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01/24 18:12
조중혁은 화염차 사신으로 트리플압박하면서 은밴띄우고 밴시까지 전장에 합류하면서 여왕 잡고요..
저글링 69기가 잡히고요 6시 날라가는 신동원.. 그러면서 메카닉 준비하는 조중혁
14/01/24 18:32
처절하게 당할뻔한 걸 조중혁이 뮤탈나오는걸 체크를 못했네요. 너무 쉽게 생각한듯
저도 이해안가는게 방어타워를 아끼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스1시절부터 이영호가 강력했던 이유중하나가 방워타워 조차 빈틈이 없었죠. 과할정도로 터렛짓는 선수였고. 일꾼털리고 신경쓰는니 방어타워 하나더 짓는게 낫다고 생각하는데 이종도로도 선수들은 막을수 있기도 하고 과투자를 싫어하고 괜찮다고 생각하는선수들이 많은듯해요.
14/01/24 18:38
스타1시절부터 최적화하겠다고 최소한의 방어타워를 고수했었죠.. 마인에 토스병력 피해를 아무리받았어도
옵저버 업그레이드는 누르지도않았던 선수들인데.. 더블넥할때도 포토는 1개가 일상적이었고.. 스타2로와서도 스캔 한방 쓸빠에 지게로봇 떨궜죠..
14/01/24 19:54
Code S 최소 종족 진출 기록이 지난 2011(...) GSL Oct. 프로토스 5명이었는데 이번 2014 GSL Code S에서 테란이 많이 올라가봤자 4명이 되는 것이 확정되면서 기록이 갱신되었습니다.
물론 브루드워까지 합치면 아이옵스 스타리그, 센게임 MSL의 프로토스 1명 진출이 있고 이 기록은 절대 깨져서는 안될 기록이라고 생각합니다.
14/01/24 19:58
예 그렇죠. 그걸 모르는 바는 아닙니다만 비율로 따져도 저거보다 낮으려면 Code S 32인 중에 단 한 명만 특정 종족이 올라온다는건데...그건...
14/01/24 20:06
일단 테란 탑클래스 선수들이 해외 지역에 많이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윤영서, 최지성, 문성원, 정종현, 최성훈 선수 정도면 한국에서도 충분히 Code S를 노려볼만한 선수들이지만 한국 지역을 선택하지 않았죠. (특히 윤영서, 최지성 선수의 경우에는 한국 지역을 택해도 4강 내지 8강은 충분히 갈만한 현재의 기량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모선핵의 존재로 인한 토스 초반 빌드의 자유화 현상이 토스를 잡기 어렵게 만들고 있고, 저그를 상대할때 마이오닉의 효과가 분명히 좋았지만 이제는 지뢰 너프로 군심 초반의 효율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이 있겠고요. 또 점막의 중요성을 저그들이 작년 하반기부터 크게 깨닫고 최대한 점막을 넓히는 플레이를 연구해서 많이 익혀놓았다는 점도 현재 테란이 힘들어하는 이유라고 봅니다.
14/01/24 20:02
진짜 아이옵스 스타리그와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시즌 3이후 이렇게 밸런스가 무너진 것은 처음이 아닌가 쉽습니다. 아이옵스 스타리그는 시드를 받은 박정석을 제외하고 하부리그인 듀얼에서 전원 탈락했고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3도 시드를 받은 오영종을 제외하면 박영민 선수만 듀얼토너먼트에서 스타리그 진출 했었지요. MSL 같은 경우는 센게임 MSL에서는 리그 결정전에서 승리한 강민 해설만 본선에 진출하기도 했었구요.
14/01/24 20:17
그런데 정지훈 선수가 유럽지역을 선택해서 누가 코드 S 시드를 받게 될지 궁금 해지네요. 글로벌 파이널 우승자인 김유진 선수가 시드를 받으려나요.
14/01/24 20:20
아 정지훈 선수의 지역변경으로 인한 자리는 Code A 각 조 3위 선수들로 와일드 카드전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테란이 올라가면 또 최대 5명은 되겠네요...
