이콘
근데, 안 그래도 부족한 선수인데.. 윤영서 선수는 왜 자꾸 안 나올까요?
오늘 다른 경기가 있는 것도 아니던데..
13/06/02 12:23
수정 아이콘
어떤 다른 이유가 있을거라고 생각해요.
13/06/02 12:24
수정 아이콘
전용준 화이팅!!!
13/06/02 12:26
수정 아이콘
해변김과 해변김의 여자친구분 단 둘로 이뤄진 스타크 클랜 크크크크
13/06/02 12:26
수정 아이콘
아 저건 너무 쉽네요 크크크 이윤열선수죠 크크크
13/06/02 12:27
수정 아이콘
30분을 50분으로 크크크
13/06/02 12:28
수정 아이콘
아 전상욱님 박신영님 섭섭하겠어요. 크크
BlackHunter
13/06/02 12:28
수정 아이콘
이윤열 선수와의 31분 셋힝전이었죠 크크크
저때 현장에서 보다가 속터져 죽는줄 알았습니다
컴터한테 9발업 저글링 하다가 지는거 보고 좌절했는데
역시나 지더군요-_- 크크크
13/06/02 12:30
수정 아이콘
김학수선수 모선핵으로 신내다가 입구 역장을 못쳐서 더 큰 피해를 입네요;;
L.lawliet
13/06/02 12:30
수정 아이콘
예언자는 잘 끊었네요.
13/06/02 12:30
수정 아이콘
근데 후속 예언자는 잘 막았네요
13/06/02 12:31
수정 아이콘
아 박태민 뭔 드립;;;;
13/06/02 12:31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의 인드라화 크크
스타트
13/06/02 12:31
수정 아이콘
박태민 드립이 진짜 ... 크크크
13/06/02 12:31
수정 아이콘
박태민 해설의 드립에 기가찬 관중 여성분이 '어떡해~'라고 크크크
13/06/02 12:32
수정 아이콘
서로 함대신호소 올립니다

공중전을 준비하네요
13/06/02 12:34
수정 아이콘
냉철한 판단이네요. 정윤종.
L.lawliet
13/06/02 12:36
수정 아이콘
김학수 암흑기사 뜨면서 수비 아주 잘해냈습니다.
13/06/02 12:36
수정 아이콘
자 김학수 암흑기사가 신의 한수가 될지
스타트
13/06/02 12:37
수정 아이콘
설마 정윤종이 프프전에서 역전 당하나요?
13/06/02 12:38
수정 아이콘
김학수 회심의 한방인데요
L.lawliet
13/06/02 12:40
수정 아이콘
김학수 대박인데요..
13/06/02 12:40
수정 아이콘
김학수!!!
L.lawliet
13/06/02 12:40
수정 아이콘
정윤종 넋이 나갔네요.
13/06/02 12:40
수정 아이콘
지지
13/06/02 12:40
수정 아이콘
앞마당 밀리고 정윤종 GG 김학수 2킬~~
미움의제국
13/06/02 12:40
수정 아이콘
이겨쓰요!!

암흑기사가 대박이네요.
swordfish
13/06/02 12:41
수정 아이콘
기막수 반등하나요.
김캐리의눈물
13/06/02 12:41
수정 아이콘
헉.... 200싸움이 아니라서 정윤종이 진건가요 크크 김학수 대단합니다! 온김에 왕까지!!
swordfish
13/06/02 12:41
수정 아이콘
그런데 토스전만 3연전 할 거 같긴 하네요.
스타트
13/06/02 12:41
수정 아이콘
불끄러 나왔다가 더 큰일 났어요
L.lawliet
13/06/02 12:42
수정 아이콘
불리한 상황을 정윤종을 상대로 역전을 해냈다는 것이 더 놀랍네요.
온니테란
13/06/02 12:42
수정 아이콘
정윤종선수가 이길꺼라고 생각하고 지금켰는데;;
정윤종의 gg가..
13/06/02 12:42
수정 아이콘
원이삭~~
13/06/02 12:42
수정 아이콘
원이삭!
온니테란
13/06/02 12:42
수정 아이콘
정명훈이 대장으로 나올꺼같네요.
원이삭이 불끄러 나옵니다~ 과연 ~
김캐리의눈물
13/06/02 12:43
수정 아이콘
원이삭 나왔군요. 김학수가 투혼을 발휘해주면 좋겠네요!
김태크
13/06/02 12:44
수정 아이콘
임요환 왜이렇게 발트리를.. 김학수 토스전을 잘하는선수인데 변수를 두나요

