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4/01/17 11:05:37
Name 저퀴
Subject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F조

* 오후 1시 시작입니다. 
* 2승을 거둔 선수는 Code S 승격, 2패를 거둔 선수는 예선 강등입니다. (3전 2승제 더블 앨리미네이션)


[오늘의 경기]

플토남기웅 vs 한재운플토 - 연수
저그신노열 vs 김도욱테란 - 다이달로스 요충지
프로스트 / 프로스트 / 헤비 레인

사용 맵 : 헤비 레인, 헤비테이션 스테이션, 다이달로스 요충지, 알터짐 요새, 프로스트, 연수, 폴라 나이트


[중계 플랫폼]
- 아프리카 TV : http://afreeca.com/afgame02
불판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17 11:06
수정 아이콘
벌써 불판을 달구고 계시는군요!
14/01/17 11:07
수정 아이콘
오늘 별달리 대회가 없고, 점심 시간 때 올리긴 어려워서 그냥 일찍 올렸습니다.
카페르나
14/01/17 11:52
수정 아이콘
곰게임 링크 http://game.gomtv.com/bygomtv/live/17456 로 바꿔야 할 것 같네요
14/01/17 12:01
수정 아이콘
오류가 떠서 글 수정이 안 되네요.
14/01/17 13:02
수정 아이콘
오늘은 해설조합이 기사도 흑운장입니다
천사소녀네티
14/01/17 13:02
수정 아이콘
현장에 고인규 해설이 와있나보네요
카페르나
14/01/17 13:09
수정 아이콘
남기웅 선수도 현재 무소속인가요?
14/01/17 13:14
수정 아이콘
카페르나
14/01/17 13:10
수정 아이콘
한재운이 1set 가져가네요
카페르나
14/01/17 13:20
수정 아이콘
한재운이 수비 잘하고 역습도 성공적으로 해내면서 상당히 유리합니다
카페르나
14/01/17 13:23
수정 아이콘
결국 물량의 차이 극복 못합니다. 한재운이 승자전으로 올라갑니다.
14/01/17 13:28
수정 아이콘
지난 시즌 챌린저리그 3라운드 승자들이 시드를 받았는데 시드를 받는 선수들의 성적이 안 좋네요. 김유진을 제외하고 전부 예선으로 내려 갔는데 남기웅도 패자전 부터 시작하네요,
카페르나
14/01/17 13:32
수정 아이콘
익캐 목소리가 뭔가 지쳐보이네요. 음이탈도 나는 것 같고...
14/01/17 13:32
수정 아이콘
허...김익근 캐스터 목소리가 좀 이상해졌네요
저녁경기 할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가루맨
14/01/17 13:34
수정 아이콘
1경기는 못 봤습니다만, 남기웅 선수도 유망주 소리 들은지 한참 되었는데 계속 정체된 모습을 보여주네요.
카페르나
14/01/17 13:37
수정 아이콘
사실 소속팀도 사라졌는데 실력향상을 기대하기가... 혼자서도 잘해낼 수 있는 선수가 있는 반면, 보통은 소속팀이 있는게 안정적이죠...
가루맨
14/01/17 13:43
수정 아이콘
이동녕 선수가 코드S에 올라간 건 다행인데, 고병재 선수는 정말 아쉽더군요.
생각해 보면 무소속으로 괜찮은 성적을 낸 선수가 지난 해의 정민수 선수를 제외하고는 딱히 떠오르지 않네요.
카페르나
14/01/17 13:39
수정 아이콘
확실히 맵에 비해 신노열 선수의 플레이가 좀 얌전한데요? 무난히 후반가면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일까요...
콩먹는군락
14/01/17 13:48
수정 아이콘
예상은 했지만 신노열선수 압도적이네요
14/01/17 13:50
수정 아이콘
잘하네요 신노열 선수
카페르나
14/01/17 13:50
수정 아이콘
신노열 테란전 괜찮네요, 1세트 가져갑니다.
14/01/17 13:50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 GG 2경기 신노열 1:0으로 앞서갑니다
콩먹는군락
14/01/17 13:50
수정 아이콘
결국 김도욱선수 이길수 없다는 판단으로 GG치네요
콩먹는군락
14/01/17 13:54
수정 아이콘
새가 열심히 날아다니는군요
콩먹는군락
14/01/17 13:59
수정 아이콘
화염차 찌르기로 일군 14킬하는 김도욱.
14/01/17 14:09
수정 아이콘
막판에 내려온 병력 모두 잡아내고 경기를 가져가는 신노열 선수 승자전 진출합니다~
저그인
14/01/17 14:09
수정 아이콘
신노열 선수, 요즘 경기력이 물 올랐네요!
콩먹는군락
14/01/17 14:10
수정 아이콘
바퀴로 계속 흔들고 김도욱의 한타러시를 막아내면서 승리하는 신노열입니다!
카페르나
14/01/17 14:10
수정 아이콘
점막도 잘깔려있고 군숙이 까다롭죠. 김도욱의 한방 결국 막히면서 신노열이 승자전으로 올라갑니다.
한재운 vs 신노열이 승자전에서 붙습니다
야생의곰돌이
14/01/17 14:10
수정 아이콘
대저그전 메카닉은 현재는 별로 좋아보이지 않네요. 화력은 좋지만 저그가 회전력 싸움을 걸면 밀리는 거 같습니다.
가루맨
14/01/17 14:2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요즘 저그 상대로 메카닉 테란의 승률이 나쁘지 않습니다.
저그인
14/01/17 14:11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곰티비는 김익근 캐스터로 계속 돌리나요. 삼일 연속해서 목이 많이 안 좋은 것 같은데요.
하후돈
14/01/17 14:18
수정 아이콘
와 신노열 진짜 잘하네요. 군숙, 잠복바퀴 견제 하면서 동시에 점막계속 늘어나는데다가 일꾼도 그 와중에 최적화를 합니다. 본진에 어느새 일꾼이 3-4기까지 줄어있고 각 확장 마다 일꾼이 딱 알맞게 붙여져있고...
저그 해보신분들 잘 아시겠지만 군숙 컨트롤 하는 순간 내 일벌레들이 한군데에만 몰려있다든지 아님 가스통은 있는데 일벌레가 안들어가있다든지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저걸 다 해내는 신노열이 놀랍네요.
샤르미에티미
14/01/17 14:21
수정 아이콘
원래 코드A가 비방송 3개 방송 3개 이렇게 이번 주 방송될 예정이었는데 방송 6개로 바뀌게 되면서 김익근 캐스터 혹사가
너무 심해진 것 같네요. 갑작스럽게 변경 된 거라서 다른 캐스터분들은 할 수가 없었나 봅니다.
카페르나
14/01/17 14:26
수정 아이콘
신노열 정작 토스전에서 지나요? 한재운 선수의 공격이 성공적으로 들어가며 유리해집니다.
14/01/17 14:28
수정 아이콘
신노열 gg 한재운 선수가 엇박자 광전사 견제에 따른 공격으로 한경기 가져갑니다
저그인
