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1/09 15:04
종목과 상관 없이 불판은 되도록이면 방송 시작 2~3시간 전에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너무 일찍 올리시면 다른 회원들이 방송 시간과 관련해 오해를 할 수 있습니다.
15/11/09 15:09
6시 반에 시작하는 줄 알고 있었는데 불판 보고 잘못 알았네 해서 깜짝 놀랐네요 크크크
첫 경기인 KT와 CTU 경기는 KT가 이길 것 같긴 한데, CTU가 나름 아마추어 팀 중에서도 프로를 배출한 명문인 만큼 좋은 경기 보여주길 기대합니다. CJ와 진에어는 음......그냥 누가 이기든 훌륭한 경기력 보여주고 둘 다 욕 안 먹었으면 좋겠네요......
15/11/09 15:12
불판을 자주 올리는 pgr러로써 다음부턴 경기 시작전 3시간 전에 올리겠습니다.
너무 일찍 올려서 경기 시작 시간을 잘못 할게 혼선을 준 점 여러모로 죄송합니다..(꾸벅)
15/11/09 16:33
오늘자 유투브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erT7TMV9-n8
내일자 유투브주소 https://www.youtube.com/watch?v=QfyAZuFQs9c 케스파 컵은 날짜에 따라 실시간 주소가 바뀌더군요. 보통 다른대회 생중계는 대회기간내내 동일하던데 말이죠. 아래 들어가면 예정경기 생중계 할거 이미 올라와 있어요.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uRIJPCxHjcHy1TBAc0rSXTGL2s6ht_2
15/11/09 17:38
제 생각은 어떤팀이든 고의든 무의식이든 습관이든 똑같진 않더라도 비슷한 위치에 와드가 박아지긴 할텐데
그냥 저냥 넘어갈거같네요. 그리고는 그냥저냥 넘어가는걸로 파이어 날듯한...
15/11/09 18:21
많은 팀들이 사용하는 자리이고 습관처럼 박힐 수 도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경기 전에 각팀에게 언급해줘야할 필요성이 보입니다.
일단 허용할지 금지할지 부터 정해야 하고, 그게 정해졌으면 공지를 해줘야겠죠. 규정으로 금지한다면 금지 됐고 사용시 패널티가 있을 수 있다던가, 허용이라면 허용한다는 공지를 시작전에 한다던가요..
15/11/09 17:42
와드버그문제는 스포티비에서 언급없이 그냥 넘어갈거같기도 하네요.
선수 본인들도 딱히 재경기를 원하지도 않는 느낌이구요. 당사자들의 심정이 궁금해서 갱승제로방송에서 우연히 들었던 내용인데 나는눈꽃:참 형 그거 버그 아니잖아. 원래 예전부터 다 알고 있던 거잖아? 사람들 난리던데? 갱승제로:별로 신경 안써. 스크림 5번하고 cj한테 1승했으면 이득이지. 그나저나 프로팀이랑 스크림 많이 안한게 후회된다.
15/11/09 18:02
경기력은 엄청 좋지 못했습니다. 실력일수도 있구요.
실력이 좋지못하다 → 와드 박아서 운좋게 이김 → 버그로 이겼으니까 재경기/몰수패 해야됨의 논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저건 장난식으로 말하는 중국식논리같은거죠.....
15/11/09 18:15
cj라서 그런 이유가 없진 않다고 생각은 됩니다. 그런데 이번건은 어떤 팀이라도 문제 될 순 있었다보고..
뭐 cj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긴하죠. 당장 인벤만봐도 단지 cj를 응원했을뿐인데 특별한 이유없이 비공감이 많이 달리기도 하고, 송대관씨 노래에 비유한 씨중딱이란 내용도 없는 단순비난글이 공감수를 많이 얻기도 하니깐요. 물고뜯고 놀기좋은 장난감 느낌입니다.
15/11/09 18:16
앞에 두개는 모르겠는데 버그로 의심되는 상황이 경기에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에 발생하여 결과를 바꿔버렸을지도 모르는 경우에 재경기 주장을 하는게 장난식으로 말하는 중국식 논리라는데에는 동의할 수 없네요. 해당 글은 보면 뭐 몰수패니 악용이니, 리븐평캔이랑 동급이니 하는 댓글들도 있지만 분명히 논리적으로 주장을 펴신 분들이 많은데, 이렇게 동떨어진 글에서 그런 모든 논의가 짱깨식 논리다 라고 상황을 정리해서 말하시는건가요?