지금 김학수 상태면 저그 내보내면 무난히 이길수 있을텐데..정명훈을 내보내던지

원이삭이 이길수도 이겠지만 토스를 토스로 잡으려고 하는지
정윤종이나 김유진처럼 다른 종족전이 극강인 선수도 아니고..
13/06/02 12:50
수정 아이콘
김학수선수 저막이미지 있긴한데 생각보다 저그 잘잡습니다
13/06/02 12:51
수정 아이콘
그런데 EG TL이 이제동이 남아서 저그가 나오기에는 애매하다고 보여집니다, 이제동 선수가 군심에 와서 토스전이 좋아졌다고 하지만 세 종족전 중 가장 부족한것이 토스전이고 저그전을 제일 잘하니까요. 최근 원이삭의 저그전도 부진하지만 말입니다.
김태크
13/06/02 12:47
수정 아이콘
이번경기 정윤종이 방심했어요. 김학수를 너무 쉽게 생각한거 같아요.
13/06/02 12:47
수정 아이콘
오늘 SKT1이 진다면 정규시즌 1위는 힘들어지고 KT와 2위싸움을 해야 될 것 같은데 KT에 비해 득실이 안 좋은데요.
13/06/02 12:48
수정 아이콘
자날 끝물쯤에 완전 프막(사실 모든 종족전 막장 스막이었지만..)이 되었던 김학수 선수인데 군심와서 팀 바꾸고 많이 좋아진 모습 보여주네요.
김캐리의눈물
13/06/02 12:48
수정 아이콘
스타행쇼 시즌2가 오늘 시작이던가요...
박태민 해설 팀구라고 놀림받던 시절도 있지만 정말 이목구비도 뚜렷하고.. 잘생겼단말이죠 흐흐
13/06/02 12:51
수정 아이콘
박태민해설님 기분 좋아하실만한 말씀 드리면 원래 잘 생겨야 이런 저런 놀림도 받고 그렇죠. 크크
갓영호
13/06/02 12:49
수정 아이콘
정윤종 선수가 지는 모습을 가장 기뻐한 선수는 이영호 선수가 아닐지...
정윤종 선수가 오늘 0킬을 기록하면서 다승왕 경쟁에서 순식간에 4승이나 벌어졌네요. 이제 6라운드는 다시 프로리그 방식인데 7경기 동안 4승을 따라잡긴 버겁죠.
13/06/02 12:54
수정 아이콘
현재로서는 이영호가 다승왕이 될 확률이 높기는 하지만 이영호가 정규리그 마지막 라운드에서 부진한 모습을 많이 보여줬기 때문에 더 지켜봐야 한다고 보여집니다
13/06/02 12:50
수정 아이콘
다른건 제가 잘 안봐서 모르겠는데 김학수님 표정 특히 눈빛이 뭔가를 뚫어버릴듯한 그런 눈빛이었어요. 그래서 이번 동족전도 기대가 되네요.
13/06/02 12:50
수정 아이콘
두 선수가 작년 시즌 2 8강이후로 첫 만남인가요;;
13/06/02 12:52
수정 아이콘
혹시 지금 나오는 브금 아시는 분 말씀 좀.
김태크
13/06/02 12:53
수정 아이콘
토스전은 변수가 하도 많아서 누가이겨도 이상할게 없죠. 사실..
13/06/02 12:55
수정 아이콘
자날때는 그이야기가 대충 맞았는데 요즘은 변수가 많이 제거된 느낌이라서요
13/06/02 12:55
수정 아이콘
시즌파이널 조추첨 생방송 크크크
swordfish
13/06/02 12:55
수정 아이콘
wcs 시즌 파이널 정말... 걱정이 안될 수 없군요.
13/06/02 12:55
수정 아이콘
아 용산에서 조추첨을 하시는군요. 아침7시까지 크크크
13/06/02 12:56
수정 아이콘
잠깐 놓쳤는데, 언제하는지 여쭤도 될까요
13/06/02 12:58
수정 아이콘
6월 4일 오후6시에 조추첨식 생방합니다. 선수들도 나온다고 합니다.
13/06/02 13:00
수정 아이콘
누리님 대신 답변 감사드립니다.
13/06/02 12:57
수정 아이콘
요즘의 프프전은 거의 황혼의회로 통일된 느낌입니다
13/06/02 12:57
수정 아이콘
저는 시즌 파이널 본선보다 조 추첨식이 더 기대됩니다. 한국지역대표와 정종현 선수등 북미나 유럽지역 한국 선수들이 나올것 같은데 어떤 조편성이 나올지 기대가 됩니다.
13/06/02 12:57
수정 아이콘
암흑기사 가는 김학수
swordfish
13/06/02 12:58
수정 아이콘
참고로 stx는 그룹 해체 쪽으로 가는 분위기인거 같군요.
13/06/02 12:59
수정 아이콘
웅진보다 더 분위기 안 좋은 것이 공중분해 될 위기이네요
swordfish
13/06/02 13:00
수정 아이콘
웅진은 알짜 회사라는 게 존재 하니까요. 그래서 부실만 쳐내면 되는구요.
STX는 그냥 그룹이 부실이었죠.
13/06/02 13:02
수정 아이콘
웅진은 다음시즌도 프로리그 참가 가능할 것 같은데 STX는 불투명이네요. 어제 이신형이 이겼어야 할 경기를 놓친것이 더 아쉽게 생각됩니다.
13/06/02 13:01
수정 아이콘
LOL팀까지 만들어 가치를 높이는걸 시도하는거 같긴 한데.. 들리는 소문은 8게임단보다 안좋은거 같아요
13/06/02 12:59
수정 아이콘
간신히 역장으로 막았네요
13/06/02 13:00
수정 아이콘
진작에 이런 모습을 보여줬다면..
13/06/02 13:00
수정 아이콘
sk 완전 큰일났네요. 이거 설마?
L.lawliet
13/06/02 13:02
수정 아이콘
러쉬가면 끝날 것 같네요..김학수 3킬 하겠는데요..
swordfish
13/06/02 13:02
수정 아이콘
원이삭 카드 쓴게 문제 였네요. 차라리 김학수 상대로 어윤수카드가 더 나은 거 같네요. 결과적으로 말이죠.
13/06/02 13:02
수정 아이콘
거신 이전 타이밍에 원이삭 위기죠
13/06/02 13:02
수정 아이콘
원이삭입장에서는 죽어라 집정관입니다!!!
곡물처리용군락
13/06/02 13:03
수정 아이콘
근데 너무 무리했는데요 김학수
13/06/02 13:03
수정 아이콘
앞마당 깨졌지만 원이삭 역장은 정말 잘쳤네요
L.lawliet
13/06/02 13:03
수정 아이콘
멀티틑 깼는데 좀 무리한것 같네요.
13/06/02 13:03
수정 아이콘
지금 역공 어떻게 막을지
13/06/02 13:05
수정 아이콘
귀신같이 본실력으로 돌아온 김학수..
있어요399원
13/06/02 13:05
수정 아이콘
김학수는 경기중에 기복이 생기네요...크크크
swordfish
13/06/02 13:05
수정 아이콘
좀 어이가 없긴 하네요. 이건 좀 말이죠.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원이삭 결국 역공으로 잡네요~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EG TL은 이제동이 바로 나오려나요
낭만드랍쉽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아슬아슬 줄타기네요. 덜덜
JuninoProdigo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아 집정관으로 역장 제대로 못 지워준게 딜로스를 발생시켰고 그게 원이삭에게 반격의 기회를 주었던게 크네요.
susimaro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원이삭이 정말 잘하는건 역전승이죠.