14/01/17 14:29
수정 아이콘
요즘 토스의 불사조 운영이 정말 무섭네요.
샤르미에티미
14/01/17 14:30
수정 아이콘
저프전은 이래서 누구도 안정적으로 잘한다 하는 선수는 군심 이후로 못 봤네요. 저그나 토스나
타이밍이 워낙 많아서 그냥 끝나는 경기가 많아요.
14/01/17 14:33
수정 아이콘
토스는 백동준... 연결체 넷만 안 지었어도
샤르미에티미
14/01/17 14:35
수정 아이콘
백동준 선수도 이제동 선수에게 다 이긴 거 지기도 했고...그래도 그나마 제일 안정적이긴 한 것 같긴 합니다.
가루맨
14/01/17 14:31
수정 아이콘
한재운 선수 2세트는 망했네요.
카페르나
14/01/17 14:32
수정 아이콘
한재운 선수 저거 버리면 뭘로 이기나요?;;;;;;;
카페르나
14/01/17 14:37
수정 아이콘
2경기는 신노열이 잡네요.
14/01/17 14:38
수정 아이콘
익캐 오늘 다운됐네요
가루맨
14/01/17 14:40
수정 아이콘
항돈이가 원흉(?)입니다..
샤르미에티미
14/01/17 14:41
수정 아이콘
다이달로스는 근데 무슨 생각으로 넣었는 지 모르겠습니다. 밸런스가 안 맞아도 어느 정도 선이어야지
특히 저프전은 전략 안 먹히면 무조건 토스가 지는 맵이라니...그 전략도 뻔하고요.
카페르나
14/01/17 14:42
수정 아이콘
블리자드가 시킨거라........
가루맨
14/01/17 14:43
수정 아이콘
맵으로 밸런스를 맞추려는 DK의 선지안.. 은 개소주죠..
14/01/17 14:46
수정 아이콘
원래 토스보단 저그가 더 세서....
가루맨
14/01/17 14:41
수정 아이콘
신노열 선수 배짱이 두둑합니다.
14/01/17 14:46
수정 아이콘
래더에서 털리는 저 보는거 같네요. 저글링이 때리는데 일꾼도 안빼요
카페르나
14/01/17 14:47
수정 아이콘
문이 열렸네요...?! 신노열 찍은 저글링이 그래도 어느정도 역할을 합니다.
14/01/17 14:48
수정 아이콘
거의 게임을 끝낸수준...
14/01/17 14:47
수정 아이콘
놀이공원잼 껄껄
카페르나
14/01/17 14:47
수정 아이콘
그래도 결정적 피해까진 아닌데 토스가 점점 답답해지네요...
14/01/17 14:48
수정 아이콘
토스의 가장 큰 문제는 디텍터가 없다는 겁니다
카페르나
14/01/17 14:49
수정 아이콘
한재운 발끈러시 가보는데 군숙이... 전투 잘해서 군숙 본체 잡나.. 했더니 바퀴가...
가루맨
14/01/17 14:49
수정 아이콘
한재운 선수의 발끈 러시가 실패하면서 신노열 선수가 코드S 가겠네요.
샤르미에티미
14/01/17 14:50
수정 아이콘
신노열 선수 부지런함이 진짜 놀라운 수준인데요.
카페르나
14/01/17 14:51
수정 아이콘
첫세트 내주면서 코너에 몰렸지만 2경기를 따내면서 신노열이 코드S에 합류합니다. 저그 한 명 추가요~!
저그인
14/01/17 14:52
수정 아이콘
신노열 선수, 비시즌기간동안 정말 경기력이 향상됐네요!
카페르나
14/01/17 14:53
수정 아이콘
신노열 선수 연습을 늘리면서 경기력이 향상됐다고 하네요.
샤르미에티미
14/01/17 14:53
수정 아이콘
진짜 연습이 최고네요. 김유진 선수도 단기간에 연습량 엄청 늘려서 그파 우승도 했죠.
14/01/17 15:02
수정 아이콘
신노열 요즘 폼은 올라왔지만 경기력은 아직 물음표네요 어떻게 토스들이 하나같이 올인을 이렇게 안하지....
야생의곰돌이
14/01/17 15:08
수정 아이콘
대프로스트전에서 메카닉!? 메카닉!!?
지나가다...
14/01/17 15:10
수정 아이콘
메카닉이라...
14/01/17 15:14
수정 아이콘
잠깐 다른거 하다 왔는데 토스전에서 메카닉이라니 이 진귀한 광경을
카페르나
14/01/17 15:15
수정 아이콘
뭔가 양상이 신기하긴 하네요...
14/01/17 15:15
수정 아이콘
토스는 3로보틱스 돌린다는 각오라도 해야... 아니면 빠르게 폭풍함이라던가요
14/01/17 15:17
수정 아이콘
토스는 시간 더 끌어야해요. 광전사 드랍이라도 좀
카페르나
14/01/17 15:17
수정 아이콘
와 EMP 대박;; 불멸자 사라졌어요...!
지나가다...
14/01/17 15:17
수정 아이콘
EMP에 불멸자가 녹았어요!!
14/01/17 15:18
수정 아이콘
시간 더 못끌면 당연히 망하죠.
저그인
14/01/17 15:18
수정 아이콘
테란의 메카닉!!
14/01/17 15:18
수정 아이콘
와 EMP 대박..
야생의곰돌이
14/01/17 15:18
수정 아이콘
대토스전 테란 메카닉의 가능성을 엿봤습니다. 정말 대단하네요.
천사소녀네티
14/01/17 15:19
수정 아이콘
누가 지금까지 토스전 메카닉이 약하다고 했나요.. 추풍낙엽인데 불멸자가 ......
14/01/17 15:20
수정 아이콘
토스 입스타를 해 보자면 추적자 인구수 줄이기와 분광기 광전사 드랍이 동시에 들어갔어야...
민트홀릭
14/01/17 15:26
수정 아이콘
와... 대박이네요
14/01/17 15:28
수정 아이콘
점추로 상대를 압박하며 토스가 트리플을 너무 쉽게 가져갔어요.
가루맨
14/01/17 15:28
수정 아이콘
메카닉 테란이 토스를 이기는 경기를 놓치다니...
14/01/17 15:30
수정 아이콘
테란이 토스를 잘 밀어붙이네요. 하지만 잘 막아내는 남기웅. 곧 3스플래쉬가 갖춰집니다
가루맨
14/01/17 15:30
수정 아이콘
토스전에서 메카닉에 이어 마이오닉;;
14/01/17 15:31
수정 아이콘
토스들 그렇게 당했으면 기사단 기록보관소는 저 위치에서는 왼쪽에다 지어야 하는데
가루맨
14/01/17 15:31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 토스전은 괜찮네요.
14/01/17 15:32
수정 아이콘
테란은 업그레이드를 거르고, 토스는 공업만 하는 특이한 상황
콩먹는군락
14/01/17 15:34
수정 아이콘
의료선을 돌린게 악수가 되면서 김도욱 GG 1:1 갑니다!
14/01/17 15:34
수정 아이콘
앞마당 밀린 시점에서 끝난 게임이었죠. 테란의 마지막 드랍을 막을 병력이 토스 본진에 있었는데 하필이면 그게 또 가다가 걸려서...
카페르나
14/01/17 15:35
수정 아이콘
업그레이드의 힘이 세네요. 남기웅 2세트 가져갑니다.
가루맨
14/01/17 15:35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가 계속 득점하면서 엄청나게 불리하던 상황을 많이 따라가긴 했지만, 결국 토스의 한 방 병력을 막지 못하고 패하네요.
카페르나
14/01/17 15:37
수정 아이콘
초반 실수하는 김도욱...
14/01/17 15:37
수정 아이콘
근데 토스가 폭풍업을 안했나보네요

