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4/05 18:38
사실 많이 변하지는 않았습니다. 프리미어 리그가 통합됐고, 폐쇄성이 강해졌을 뿐이죠. 근데 그것 때문에 한국 선수들이 줄어서 일부러 찾지 않으면 알아보기가 어렵긴 합니다.
15/04/05 18:39
아.. 그럼 일정이라고 표현해야되나요? 작년에는 16강 끝나고 8강 끝나고 4강 끝나고 결승 이런식으로 진행했는대.. 기간 텀을 주고...
지금은 3일 내내 경기하네요?
15/04/05 18:46
그땐 방송사가 보유한 스튜디오에서 경기를 했으니까 일정 짜기가 쉬웠는데, 지금 저 경기장은 ESL이 '빌린' 곳이라 시간을 오래 잡을 수가 없어요. 그래서 후다닥 해치우는 겁니다. 각지에서 선수들이 오니까 체재비도 줄여야 하고요.
IEM도 사실은 다른 행사가 열릴 때 부대 행사로 묻어가는 이벤트입니다. http://esports.dailygame.co.kr/view.php?ud=2015013100441488419 이 기사를 보면 대충 짐작이 갈 겁니다.
15/04/05 18:52
안녕? 나는 설명하기를 좋아하는 설명충 웨건! 내가 변화된 2015년 wcs프리미어리그에 대해서 설명해주지!
2015년 wcs프리미어리그는 해당 국가의 시민권 및 운동 선수 비자, 취업 비자, 유학비자 등을 가진 사람들만 참가하도록 변경되었어. 이런 조건을 갖추지 않은 한국인들을 새로 정립한 양대리그에 참가하도록 유도해 좀더 확실하게 격리하기로 한거지! 이렇게해서 wcs는 좀 더 세계적인 1티어 리그가 되었는데 각각의 지역에서 예선과 본선을 거쳐 유럽/중동/아프리카 지역 14명. 북미 8명, 중국 4명, 라틴아메리카 2명, 오세아니아/동남아시아 2명, 그리고 대만/홍콩/마카오 지역에서 2명 총 32명이 프리미어 조별리그를 펼치게 되었어. 이후에는 평소 우리가 보는 코드 s랑 비슷한 느낌이지! 16강부터는 시즌 파이널이라고 부르며, 역시 조별리그 후 8강에서는 싱글 토너먼트전을 하게 되는거야. 예전과는 달리 유럽wcs, 북미wcs가 아니라 선수들의 개인 일정에도 문제가 있으니 빠른 경기진행을 위해 몰아서 경기를 하게 되었고. 대충 느낌은 알겠지? 그럼 설명충 웨건은 쿨하게 떠나가지! 즐거운 게임 관람을!
15/04/05 20:14
솔직히 어제 프프전 하나 보면서 눈을 의심할 만큼 수준이 구렸던 .... 크크. 트위치 챗창에서도 영어로 사람들이 "GSL 보다가 이걸 보니 참 답답하다" 이런 글이 많았었죠 크크. 8강은 좀 낫네요!
15/04/06 02:55
버니가 2:1로 앞서다가 역전당하면서 최성훈 선수가 결승에 올라갑니다. 버니 선수 너무 조급해하는게 보여서 아쉬웠네요. 잘했는데..
15/04/06 05:31
신동원 이번에도 20분의 기적 시전...
최성훈의 두 세트 연속 역전승으로 결국 세트 스코어 3:3까지 갑니다. 현장 분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