거의 진 경기도 어떻게든 버텨서 뒤집는걸 토스중 제일 잘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그 저그전에서 특유의 역전승은 대박이죠.
13/06/02 13:08
수정 아이콘
토스는 역전승하기 정말 어려운 종족인데 원이삭 선수는 잘 해내더군요..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박태민님 톤이 굉장히 높네요. 노래 잘하겠다. 크크
13/06/02 13:06
수정 아이콘
집정관 컨트롤 실수도 아쉬웠고 원이삭선수도 기회를 잡으면 놓치질 않네요
13/06/02 13:07
수정 아이콘
어택땅보다도 못한 최악의 교전컨;;
13/06/02 13:07
수정 아이콘
이제동
13/06/02 13:07
수정 아이콘
바로 이제동.
13/06/02 13:07
수정 아이콘
과연 원이삭을 잡을수 있을지....
곡물처리용군락
13/06/02 13:07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이영호선수상대로 위너스리그에서 역전당했는데 만회해야죠!
L.lawliet
13/06/02 13:08
수정 아이콘
아쉽게 지긴 졌지만 김학수는 자기 몫 이상을 해줬죠..
온니테란
13/06/02 13:08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 만약이기면 이제동 정명훈 볼수있을꺼같은데..
근데 원이삭선수 저그전이 막강하다보니~ 어흑
13/06/02 13:10
수정 아이콘
그런데 원이삭도 최근 저그전이 안 좋은 상황이기는 하지요.
온니테란
13/06/02 13:16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 토스전실력이 올라갔으면 하는데...
원이삭선수가 최근 저그전 패했어도 워낙 저그전 클래스가 있다보니;
susimaro
13/06/02 13:08
수정 아이콘
원이삭 저그전을 잡기에는 이제동 토스전이 너무 부족해 보입니다.
그나마 돌개바람이라는점이 웃어주는데.. 이맵은 대신 군단숙주를 못쓰죠.
김태크
13/06/02 13:08
수정 아이콘
다른종족전은 탑클래스 선수 이기기힘들지만 김학수가 그래도 토스전은 누구와 붙어도 기대가 되긴 합니다..
13/06/02 13:12
수정 아이콘
추첨은 월드컵처럼 대륙별 분배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지나가다...
13/06/02 13:15
수정 아이콘
집정관 두 기를 앞으로 내세웠어야 했는데요. 그런데 원이삭 선수도 역장을 참 기가 막히게 쳤네요. 최소한의 역장으로 불멸자를 거의 묶어 놓았으니..
온니테란
13/06/02 13:16
수정 아이콘
리플레이 복기해보니 김정민해설이 말한 4-5개중에 1-2개정도만 김학수선수가 제대로 했었으면 잡을수 있었을꺼같네요.
susimaro
13/06/02 13:17
수정 아이콘
대 저그전 약점을 거론하는데 상대선수가 이승현,신노열.......
13/06/02 13:18
수정 아이콘
이승현선수와의 경기때는 뭐 결과적으로 최후에 웃은쪽은 원이삭선수였으니 그렇다 쳐도 신노열선수와의 경기때는 제가 알던 원이삭이 맞나 싶을정도로 답답한 판단을;; 그때 신노열선수도 판단이 이도저도 아닌모습을 보여주긴 했지만...
swordfish
13/06/02 13:19
수정 아이콘
마지막 경기는 정말 엄청 아쉬운 경기였죠.
곡물처리용군락
13/06/02 13:21
수정 아이콘
전 사이트가 하나가 되었던 전설의 박세팅 경기였군요;;
13/06/02 13:21
수정 아이콘
어제 소닉스타리그 언급하는 박태민 해설 크크
온니테란
13/06/02 13:21
수정 아이콘
박태민해설 어제 소닉리그 결승좀 볼라고 했는데 너무 기달리기 오래걸려서 지루했다는 평 크크;;
13/06/02 13:22
수정 아이콘
김정민님 역시 바로 넘기셔 크크
Colossus
13/06/02 13:23
수정 아이콘
도재욱 크크 요즘 얼굴본지 오래됐네요.
지나가다...
13/06/02 13:23
수정 아이콘
오늘 박태민 해설 극딜당하네요. 크크
13/06/02 13:23
수정 아이콘
차세대 해설의 싹을 밟으려는 박태민해설 크크크
13/06/02 13:23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13/06/02 13:24
수정 아이콘
박태민 해설 첫 해설때는 참 크크크 '기분이 매우 나빠요~' 드립을 계속 쳤던걸로 크크
13/06/02 13:25
수정 아이콘
비웃는 크크크크크
13/06/02 13:26
수정 아이콘
이제 박태민 해설은 정소림 캐스터외에 무서워하는 분이 없네요 크크크
swordfish
13/06/02 13:26
수정 아이콘
의외로 정소림 캐스터가 가장 무서운 듯요.
13/06/02 13:27
수정 아이콘
또 박태민 해설 놀리면서 킬킬거리네요. 거의 해설때마다 보는 장면인거 같은데 사석에서나 그렇게 놀리고 중계중에는 자제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swordfish
13/06/02 13:27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의 토스 전은 정말 명불허전이네요.
지나가다...
13/06/02 13:27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좀 무리했습니다.
13/06/02 13:27
수정 아이콘
이제동 그냥 들이받아버렸네요;;
susimaro
13/06/02 13:27
수정 아이콘
바퀴를 저렇게 버리면 안되죠 -_-;;;