어휴 근데 테란 실수가
14/01/17 15:37
수정 아이콘
초반 일군 올 스탑이라니ㅜㅜ
가루맨
14/01/17 15:37
수정 아이콘
일꾼 스탑 실수라니...
카페르나
14/01/17 15:42
수정 아이콘
남기웅 선수가 걸리면서 계속 전략을 바꾸는데.. 이러다보니 토스가 딱히 좋은지를 모르겠네요...
14/01/17 15:43
수정 아이콘
남기웅 불멸자 올인 준비하다 다시 거신 준비하네요.
김도욱 선수는 의료선 견제인데 왠지 이게 유효타로 들어갈거 같은 느낌이
가루맨
14/01/17 15:43
수정 아이콘
남기웅 선수는 건물 위치가 계속 아쉽네요.
14/01/17 15:43
수정 아이콘
아까 기사단 기록보관소나 지금 로봇공학 지원소나 좀 안전한데다 짓지 참...
14/01/17 15:44
수정 아이콘
남기웅은 아까 올인을 준비하느라 업그레이드가 굉장히 늦습니다.
14/01/17 15:48
수정 아이콘
토스 수정탑이 좀 더 전진되어서 지어져야합니다
14/01/17 15:51
수정 아이콘
교전에서 토스가 환류 사용이 없어서 테란이 조금씩 유리해지고 있네요. 유령 수가 점점 쌓입니다
14/01/17 15:53
수정 아이콘
남기웅이 바이킹을 다 잡고 거신 한번에 2기를 찍어서 한번 잘 방어해냅니다. 하지만 테란이 지게로봇의 힘으로 복구가 빠르죠
가루맨
14/01/17 15:54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는 예전에 토스전이 약점이었는데 기량이 많이 늘었네요.
14/01/17 15:55
수정 아이콘
계속 테란이 유리한데, 토스를 완전히 끝낼만큼의 화력까지는 안나옵니다
지나가다...
14/01/17 15:55
수정 아이콘
토스는 배가 고프네요.
14/01/17 15:57
수정 아이콘
다시 바이킹수가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EMP 대박으로 테란이 다시 유리하네요
14/01/17 15:57
수정 아이콘
폭풍만으로 끝내기에는 유령이 진짜 안죽네요
콩먹는군락
14/01/17 15:58
수정 아이콘
토스가 너무 가난합니다. 병력도 많이 줄었고요. 남기웅선수 암담하군요
지나가다...
14/01/17 15:58
수정 아이콘
이젠 인구수 차이가 심하게 나네요. 테란이 잡습니다.
14/01/17 15:59
수정 아이콘
아주 천천히 토스를 옭아매는 김도욱. 저였으면 진작에 키보드 부쉈을듯...
14/01/17 16:00
수정 아이콘
연수에서 토스가 점추나 올인을 쓰는 이유가 나오는 경기였네요. 저 멀티 지형이 정말....
카페르나
14/01/17 16:00
수정 아이콘
김도욱이 최종전으로 가네요. 남기웅 선수는 예선으로...
최종전 한재운 VS 김도욱 입니다.
14/01/17 16:02
수정 아이콘
아 정말 오늘 게임하기 싫어지는 경기네요 으악
지금 경기를 보면 김도욱선수가 떨어지는게 잘 상상되지 않네요
가루맨
14/01/17 16:03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가 초반의 큰 실수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조금씩 이득을 거두며 끝내 승리를 거머쥡니다.
14/01/17 16:08
수정 아이콘
남기웅 선수는 참 아쉽네요 건물 위치 지은것도 그렇고 연습이 좀 부족했다고 밖에는 생각되지 않네요... 코드S를 갔으면 팀 구하기도 훨씬 수월했을텐데 참
가루맨
14/01/17 16:08
수정 아이콘
남기웅 선수는 아직 팀을 못 구해서 그런지 몰라도 경기력이 많이 아쉬웠습니다.
14/01/17 16:13
수정 아이콘
예언자 회피가 예술이네요
가루맨
14/01/17 16:14
수정 아이콘
예언자 2기 횡사;
14/01/17 16:16
수정 아이콘
고위기사만 갖추고 7관문!
토스의 수비가 좋습니다. 파수기로 합체중인 집정관을 뒤로 밀어낸건 의도한건 아니겠지만 꽤 좋았네요
가루맨
14/01/17 16:16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는 또 다시 마이오닉!
14/01/17 16:17
수정 아이콘
이 전판에 폭풍을 그렇게 잘 피하더니 이번에 크게 한번 뒤집어썼네요. 그래도 토스가 디텍팅이 없어서 지뢰가 유효합니다
카페르나
14/01/17 16:17
수정 아이콘
프로토스 올인인데 왜 정면 막기 바쁘죠?!
14/01/17 16:17
수정 아이콘
두번째 광자과충전. 토스는 바깥에 지은 수정탑으로 광전사를 생산하는듯
14/01/17 16:18
수정 아이콘
사령부를 본진에 짓지 않은게 아쉽네요
가루맨
14/01/17 16:19
수정 아이콘
지뢰의 활약이 꽤나 쏠쏠한데요.
가루맨
14/01/17 16:21
수정 아이콘
두 선수 경기 재미있게 하네요.
가루맨
14/01/17 16:23
수정 아이콘
천지 스톰 한 방에 경기가 순식간에 역전됩니다;;
카페르나
14/01/17 16:23
수정 아이콘
폭풍에 순식간에 망했네요;;;;; 토스 스플래쉬의 힘...
14/01/17 16:24
수정 아이콘
확실히 이신형을 잡은 토스는 수비력이 다르네요. 이전 경기 본것도 도움이 좀 됐겠고..
저그인
14/01/17 16:24
수정 아이콘
테란이 예선을 뚫지 못하나요~.
14/01/17 16:25
수정 아이콘
코드S를 조성주 선수 혼자 일당백 해야 되는 일이 벌어질 것 같은 불길한 예감도 드네요..
물론 이신형 선수도 남아 있긴 합니다만..
14/01/17 16:29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는 굉장히 아쉽죠. 최지성 선수도 없고, 테테전이 최고 강점인데...
카페르나
14/01/17 16:30
수정 아이콘
토스전도 괜찮으니 토스 많은거에 그나마 희망을.. 근데 상성인 백동준이 남아있다는게 마음에 걸리겠네요..
14/01/17 16:32
수정 아이콘
지금 조성주 경기 보면 물이 오를대로 올라서... 희망이 아주 없진 않아요. 만약 이번주에 김민철을 잡는다면 기세가 하늘을 찌를듯
저그인
14/01/17 16:39
수정 아이콘
조성주 선수가 영웅이 되어야 하는 상황이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14/01/17 16:33
수정 아이콘
토스의 트리플을 효율적으로 견제하면서 트리플을 먼저 가져가는 테란
14/01/17 16:34
수정 아이콘
한재운 선수는 항상 방1업 다음 공1업이네요
14/01/17 16:36
수정 아이콘
불멸자의 힘으로 멀티를 밀어내는 토스. 과도한 바이킹이 해가 된 느낌입니다
14/01/17 16:36
수정 아이콘
앞마당까지 들이닥치려하지만 파수기의 마나가 없네요
지나가다...
14/01/17 16:37
수정 아이콘
아.. 테란은 또 떨어지나요..
14/01/17 16:37
수정 아이콘
불고기 조합이 으악!
14/01/17 16:38
수정 아이콘
테란은 이걸 막아내도 역습갈 힘이 없어요
카페르나
14/01/17 16:39
수정 아이콘
테란 정말 못올라가네요;;;
한재운이 코드s로 갑니다
콩먹는군락
14/01/17 16:39
수정 아이콘
5명 나와서 5명 전멸..
14/01/17 16:40
수정 아이콘
테란은 또 떨어졌네요...
가루맨
14/01/17 16:40
수정 아이콘
김도욱 선수도 잘 했는데, 한재운 선수가 생각 이상으로 잘 했습니다.
김도욱 선수는 1경기 역전패가 너무 아쉽겠네요.
그나저나 이제 테란은 어찌 하나요?...
저그인
14/01/17 16:42
수정 아이콘
예전에 저렇게 무서운 고위기사의 폭풍을 산들바람이라고 불렀는 지... 크크. 테란들이 전멸하고 있네요.
콩먹는군락
14/01/17 17:00
수정 아이콘
타종족을 분노에 차게하는 숲들바람인듯 합니다.숲들숲들..
14/01/17 16:43
수정 아이콘
테란은 확실히 올라갈만한 선수가 둘정도, 거기에 다음 조가 테란 둘이니 그 중 하나는 올라가겠죠 뭐
하후돈
14/01/17 16:47
수정 아이콘
테란 징징댄다고 하셨던 분들 반성하셔야 됩니다 크크 이게 냉정한 테란의 현주소죠...역시 최상위 레더에 괜히 테란이 없는게 아닙니다.
Dk는 그만 지켜보고 얼른 패치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이러다 테란 다 떨어져요. 그럼 2012년 WCS 그랜드파이널 꼴 나는겁니다(당시 32명중 테란은 단지 4명)
테란의 유령을 버프하든 토스의 모선핵 너프하든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14/01/17 16:59
수정 아이콘
위키 찾아보시면 나오겠지만 아시아 예선에 한국테란이 하나도 안나왔죠 그때 WCS 파이널은 지금처럼 가능만 하면 무조건 나가는 대회도 아니고...