기사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4012323194089272
14/01/24 20:24
저는 와일드 카드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시드를 말한것 입니다. 정지훈이 8강시드가 있었지만 유럽지역을 선택해서 현재 시드가 7명 밖에 없으니까요.
14/01/24 20:27
아...제가 잘못읽었군요. 그것에 대해선 저도 아는 바가 없습니다 ^^; 아마도 시드자를 제외한 지난해 WCS 랭킹 최상위에게 돌아가지 않을까 생각중입니다. 그렇게 되어도 김유진 선수일 것이고요.
14/01/24 20:30
각 조별 최상위에 위치해서 Tier 4 선수와 첫경기를 갖게 됩니다. Tier의 경우 1은 8강 진출자, Tier 2~4는 각 Tier별 8명으로 구분하고 기준은 GSL 포인트로 합니다.
32강의 1,2경기는 1경기 Tier 1 vs Tier 4 2경기 Tier 3 vs Tier 2 의 형태일겁니다.
14/01/24 20:31
32강 Tier 때문에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7명은 Tier 1, 그리고 나머지는 원래 포인트 순대로 최상위 1명이 Tier 1이될 것 같네요.
14/01/24 20:36
작년 핫식스컵 보면 시즌파이널이나 글로벌파이널 성적이 안들어간
한국 프리미어리그 성적만이 들어간 GSL랭킹으로 최지성이 올라갔었죠. 지금 곰tv홈페이지 메인에 있는 2013년 GSL 포인트 랭킹을 보니(5위까지 나와있음) 1위 김민철 6819점 2위 조성주 6360점 3위 백동준 5146점 4위 신노열 4709점 5위 이신형 4391점 이네요. 신노열이 티어1이 될 것 같네요.
14/01/24 20:36
조중혁 선수가 의료선 드랍으로 여기저기 흔들었지만, 김동원 선수가 잘 막아냅니다.
하지만 멀티가 하나 더 많은 조중혁 선수가 여전히 유리하죠.
14/01/24 20:41
Q 일전에 송병구가 중계진 목소리가 들린다고 하던데, 어땠나.
A 중계진이 소리를 크게 지르면 알아챌 수 있을 정도다. 만약 게임 사운드를 끈다면 생생하게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뭔가 조치가 필요한 것 같다. 근데 방태수 선수와 송병구 선수의 인터뷰를 인용하는데.. 곰tv 경기장 문제 있는것 같네요..
14/01/24 20:47
인벤 기사를 보니
Q. 이전에 송병구 선수 인터뷰에서 부스가 들린다고 했는데, 본인도 들리는지? 스타2 내의 사운드를 끄면 다 들린다. 정확하게 들리진 않지만 웅성웅성되고 집중하면 알아들을 수 있을 것같다. 조치가 필요할 것 같다. 해설위원들이 1층에서 해설해서 그런게 아닌가 싶다. 라고 되어있는데 작년까지 2층이었다가 올해 중계를 1층으로 옮긴거거든요.(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02498&iskin=esports) 작년엔 오히려 강남으로 옮기고 방음이 좋다는 인터뷰가 있었던만큼, 저게 문제가 맞는것 같네요. 코드S때는 다시 2층으로 올라가야할듯...
14/01/24 21:03
김동원 선수가 테란전을 잘한다는 것도 옛날 얘기네요. 작년에 외국인 테란에게도 지는 모습을 종종 보여 줬는데, 오늘 경기력도 기대 이하입니다.
14/01/24 21:07
이번 경기하고 와일드카드전에서 2저그가 올라가면
코드S 종족 비율은 T : Z : P = 3 : 14 : 15 가 됩니다.. 지금 현재 진출자 2명 남은 상황 에서 종족 비율은 3:12:15 입니다.
14/01/24 21:09
그래도 종종 와일드카드로 올라간 선수들이 높은 성적을 거두곤 하니
와일드 카드로 테란이 올라가서 코드S에서 활약해줬으면 하네요. 자날 마지막 시즌인 2013 시즌1때도 와일드카드로 힘들게 올라간 강동현이 결승까지 올라갔었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