급 망했는데요.
13/06/02 13:29
수정 아이콘
이제동 판단력이 음.......
13/06/02 13:29
수정 아이콘
어라 엘리전;; 추적자 다잡고??;;
L.lawliet
13/06/02 13:29
수정 아이콘
원이삭 추적자 다수 잃은 건 실수죠.
13/06/02 13:29
수정 아이콘
귀환해서 막은 원이삭
Colossus
13/06/02 13:29
수정 아이콘
원이삭 잘하다가 경기 말아먹겠네요...
13/06/02 13:30
수정 아이콘
뮤탈이 많이 쌓이네요. 토스는 저기서 멀티를 못 깨고 몇분 지나면 굉장히 위험해집니다
13/06/02 13:30
수정 아이콘
이거 저번 신노열전의 악몽이 생각날수도 있겠네요 원이삭
Colossus
13/06/02 13:31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정신이 없어서 점막 다시 늘릴 생각은 못하나보군요.
L.lawliet
13/06/02 13:31
수정 아이콘
이번에 전투는 아주 잘했네요. 원이삭.
13/06/02 13:31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랑 정명훈 선수 최초 스타2 대결 볼 수 있을듯..
13/06/02 13:32
수정 아이콘
병행때 한번 했어요~ 정명훈선수가 이겼던걸로...
L.lawliet
13/06/02 13:32
수정 아이콘
점막은 하나도 못늘렸네요.
13/06/02 13:32
수정 아이콘
맹독충 올라가네요. 역장도 없고 거신도 없으면 맹독만한게 없죠
swordfish
13/06/02 13:32
수정 아이콘
요즘 토스전에서 뮤탈이 가장 무서운 거 같아요. 특히 요즘 맵크기가 다 크다 보니....
온니테란
13/06/02 13:33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 시간을 너무 주고있는거같아요.
아까 끝낼수있는 타이밍이 있던거같은데..
킹이바
13/06/02 13:33
수정 아이콘
점막 못 늘린 것은 조금 아쉽네요.
13/06/02 13:33
수정 아이콘
뭔 경기가 이렇게 되나요.
13/06/02 13:33
수정 아이콘
오늘 이제동 좋네요...
근데 이거 한방이 좀 무서운데요?
13/06/02 13:33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 발교전만 나오지 않으면 되는데.....;; 발교전이 나올까봐 불안하네요
Colossus
13/06/02 13:33
수정 아이콘
우아아 진균대박!!
13/06/02 13:34
수정 아이콘
진균대박;;
13/06/02 13:34
수정 아이콘
온게임넷 옵저버 자원은 왜 잡아주는거죠? 분당 자원채취도 아니고 어차피 오른쪽 위에 보이는건데..
swordfish
13/06/02 13:34
수정 아이콘
진균 대박은 낫지만 결정타는 못되었군요.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결정타죠....
13/06/02 13:34
수정 아이콘
잡았어요 이제동~~~
Colossus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원이삭은 뮤탈에 유난히 취약한거 같아요.
내겐오로지원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박태민해설 크크크크크
swordfish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원이삭 선수 이젠 엄청 힘들어 졌네요.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잡았네요....허허
어제 GSL결승이 자극제가 된거 같습니다.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아니 박태민 이건좀;;;;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이제동은 역시 뮤탈운영이 어울리네요.
Colossus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점막 좀 늘려요 크크
13/06/02 13:35
수정 아이콘
박태민님 미치겠어 크크크
swordfish
13/06/02 13:36
수정 아이콘
이젠 gg 쳐야죠.
지나가다...
13/06/02 13:36
수정 아이콘
이건 죽어도 역전 안 나오겠네요.
13/06/02 13:36
수정 아이콘
원이삭은 군심 전환 이후 저그전이 너무 안 좋아졌습니다.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원이삭이 무서운 이유는 언제든지 멸뽕이라는 강력한 카드를 꺼낼수 있어서였는데, 지금은 그게 아니죠..
13/06/02 13:36
수정 아이콘
병력 시원하게 소모하는 이제동
L.lawliet
13/06/02 13:36
수정 아이콘
원이삭 중간에 추적자 헌납한게 이 꼴이 됬어요..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저글링 춤 크크크
swordfish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이제동 선수 표정 좋아 졌네요.
온니테란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어제 김민철선수가 못뽑은 울트라를 이제동선수가 마지막에 보여주네요 크크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원이삭 GG 이제동 정명훈을 부릅니다~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일꾼 수만 좀 조절하면 끝날거 같네요..
크크 이제동 웃네요..오랜만에 봅니다

화이팅~~!!!
내겐오로지원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우리 이제동선수가 달라졌어요 크크
swordfish
13/06/02 13:37
수정 아이콘
원이삭 선수도 이젠 좀 하락세가 시작된 거 같네요. 좀 잘추스렸으면 좋겠습니다.
13/06/02 13:38
수정 아이콘
사실 저 일꾼수도 문제될게 없는게 빠르게 가촉짓는 연습만 하면 됩니다. 임재덕이 그랬듯이요
카스트로폴리스
13/06/02 13:39
수정 아이콘
진짜 저그 가촉20-30개 보면.....크크크크
13/06/02 13:41
수정 아이콘
가촉이 이동가능한게 어쩌면 사기에요..
이동하면 되니 돈낭비도 아니고 일종의 공격유닛이니..
DK~ 광자포도 이동가능하게 해줘요..크
온니테란
13/06/02 13:38
수정 아이콘
원이삭,신노열선수는 군심전환이후로 좀 떨어진느낌이 나긴하네요.
자날시절은 강력한포스였는데..
온니테란
13/06/02 13:38
수정 아이콘
그렇죠 정명훈가야죠 크크
13/06/02 13:38
수정 아이콘
역시 나올선수는 정명훈선수밖에 없죠
13/06/02 13:39
수정 아이콘
해설도 좋고, 경기도 재밌고, 제동이도 이기고..크크 좋습니다.
원이삭 선수 요즘 분위기가 안좋네요.
혹시 협회의 닭장 연습 시스템에 적응을 못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13/06/02 13:43
수정 아이콘
다른종족전은 아직 괜찮지만 저그전 무너진것이 큰 것 같습니다
13/06/02 13:44
수정 아이콘
저저전이라면 진짜 독보적인 존재였는데..
이제동이 저그전을 걱정한다는게 좀 어색하긴 하네요..^^
13/06/02 13:46
수정 아이콘
저는 원이삭이 저그전 무너졌는 이야기인데요
13/06/02 13:52
수정 아이콘
아이고 죄송해요..^^
말씀대로 원이삭 선수가 저그전이 좀 아쉬워진거 같습니다..
swordfish
13/06/02 13:39
수정 아이콘
정명훈 선수가 이제동 선수 잡으면 3킬 가능할 것도 같긴 하네요. egtl의 약한 선수층이 더 약해져서 말이죠.
13/06/02 13:40
수정 아이콘
박진영 선수만 넘으면 될 거 같습니다.
13/06/02 13:40
수정 아이콘
이제동은 원래 테란전을 잘하죠..
어제 김민철의 전략을 그대로 쓸거 같네요,,.
이제동 피지컬이라면 김민철에 뒤질거 없으니...재밌겠네요...
13/06/02 13:43
수정 아이콘
지금 나오는 광고에 외국선수들이 출전하는 대회는 무언가요?
susimaro
13/06/02 13:43
수정 아이콘
이제동만 넘으면 역3킬도 가능하거든요.

이게 사실상 에결일수도
swordfish
13/06/02 13:43
수정 아이콘
행쇼 오늘 하는 거죠?
13/06/02 13:44
수정 아이콘
그런데 오늘 느낀게 이제동 선수가 확 업글된 느낌이네요. 대박~ 표정 웃는거 오랜만에 보기도 하고요.
13/06/02 13:46
수정 아이콘
정명훈선수는 잘할때랑 못할때의 편차가 심한것 같아서 오늘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13/06/02 13:47
수정 아이콘
웨요 웨요 랄라라 랄라 랄랄라. -_-
13/06/02 13:49
수정 아이콘
정명훈님 표정이 결연하네요.
13/06/02 13:50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이영호,정명훈선수 입장에서는 스타 1 막판까지 테란내에서 1인자를 놓고 다투는 사이였는데 스타 2 협회 내에서 이신형선수라는 새로운 존재가 떠올라서 그선수들에게는 어색할것 같네요;; 자극도 될것 같고....
13/06/02 13:53
수정 아이콘
정명훈 선수 너무 안전하게 하네요...
자원이 상당히 빡빡할거 같은데 후반 운영이 좀 쉽지 않을거 같네요..
13/06/02 13:55
수정 아이콘
트리플 가는 정명훈
13/06/02 13:55
수정 아이콘
지금 이제동님 모습을 보니 장난 아닌데요. 둘다 쉽지 않겠다.