결정적으로 똑같은 시기의 GSL은 테란 이 60%의 승률로 토스를 때려잡고 있었습니다
하후돈
14/01/18 00:29
수정 아이콘
보고 싶은 것만 보시면 안되죠. 아시아 예선에 왜 한국테란이 안나왔을까요? WCS 한국 예선과 한국대표 선발전에서 모두 다 떨어졌기 때문이죠. 더군다나 그 당시 예선부터 협회선수들도 모두 참여해 그야말로 한국의 모든 스2 선수들을 총망라했던 예선이었습니다. 그런데 한국 대표 선발전에서 뽑힌 10명의 한국대표중에 7명이 토스였고 3명이 저그였습니다. 테란은 단 한명도 들어가지 못했습니다. 선발전에 참여한 몇 안되는 최성훈, 안호진, 김기현 선수는 승자전 8강 문턱도 밟지 못하고 다 떨어졌죠. 이미 다 떨어졌으니 아시아 예선에 한국테란이 없는게 당연하죠. 결국 WCS 글로벌 파이널은 프프전 결승이 나와서 토스 원이삭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죠. 참고로 그 비슷한 시기에 펼쳐진 2012 옥션 올킬 스타리그 8강에서는 토스만 5명이었죠. 토스 전성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추가적으로 WCS 그랜드 파이널은 각 지역마다 다 예선을 치뤄서 올라온 대회였습니다. 웬만한 선수들은 모두 참가하는 대회였습니다. 각 나라별 예선 -> 각 지역별 예선을 거쳐서 전세계에서 32명을 뽑은 겁니다. 그런데도 딱 테란이 4명 살아남았습니다. 북미고 유럽이고 아시아고 간에 테란은 토스의 밥이었습니다. 무슨 제한이 있어서 테란이 안 나온것처럼 말씀하시면 안되죠.

그리고 60%의 승률이 '때려잡았다'는 표현이 맞긴 한가요? 10번 대결해서 6번 승리한게 60%의 승률입니다. 한번 더 토스를 이긴 것인데 뭐가 '때려잡았다'는 거죠? 그런 말을 쓸려면 이번 GSL 코드 A의 대토스전 테란의 승률을 가리킬 때 써야죠. 현재 4승 15패입니다. 이건 거의 토스가 테란을 압살하는 수준입니다. 이게 정상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2012년 하반기에 테란이 60%의 승률이라는 것도 실제 팩트가 맞나요? 리퀴피디아에서 나오는 2012년 하반기 GSL 코드 S 테프전 승률 기준을 말씀드리자면
무슈제이 시즌3 : 43% / 핫식스 시즌4 : 48% / 핫식스 시즌5 : 50% 입니다. 도대체 어디가 60%라는건지 모르겠네요. 코드 A를 포함시키면 조금더 테란의 승률이 높아질 수 있으나, 아시다시피 이상하게 코드 A에 속하는 승격강등전에서는 전통적으로 토스가 맥을 못추었습니다. 테란에게만 진게 아니고 저그에게도 많이 졌죠. 최상위권 승률을 비교한다면 당연히 코드 S 승률을 기준으로 해야한다고 봅니다.