서서쏴? 크크크
L.lawliet
13/06/02 13:56
수정 아이콘
정종현 선수가 썼던 저그전 초반 빌드 괜찮아 보이던데.. 아직 다른 선수들이 사용하지는 않네요.
swordfish
13/06/02 13:56
수정 아이콘
해병 우주복이 정말 설정보면 패러다임을 많이 바꾸었더군요.
이거 레이너가 조합과 싸울 때 실전화 되었는데 그전까지는 엄폐 은폐로 싸웠는데 그 이후로는
저렇게 서서 쏘죠.
13/06/02 13:56
수정 아이콘
이제 정명훈이 흔들텐데..
이제동이 김민철의 수비력을 갖고있느냐가 이 경기의 승패를 가르겠네요..
13/06/02 13:58
수정 아이콘
뮤탈 방어가 약간 늦은 정명훈
미움의제국
13/06/02 13:58
수정 아이콘
테란 건물 알록달록하게 이쁘네요.

크크크크크 SK T1 군인가요.
L.lawliet
13/06/02 13:59
수정 아이콘
정명훈 오늘 경기력 안 좋은 날인가보네요.... 스타2에선 기복이 너무 심해요.
와룹푸
13/06/02 14:00
수정 아이콘
에슥헤이가 질수도...
L.lawliet
13/06/02 14:02
수정 아이콘
서로 실수가 많네요.
Colossus
13/06/02 14:02
수정 아이콘
정명훈 실수없다는 해설하기 무섭게 맹독 대박.
지나가다...
13/06/02 14:02
수정 아이콘
실수가 없다는 말이 나오자마자 실수하는 정명훈 선수...
13/06/02 14:02
수정 아이콘
정명훈 수비잘하다가 이번 컨은;;
13/06/02 14:03
수정 아이콘
약간씩 실수하면서 재밌게 하네요..
13/06/02 14:03
수정 아이콘
오묘한 경기가 나오네요...
Colossus
13/06/02 14:04
수정 아이콘
정명훈 회전력이 부족하네요.
13/06/02 14:04
수정 아이콘
정명훈선수 저축테란;;
13/06/02 14:04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 잡을거 같네요...
정명훈 뭔가 손발이 안맞는거 같습니다.
미움의제국
13/06/02 14:05
수정 아이콘
이 무슨 저축테란인가요

위기가 코앞인데
13/06/02 14:05
수정 아이콘
감염충 나왔어요..
Colossus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ome 경기네요 크크
L.lawliet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이제동 맹독 조공..
지나가다...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헐.. 뮤탈 거의 전멸...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땅거미지뢰 대박.... 서로서로 경기력이..
L.lawliet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지뢰 대박까지..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아......뮤탈 제대로....
Colossus
13/06/02 14:06
수정 아이콘
서로 ome면 지뢰대박의 변수가 있는 테란에게 웃어주네요.
13/06/02 14:07
수정 아이콘
울트라 왜 따라갔나요.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결국 정명훈이 잡네요
지나가다...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이겨도 OME 져도 OME라면 이기는 OME가 되어야죠.
결국 정명훈 선수가 이긴 OME가 되었네요.
L.lawliet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서로 아쉬운 경기력이었습니다.
Friday13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저축과 조공...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둘다 못하는데 이제동 선수는 지독하게 못하네요.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아 이 경기는 재밌기는 했는데..좋은 경기력은 아니었네요..
13/06/02 14:08
수정 아이콘
으음 최정민선수가 먼저 나오려나요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이제동이 잡아주는게 답이었는데...아쉽네요...
정명훈이 항상 듬직하긴 하네요..
게임매니아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근데 딱히 정명훈 선수더러 자원 남는거로 뭐라할 수 없는게 저런식으로 스타1에서도 최정상에 올랐던지라...
무조건 회전력이 좋다고 경기에서 이기는 것도 아니고... 뭐 자신만의 스타일이 될 수도 있겠죠.
L.lawliet
13/06/02 14:10
수정 아이콘
4강에서 저축테란으로 이영호를 완파한...
L.lawliet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최정민 박진영 순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김캐리의눈물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임요환의 저축과 홍진호의 노킬투다이 뮤탈...!!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제니오 나옵니다.
지나가다...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그런데 박진영 선수도 최정민 선수도 정명훈 선수에게 승을 장담할 수 있는 선수가 아니라 이거 모르겠습니다.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최정민선수가 먼저 나옵니다
JuninoProdigo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제니오 나오네요. 방송 경기에서 실망스런 모습만 보여줬는데 잘할 수 있을지..
ThisisZero
13/06/02 14:09
수정 아이콘
박태민 끼어들기 실패!
13/06/02 14:10
수정 아이콘
eg는 선수가 너무 없네요..
예전 이스트로 같은 느낌도 들고...
박감독도 참 힘들겠네요..
지나가다...
13/06/02 14:11
수정 아이콘
안 그래도 선수층이 두껍지 못한데 에이스 두 선수가 빠져 버리니 좀 심하네요.
그래도 네 명은 나올 수 있어서 다행이려나요..
ThisisZero
13/06/02 14:12
수정 아이콘
사실 선수 자체는 제법 있습니다만, 국내에 없지요...다국적팀이라 크크;
13/06/02 14:11
수정 아이콘
정상적으로 운영하려면 선수가 많이 보충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
윤영서도 자주 못나오니 최병현, 최지성 급의 테란이 절실합니다.
저그와 프로토스에 비해 테란이 너무 없네요..
JuninoProdigo
13/06/02 14:13
수정 아이콘
아마 EG팀에서는 필요 없다고 생각할 겁니다. 유럽의 데무슬림, 토르제인이 생각보다 잘하고 있어서.. 문제는 프로리그 가용 자원이 없다는 거죠.
13/06/02 14:16
수정 아이콘
데무슬림, 토르제인이 프로리그 경기를 위해서 한국에 내내 있을수도 없고...참 난국이네요..