지금 솔직히 심각합니다. 현재 토스는 11명이 진출한걸로 아는데 테란은 고작 2명입니다. 댓글들 보면 해명님은 밸런스가 얼추 맞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아무리 봐도 테프전 밸런스는 좀 많이 토스쪽으로 기울어진 것 같습니다. 저도 솔직히 남은 테란들이 다 코드 S 진출해서 밸런스가 맞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제 의견이 틀렸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왠지 남은 테란중에서도 많아야 2,3명 더 진출할 것 같고 나머지는 죄다 탈락할 것 같은 불길한 기분이 듭니다. 그럼 코드 S에서 주구장창 프프전 혹은 프저전만 보겠죠. 머 해명님은 프로토스 좋아하시는 것 같으니 실컷 보시면 되겠네요. 하지만 저는 그런 코드 S는 보고 싶지 않습니다.
14/01/18 02:47
수정 아이콘
제가 보기에는 하후돈 님의 접근방법이 잘못되어 보입니다. 유리한 통계만 가지고 오려고 기를 쓰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 자날때부터 짚고 넘어가자면, 토스의 최고 전성기때인 무슈제이 시즌3 : 47.2%이고, 저그로 판도가 넘어간 시즌4 52.5% / 시즌 5 60.7% 입니다. WCS 그랜드파이널이 11월에 있어서 제가 시즌5의 통계를 가지고왔는데 그 점은 오류가 있었네요.
자료출처는 곰게임 공식 홈페이지구요 GSL의 이름을 건, 코드 S 코드 A 전부 포함한 기록입니다.
앞으로도 언급되는 GSL 관련 자료는 전부 공식홈페이지 참조하겠습니다
이상하게 승강전에서 토스가 맥을 추지 못했고, 승강전은 최상위권 승률이 아니라 하시는데 당연히 승강전도 프로게이머들의 경기이고,
그렇기에 너무나도 당연하게 승률 통계에 포함해야 합니다. 애초에 승강전에 펄펄 날았는지 맥을 못췄는지 그걸 일일이 증명하시지도 못할거구요.
최상위권 승률을 비교해야 한다고 해 놓고 하셔놓고 12년의 최성훈이나 안호진 김기현 선수가 거기 해당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앞뒤가 안맞는거죠 최상위권 승률만 비교해야한다고 생각하시면 그렇게 하시던가, 아니면 12 WCS 예선을 예로 드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최상위권 승률을 비교해야 하면, 뒤에 언급하시는 코드A 승률도 보지 않는게 맞는거구요.

60%의 승률은 때려잡았다고 표현하는건 너무나도 당연합니다.
무감타의 위세가 극에 달했던 12년 마지막 시즌 저그의 테란, 토스전 세트 승률은 163전 96승 67패 58.9%입니다.
저그가 리그를 휩쓸었고 또한 수많은 테란 토스유저들이 저그사기라고 입을 모으고 심지어 저그 유저들조차 저사기에 공감했을 떄의
승률이 저정도인데, 60%면 충분히 한 종족이 다른종족을 때려잡았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이죠.

또한, 저는 테란의 승률로 테란의 강 약을 평가해야한다고 생각하지, 테란이 얼마나 많이 남았는지를 통해서 테란의 강함을 측정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지금 남아있는 테란플레이어들의 면면을 보면 승률도 불리하지만...)
왜냐면 테란 플레이어 숫자가 가장 적고, 또한 상위권 테란 게이머들은 외국으로 많이 갔기 때문입니다

https://www.ppt21.com/pb/pb.php?id=gamenews&no=6628&page=3&category=2 게시물을 참고 했을때
프로리그 1라운드 로스터에 등록 된 선수들의 종족은 각각 프로토스 32명 테란 21명 저그 27명입니다. 테란이 토스의 2/3 이고,
이러한 상황은 이스포츠 연맹 GSTL 로스터 (http://www.thisisgame.com/esports/nboard/162/?n=49893) 기준
저그 16, 테란 11, 토스 16으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협회 연맹 통계를 합치면 토스 46, 테란 31, 저그 43명이네요 (아쉽지만 이유라, 한이잉, 김가영 선수를 제외했습니다)

또한 이 로스터의 인원 중, GSL에 출전하는 게이머들 통계를 내 봤을때, 코드S 경험이 있는 게이머가 프로토스 16, 테란 8, 저그 23으로,
테란이 상당히 불리하다고 할 만 합니다.
더욱 좋지 못한것은 프리미어급 이상 대회에서 결승에 가 본 플레이어를 따진다면,
프로토스 8, 저그 8, 테란은 겨우 이영호와 조성주 밖에 남지 않습니다. 거기에 이신형을 더하면, 그게 끝이에요
성적이 좋은 수많은 테란 게이머- 최지성 정지훈 문성원 윤영서 최성훈 정종현 한이석 등이 전부 해외로 나간 이런 상황에서,
테란 선수들이 코드S의 균형을 맞춘다면 그것이야말로 기적이지요.
저도 프프전 보기 싫습니다. 근데 테란 게이머풀이 적고 최상위권은 해외로 나가버리는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프로게이머들 보고 테란을 고르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본인들이 선택해서 외국으로 나간건데 그걸 한국에 남아달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이 현상이 한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외국의 경우는 그 정도가 더 심합니다.
작년 WCS 랭킹 100위까지를 봤을때, 외국인의 경우 테란이 7명, 토스는 15명, 저그는 16명입니다.
당연히 2012년의 대회도 테란이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원래 테란이 작습니다.

그리고 지금 코드A의 성적이 문제라고 하셨는데, 그게 5승 14패라고 해서 그것만 보면 안되죠. 프로리그 성적은 테란이 14승 6패로 70% 승률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www.teamliquid.net/tlpd/hots/leagues/4286_2014_SK_Telecom_Proleague_Round_1)
근데 이거가지고 뭐라고 하는 사람 있던가요 그냥 표본이 작아서 뭐라고 안하지. 제대로 비교하려면 표본을 있는대로 끌어모아야죠,
현재의 2.0.11 버전으로 진행된 국내의 GSTL, GSL, 프로리그를 모두 합쳤을때, 프로토스가 테란을 상대로 73승 69패를 거두고 있습니다.
승률로 따지면 51.4%. 이정도면 DK를 불러 풍악을 울려야죠.

최근의 밸런스를 보기 위해서, 자료를 2014년의 그것으로 한정해도
(http://www.playxp.com/sc2/bbs/view.php?article_id=4802088&search=1&search_pos=&q=)
테 18 : 21 프 이며, 토스의 승률이 53.9%입니다. 60% 근처도 못가네요. 이정도면 학살은 커녕 상당히 우수한 밸런스네요.

지금 이정도 승률 기록하는건 사실 조성주 선수의 공이 큽니다만, 나머지 테란 선수들도 분명히 분발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남아있는 테란 선수들의 커리어가 저그나 토스 선수들에 비해 떨어지는데, 테란을 많이 올리려고 한다면
그건 테란이 사기여야만 가능한겁니다. 테란이 토스한테만 터지고 있는게 아니라, 저그한테도 열심히 당하고 있습니다.
그것을 증명하는 것이 원래 2.0.11.버전 국내리그에서의 테저전 승률이 66승 52패로 테란의 승률이 56%였지만,
지금 Code A 예선에서는 5승 8패로 열세죠.
이는 테저전 밸런스가 역전되었다기 보다는, 그냥 테란 선수의 수준이 저그 선수의 수준보다 약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보면 테란이 많이 살아남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겁니다. 밸런스를 떠나서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 그렇게 되는 것인데, DK가 각 나라 리그 밸런스까지 맞춰줄수는 없는노릇 아닙니까?
똑같은 Code A 리그 중간에 패치하라는 얼토당토않는 요구 하지 마시고, 아직 이신형 선수도 안나왔는데 (이변없으면 토스한테 4승 0패 찍겠죠) 그냥 이번 Code A 끝날때까지 지켜보시기 바랍니다.
콩먹는군락
14/01/17 17:07
수정 아이콘
2012년 그파때는 WCS 외부에서는 테란보다는 토스가 죽어났던 시기라서..