프로리그 수준이 군심에 오면서 상당히 높아져서..
데무슬림, 토르제인 정도의 선수들로는 이겨내기 힘들거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윤영서만 항상 있었어도..ㅠㅠ
와룹푸
13/06/02 14:12
수정 아이콘
한이석,김동현 선수가 아메리카에서는 잘하던데
곡물처리용군락
13/06/02 14:13
수정 아이콘
이제동선수는 요즘 테란상대로 집중력이 떨어진거같아요. 계속 패하는 모습이 보이네요
13/06/02 14:13
수정 아이콘
예전에 듣기로는 김재훈 선수가 김택용과 거의 쌍두마차 수준으로 잘했다고 하던데..
이제서야 빛을 보내요...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김재훈 선수 잘 해주길 바랍니다..
김태크
13/06/02 14:21
수정 아이콘
김재훈 개인리그 msl한번 진출한게 전부일거예요.

잘한적도 없지만 아주 못한적도 없는 선수라고 해야..
13/06/02 14:22
수정 아이콘
연습실에서요..^^
ThisisZero
13/06/02 14:23
수정 아이콘
방송에서는 안좋은 모습만 많았지요. 이성은과 전설의 2000번째 경기를 이뤄냈고. 버뮤다 삼각리콜이라던가...
13/06/02 14:19
수정 아이콘
3승 7패중 저 3승이 저그전이죠..... 타종전은 전패;;
susimaro
13/06/02 14:21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의외로 저저전은 꽤 하더군요.
13/06/02 14:21
수정 아이콘
박태민님 뭔가 꿈틀꿈틀 저님 인드라님 과인거 같아 크크
13/06/02 14:24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이제동은 EG TL 임대계약 기간이 얼마 안 남았네요.프로리그는 6라운드가 마지막이고 개인리그는 해외대회 밖에안 남아서 국내에서는 보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13/06/02 14:25
수정 아이콘
임대계약 끝나면 8게임단 다시 복귀하나요?
지나가다...
13/06/02 14:24
수정 아이콘
코치 바지의 주름을 다려 주는 자상한 그분..크크크
13/06/02 14:24
수정 아이콘
이건 너무 쉬운문제 아닌가요?
크크..
JuninoProdigo
13/06/02 14:25
수정 아이콘
아... 얼마전에 래더에서 EG-TL Vicpark을 만났는데 박용운 감독이셨는듯.. 잘하시더라구요 크크
13/06/02 14:26
수정 아이콘
Vicpark 박감독님 맞을 꺼에요...
예전에 전적검색한번 해본적 있었던거 같네요..
JuninoProdigo
13/06/02 14:27
수정 아이콘
물론 게임은 제가 이김..........
susimaro
13/06/02 14:34
수정 아이콘
박용운감독 ELL이 어느정도 되나요? 별마? 별마 그마 사이?
JuninoProdigo
13/06/02 14:35
수정 아이콘
마스터 900쯤 되시는 것 같습니다. 날개마~방패마스터 사이인 것 같았어요. 감독이면 이정도면 되죠.
susimaro
13/06/02 14:37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네요. ell 서치할때 한번 검색될수도.
1000점에 별마인 꿀조인데 하하
13/06/02 14:26
수정 아이콘
박태민 해설 상황만 악화시키고 있는 크크
13/06/02 14:26
수정 아이콘
대놓고 트리플....
13/06/02 14:28
수정 아이콘
드랍 준비하는 최정민
13/06/02 14:29
수정 아이콘
이거씨~ 필요합니다 크크크
지나가다...
13/06/02 14:29
수정 아이콘
땅굴인가요.
13/06/02 14:29
수정 아이콘
드랍가면서 땅굴까지...
지나가다...
13/06/02 14:30
수정 아이콘
막힐 필인데요..
13/06/02 14:31
수정 아이콘
잘 막았네요..
13/06/02 14:31
수정 아이콘
막혔네요~~
지나가다...
13/06/02 14:33
수정 아이콘
두 번은 안 당하네요.
JuninoProdigo
13/06/02 14:33
수정 아이콘
망했네요 저그
13/06/02 14:33
수정 아이콘
방태수에게 그렇게 당했는데...
13/06/02 14:33
수정 아이콘
결국 대장전 박진영선수와 경기합니다~
susimaro
13/06/02 14:34
수정 아이콘
전혀 최적화가 안되어있어요 업그레이드 찍는게