그래도 남은 테란을 봤을때 얼추 7~8명정도는 되지 않을까 싶네요(....)
하후돈
14/01/18 00:45
수정 아이콘
꼭 토스가 죽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 당시 있었던 대회(11월 이후부터 살펴보도록 하죠)들의 8강 진출자 테란, 토스밸런스를 잠깐 살펴보면

Electronic Sports World Cup 2012 - 토스4 테란1 ,MLG Fall Championship- 토스1 테란4, IEM 싱가포르 - 토스2 테란1 , Iron Squid – Chapter II - 토스1 테란1 , IGN ProLeague Season 5 - 테란 2(12강은 토스2 테란3) , World Cyber Games 2012 - 토스5 테란2 , 2012 블리자드컵 10강 - 토스4 테란1, HomeStory Cup VI - 토스1 테란2 , 2013 핫식스 GSL 시즌1 - 토스2 테란2, 2013 IEM 카토비체 - 토스4 테란3 입니다.
토스가 죽어놨다고 하기엔 MLG랑 IPL 빼놓고는 토스가 전부 비등하거나 우세하죠. 자날 막판까지 토스는 건재했습니다.

저도 군락님 말씀처럼 부디 제발 7~8명정도만이라도 테란이 채워졌으면 좋겠습니다.
샤르미에티미
14/01/17 16:51
수정 아이콘
테란이 요즘 저그도 못 잡고 토스는 너무 어려워하고...조성주 선수가 정말 별종이지 그 외에 잘한다 할 만한 선수는
윤영서 선수 정도...그리고 준비한 최지성 선수 정도인데 토스 인재 저그 인재는 넘쳐나니 문제 같긴 합니다.
테란의 해법은 컨트롤 밖에 없다는 게 더 그렇기도 하고요.
혼멸자
14/01/17 16:57
수정 아이콘
코드S에서 확실히 통한다고 확신이 드는 테란 선수조차도
조성주 ,최지성, 윤영서, 거기다 이신형정도죠...
그나마 정지훈 선수도 해외로 가버렸고
저 위 4명선수중에 두명이 해외니, 안그래도 부족한 테란 인재인데 한국 쪽은 답이 안보이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89 [EPL 22R] 선더랜드 vs 사우스햄튼 [25] V.serum2343 14/01/18 2343
4788 [스타2] PGR21 Starcraft 2 Team League - 프리매치 [23] azurespace2536 14/01/18 2536
4787 [LOL] ZOTAC 2013-2014 NLB Winter 결승전 - NaJin Sword vs CJ Blaze #6 [166] 부침개5877 14/01/18 5877
4786 [LOL] ZOTAC 2013-2014 NLB Winter 결승전 - NaJin Sword vs CJ Blaze #5 [369] 키토4849 14/01/18 4849
4785 [LOL] ZOTAC 2013-2014 NLB Winter 결승전 - NaJin Sword vs CJ Blaze #4 [288] 키토5140 14/01/18 5140
4784 [LOL] ZOTAC 2013-2014 NLB Winter 결승전 - NaJin Sword vs CJ Blaze #3 [319] 키토4752 14/01/18 4752
4783 [LOL] ZOTAC 2013-2014 NLB Winter 결승전 - NaJin Sword vs CJ Blaze #2 [319] 키토4648 14/01/18 4648
4782 [LOL] ZOTAC 2013-2014 NLB Winter 결승전 - NaJin Sword vs CJ Blaze #1 [315] 키토6081 14/01/18 6081
4781 [LOL] 2013 NA LCS 스프링 1주 1일차 [211] 엘에스디3284 14/01/18 3284
4780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E조 [165] 콩먹는군락3350 14/01/17 3350
4779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F조 [157] 저퀴4285 14/01/17 4285
4778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C조 #2 [404] 저퀴3613 14/01/16 3613
4777 [라디오] 케이윌의 영스트리트 - 140116, 홍진호 출연 [218] 부침개5044 14/01/16 5044
4776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C조 #1 [289] 저퀴3000 14/01/16 3000
4775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D조 [199] 카페르나2670 14/01/16 2670
4774 [한밀아] 설 이전 시즌의 준비는 어떻게 되어갈까요... [273] 니시키노 마키4356 14/01/16 4356
4773 [LOL] PANDORA.TV LOL Champions Winter 2013-2014 3rd Place Match - KT Bullets vs 나진 W Shield #3 [224] 부침개4992 14/01/15 4992
4772 [LOL] PANDORA.TV LOL Champions Winter 2013-2014 3rd Place Match - KT Bullets vs 나진 W Shield #2 [332] 부침개4084 14/01/15 4084
4771 [LOL] PANDORA.TV LOL Champions Winter 2013-2014 3rd Place Match - KT Bullets vs 나진 W Shield #1 [306] 부침개6610 14/01/15 6610
4770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A조 [238] 저퀴3234 14/01/15 3234
4769 [스타2] 2014 WCS S1 : HOT6ix GSL Code A, 48강 B조 [193] 저퀴3050 14/01/15 3050
4768 [LOL] EU LCS 1주 1일차 [163] 엘에스디3757 14/01/15 3757
4767 [예능] 김지윤의 달콤한 19 - 10회, 홍진호 출연 [49] 부침개5349 14/01/14 53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