저런거에 뚫려주길 바라는건 운을 바라는거죠.
ST_PartinG
13/06/02 14:34
수정 아이콘
갑자기 강동현이 보고싶네요
13/06/02 14:34
수정 아이콘
따귀 미친듯이 때리고...이제 그만 내가 졌어 하는 게임이네요...크크..
13/06/02 14:34
수정 아이콘
........ 땅꿀 올인 할거면 여왕도 대리고 와서 수혈하면서 모든걸 걸었어야;;;
JuninoProdigo
13/06/02 14:34
수정 아이콘
마지막 카드로 모두가 예상한 박진영이 나왔습니다.
13/06/02 14:35
수정 아이콘
박진영선수 등장에 놀라는 척하는 중계진 크크
지나가다...
13/06/02 14:35
수정 아이콘
요즘 박진영 선수 폼이 어떤가 모르겠네요. 최근에 잘하는 모습을 본 기억이 없어서...
와룹푸
13/06/02 14:36
수정 아이콘
그래도 꾸역꾸역 에결까지 오는군요
L.lawliet
13/06/02 14:38
수정 아이콘
솔직히 오늘 egtl 엔트리로 이만큼 온게 놀랍네요.. 선전해주곤 있네요..
지나가다...
13/06/02 14:40
수정 아이콘
만약 티원이 이긴다면 ET-TL의 얇디 얇은 엔트리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합니다.
susimaro
13/06/02 14:43
수정 아이콘
학수님의 각성덕분인듯합니다
13/06/02 14:42
수정 아이콘
테막인데 프로리그에서는 테란전이 가장 좋은;;
13/06/02 14:47
수정 아이콘
11시 5시....
13/06/02 14:51
수정 아이콘
최대한 안전하게 하는 정명훈선수
Colossus
13/06/02 14:57
수정 아이콘
오...온풍신?
13/06/02 14:57
수정 아이콘
???;;;;
지나가다...
13/06/02 14:57
수정 아이콘
순간 깜짝 놀랐네요..
13/06/02 14:58
수정 아이콘
어우 움찔했네요 크크크
꼬깔콘
13/06/02 14:58
수정 아이콘
온풍신 강림할뻔 크크
13/06/02 15:02
수정 아이콘
쉽게는 안끝날 경기겠네요
Colossus
13/06/02 15:02
수정 아이콘
박진영이 정명훈의 7시 멀티지역만 견제해주면 이 경기 유리합니다.
Colossus
13/06/02 15:04
수정 아이콘
그렇죠. 소모전하면서 7시 자원채취 방해하면 테란은 말라죽어요. 토스는 급할 이유가 전혀 없죠.
13/06/02 15:05
수정 아이콘
의료선 2기는 아쉽고요
13/06/02 15:05
수정 아이콘
헉 폭풍 초대박;;
지나가다...
13/06/02 15:07
수정 아이콘
핵까지 준비합니다.
13/06/02 15:07
수정 아이콘
아 옵저버를 가지고 다녀야죠..
13/06/02 15:07
수정 아이콘
은폐유령의 힘;;
13/06/02 15:09
수정 아이콘
옵저버를 3-4기 같이 다녀야 할거 같은데요..
폭풍함도 가야죠..
13/06/02 15:11
수정 아이콘
관측선을 왜 안가지고 다니나요..?
지나가다...
13/06/02 15:11
수정 아이콘
핵 단체로 준비하네요.
13/06/02 15:12
수정 아이콘
뜬금 전순 버프를 요구하는 해변김 크크크
13/06/02 15:13
수정 아이콘
정명훈 서서히 밀리나요
L.lawliet
13/06/02 15:13
수정 아이콘
헐. 지게 험짤..
13/06/02 15:13
수정 아이콘
지게 한부대가 순식간에 크크크
13/06/02 15:13
수정 아이콘
장관이네요...지게로봇..
크크.
13/06/02 15:13
수정 아이콘
으아 12시 지게로봇 토스입장에서는 혐짤 크크크
지나가다...
13/06/02 15:14
수정 아이콘
박진영 선수가 잡겠네요.
13/06/02 15:14
수정 아이콘
결론은 테통기한이네요 쩝;;;
13/06/02 15:14
수정 아이콘
잡겠는데요 EG-TL 크크크크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눈물의 테통기한.... 후반에 뭘 할게없네...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허허...진짜 대박경기네요..
박진영 ~!!!!!
Colossus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토스가 진작에 이겼어야 했는데 약간 끈 감이 있네요.
꼬깔콘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결국엔 테란 상향해라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4명으로 잡네요 덜덜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정명훈 GG EG-TL이 그것도 에이스 송현덕이 빠진 상황에서 단 4명만 있는 상태에서 T1을 잡네요 크크
카스트로폴리스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오늘의 수훈갑은 김학수죠...정윤종을 이기고 2킬..
Colossus
13/06/02 15:15
수정 아이콘
그렇죠 크크 아무도 예상못한 2킬
JuninoProdigo
13/06/02 15:16
수정 아이콘
4명으로 T1을 잡은 EG-TL!
13/06/02 15:16
수정 아이콘
박용운 감독이 또다시 친정팀의 발목을 잡네요
하미드
13/06/02 15:16
수정 아이콘
결국 정윤종이 차봉으로 나와 진게 비수가 되어 돌아옵니다...
게임매니아
13/06/02 15:16
수정 아이콘
역시 토스가 6시에 자원 펼 때 테란이 12시를 빨리 먹지 못했던게 회전율에 문제를 가져왔군요.
지나가다...
13/06/02 15:16
수정 아이콘
티원은 오늘 지면 안 됐는데요. 2위 싸움 어려워지네요.
김캐리의눈물
13/06/02 15:16
수정 아이콘
와.... KOR도 아니고... 최소엔트리로 SKT1을 잡다뇨!!!!
L.lawliet
13/06/02 15:18
수정 아이콘
더군다나 송현덕,윤영서 에이스 없이 이겼다는게..
13/06/02 15:17
수정 아이콘
이런 게 선택과 집중이죠 크크크
김캐리의눈물
13/06/02 15:19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윤영서 선수는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팀리그가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그래도 소속팀 경기인데...
13/06/02 15:21
수정 아이콘
해외팀 입장에선 프로리그가 우선 순위일 만큼 비중이 크지 않기 때문에 그렇겠죠.
13/06/02 15:22
수정 아이콘
사실 마지막라운드에서 SKT가 너무나도 무서운 집중력을 발휘하기때문에 웅진과 KT가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서라도 오늘 EG-TL의 승리를 내심 바랐는데 결국 1승 하네요 크크
곡물처리용군락
13/06/02 15:27
수정 아이콘
7시를 계속 견제한게 중요했죠, 이건 테통기한 운운할 문제는 아니라 보입니다
애초에 박진영선수가 스노우볼을 잘 굴린거죠
Mephisto
13/06/02 15:48
수정 아이콘
이번 경기는 테통기한이 문제가 아닙니다.
정명훈 선수 정말 잘했어요.
프로토스의 최종조합을 완성시키는 여유를 주지 않고 자신은 최종 조합을 완성시켰습니다.
하지만 지형 자체가 너무 사이오닉 스톰을 활용하기 좋은 지형이라 박진영 선수는 테란에게 자원을 주더라도 한번에 한타싸움을 피해가면서 적당히 병력을 소모 소강상태를 유지하죠. 즉 어차피 내가 폭풍함 준비할 시점에 정명훈 선수가 틈을 노릴거라고 파악 한번에 완벽하게 폭풍함으로 넘어갈 인프라를 확보하면서 서로간의 틈을 노린겁니다.
정명훈 선수가 조금의 틈이라도 보여줬으면 박진영 선수는 바로 폭풍함으로 넘어가서 무난하게 승부가 나는 흐름이었지만 정명훈 선수가 상대의 의도를 파악해서 정말 적절한 견재와 수비 주력병력의 환상적인 동선으로 그 시간이 점점 늦추고 거기에 소모전에서도 이득 아니면 무승부 수준으로 잘 버텨냈습니다.
가장 결정적인 승부의 갈림처는 정명훈 선수가 이대로 가다간 자신의 집중력이 무너지고 박진영 선수에게 타이밍을 허용할거라고 생각했는지 견재를 성공해야한다는 압박감에 1시와 본진에 무리하게 견재 병력을 보내서 이득을 너무 못본 시점 부터입니다.
박진영 선수의 견재는 조금씩 정명훈 선수의 집중력을 갉아 먹으면서 야금야금 피해를 주고 있었지만 정명훈 선수의 견재는 정말 최소한의 피해로 잘 막아내다보니 그 시점부터 정명훈 선수의 주력병력의 집중력이 흐트러지기 시작한거죠.
가장 그 상황을 잘 설명해주는 장면이 1시 견재 후 잔여병력이 충분하게 1시 멀티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는 상황에서 멈춰있었던 부분입니다.
자신의 그 견재 병력이 얼마의 타격을 더 줄 수 있는지 신경쓸 여력이 없었다는거죠.
그 이후 주력병력의 교전 상황을 보면 컨트롤이나 대처자체는 정명훈 선수가 정말 잘해주지만 반응이 조금씩 느려집니다.
교전 직전에 EMP가 나오는게 아니라 붙고나서 EMP가 나오죠.
즉 프로토스가 교전 진형을 갖추고 나서 EMP를 맞는다는건데 그건 프로토스 입장에서는 맞는걸 각오하고 들어가는 EMP인겁니다.
진형을 못갖추게 견재하는 EMP의 역활이 안되버렸다는거고 그 결과는 지속적으로 테란의 근소한 손해를 가져오게되죠.
그게 점차 공이 굴려져서 최종적으로는 패배를 하게 된거구요.

P.S 1 요즘 일에 치여서 한동안 방송 못보던 차에 간만에 정말 치열한 집중력 싸움이 나온것 같아요.
특히나 한순간 집중력이 무너져서 승부가 확 갈리는 경기가 아닌 치열한 밀고 당기기 끝에 결국 한쪽이 점점 무너져가는 모습은 정말 간만에 보는듯합니다. 전 정말 재미있게 본 경기라고 생각합니다.

P.S 2 이번 경기는 정말 초반에 정명훈 선수의 견재가 큰 타격을 못주고 프로토스의 중반 2테크 조합이 완성되면서 부터 정명훈 선수 이기기 힘들었습니다. 중반에 큰 이득을 못볼거 각오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조합이 완성될때까지 최대한 견재와 최적의 수비(특히 그 공성전차 1기는 정명훈 선수가 이겼으면 MVP로 감히 꼽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로 상황을 비슷하게 아니 조금더 유리하게 만들어가는 장면을 보고 감탄을 금치 못했습니다. 대단하더군요.

P.S 3 박진영 선수는 확실히 진화를 했다고 보여집니다. 원래 화려한 개인기로 초중반에 승부를 보여주는 선수지. 극후반 운영에는 조금 미숙함이 많이 보인다고 생각해왔었거든요. 하지만 이번 경기만 보면 후반에 정말 탄탄하게 운영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내요. 중반에 왜 이렇게 수비적으로 가는지 답답하다고 생각했지만 후반까지 경기를 끌어가면서 그게 다 계획된 운영이었다는 부분에 정말 감탄했습니다. 중후반부 한합 한합의 주력 병력끼리의 교전에서 집중력을 끝까지 잃지 않고 물고늘어지는 장면이 정말 인상적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928 [확밀아] 나에게 남은건 깡과 카드 그리고 홍차뿐이지 [306] 티니4410 13/06/04 4410
2927 [퍼즐&드래곤] 그러니까 유저들은 보석을 멀리하고 다른 던전을 하는 게 낫습니다. 화요일 불판입니다. [73] 화잇밀크러버3534 13/06/04 3534
2926 [스타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6R CJ vs 웅진 [131] 곡물처리용군락3436 13/06/03 3436
2925 [확밀아] 돌발 비경이 우리를 화나게 할 지라도 [301] 티니5034 13/06/03 5034
2924 [스타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6R 삼성전자 vs KT [264] 곡물처리용군락3722 13/06/03 3722
2923 [스타2] 2013 WCS America Premier League Finals Day 2 [93] 노리땡2570 13/06/03 2570
2922 [퍼즐&드래곤] 앙케이트3 vs 황제 메탈 게릴라 중 선택은? 일본을 공격한다. 월요일 불판입니다. [97] 화잇밀크러버3844 13/06/03 3844
2921 [확밀아] 나는 믿을거야 루프보상(사탄) 믿을거야 [297] 티니4630 13/06/02 4630
2920 [야구] 2013 한국 야쿠르트 : <7even 세븐 프로야구> 일요일 불판 # 1 [302] 감모여재3357 13/06/02 3357
2919 [스타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5R STX vs 8게임단 [113] 곡물처리용군락2529 13/06/02 2529
2918 [스타2]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2 프로리그 12-13 5R EG-TL vs SKT [357] 곡물처리용군락3966 13/06/02 3966
2917 [스타2] 2013 WCS America Premier League Finals Day 1 [73] 노리땡2738 13/06/02 2738
2916 [철권] Tekken Strike Season 1 16강 D조 [275] SKY923699 13/06/01 3699
2915 [스타1] 아이템베이 소닉 8차 스타리그 - 3/4위전 + 레전드 매치 + 결승전 [286] kimbilly4871 13/06/01 4871
2914 [스타2] 2013 WCS Korea Season 1 : 망고식스 GSL 결승전, 김민철 vs 이신형 #4 [328] kimbilly5202 13/06/01 5202
2913 [야구] 2013 한국 야쿠르트 : <7even 세븐 프로야구> 토요일 불판 # 1 [118] k`2657 13/06/01 2657
2912 [스타2] 2013 WCS Korea Season 1 : 망고식스 GSL 결승전, 김민철 vs 이신형 #3 [350] 곡물처리용군락3925 13/06/01 3925
2911 [스타2] 2013 WCS Korea Season 1 : 망고식스 GSL 결승전, 김민철 vs 이신형 #2 [356] kimbilly3495 13/06/01 3495
2910 [확밀아] 기교에게 희망을, 무과금 기교에게 절망을 [300] 티니5173 13/06/01 5173
2909 [스타2] 2013 WCS Korea Season 1 : 망고식스 GSL 결승전, 김민철 vs 이신형 #1 [315] kimbilly3276 13/06/01 3276
2908 [퍼즐&드래곤] 유저의 기묘한 퍼드. 주말 불판입니다. [80] 화잇밀크러버4072 13/06/01 4072
2907 [LOL] 롤러와 40회차! #2 [98] 감자튀김2928 13/06/01 2928
2906 [예능] 더 지니어스: 게임의 법칙 - 6회, 홍진호 전 감독 출연 [237] 모리아스7694 13/05/31 76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