15/11/09 18:39
쉽게 보면 저 3개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논리에 대해서 말씀하신 것처럼 중국식 논리라고 했고
저 3개의 순서를 합쳐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말씀하신것처럼 중국식논리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것과는 별개의 이유들로 재경기/몰수패를 주장한다면 그에 따른 이유들이 있을테니까요. 그에따른 방법들이 있겠지요. 제가 말한건 위에 적어진 이유에 한해서입니다. 그렇게 읽히길 바라고 쓴건데 그렇게 읽히지 않아서 말씀해주신건지 아니면 자체가 문제가 되는건지는 말씀해주시면 좋겠네요.
15/11/09 19:08
자체가 문제죠 실력이 좋지 못하다-와드박아서 운좋게 이김 이부분은 개인의 평가고 논리가 아니잖아요? 뒤에 버그로 이겼다면 재경기를 해야하는가 에서 논지를 이여나가야죠. 누가 님이 말한것 처럼 저런 실력이 좋지못하다 → 와드 박아서 운좋게 이김 → 버그로 이겼으니까 재경기/몰수패 해야됨 논리를 펴던가요. 있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있길래 다른 팀 경기 불판 게시물에 CJ라서 그렇다, 중국식 논리다라고 마치 정리하듯이 말씀하시는건가요. 그 논쟁에 참 열심히 참여했던 사람으로써 님이 평가를 보면 다 보고 말씀하시는 건지 아니면 그 사건에 대해서 사견을 이야기하시는 건지 모르겠네요. 분명 댓글은 논쟁에 대한 평가인데 내용은 사건에 대한 개인의견이거든요.
15/11/09 17:55
와드 시야버그는 시즌3부터 발생했던거고 익스큐즈하고 넘어왔는데 이제와서 난리난게 좀 어이없는거죠. 그리고 대회에서는 게임 진행불가능한 중대한 버그 제외하고 프로가 모두 인식하고 있는 자잘한 버그는 그냥 넘어가는걸로 알고 있어요.
15/11/09 18:06
그런 표현을 쓰는 분들이 제법 있었거든요.
재경기 요구 정도는 보는 관점에 따라 또 위너스가 아마추어 팀이라는 특이성 때문에 그럴 수 있다 쳐도 두세분 정도 있던 몰수패 주장이라든가 버그를 '악용'했다라고 하시는 분들이나... 황당하죠.
15/11/09 18:25
저도 재경기 요청은 할 수 있다고 봤어요. 충분히 논란이 될 수 있는 상황이였고, 상대가 경기 중간에 확인해줄 코칭스텝이 없는 팀이니깐요..
근데 버그 악용 이야기는 팬으로서 정말 억울하더군요.
15/11/09 17:58
CJ와드 사건?은 사실 그 자체로는
워낙 익히 알려진 버그라 문제되진 않는다고 봅니다 다만 롤드컵 전례가 있기때문에 대회 운영진이 똑같이 행동했어야하지 않냐는거죠 - 전 이게 가장 아쉽습니다 더불어 아마추어 선수들이 필요하다면 제대로 항의할수 있는지, 그런 규정을 숙지해줬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네요
15/11/09 18:05
저도 제대로 항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한다는거에 동의합니다. CJ가 버그악용, 몰수패 이건 말도안되는거였죠.
하지만, 본인들이 스스로 수긍한다니... 할말은 없네요.
15/11/09 18:14
CJ는 지난경기때 청신호라면 스페이스폼이 무지 좋았다는겁니다. 물론 경기력이야 상대적이지만, 스페이스의 활약 기대해봅니다.
반면에 지난주 코코는 ???? 소리가 좀 나왔었죠.
15/11/09 18:29
코코는 괜찮지 않았나요..? 팀원들 던지기 시작하면 좀 같이 던지는 경향이 있긴해요. 특히 엠비션이 던지기 시작하면 이상하게 코코도 같이 짤리는...
어쨌거나 코코가 문제라는 지적은 별로 못본듯 해서요.
15/11/09 18:51
마린은 리산드라 유행할때 리산드라만 하던데.. 스프링때의 마린은 지금처럼 완전체까진 아니었던지라 리산드라로 가끔씩 던지는 모습도 종종 나왔던 기억이.. 여튼 기대되네요
15/11/09 19:06
얼마전에 코코가 솔랭하면서 자기 지금 리산드라 10연승이라고 .. 꿀챔이라고 이야기 하더군요.
스프링때 리산드라가 유행할땐 CJ에겐 재앙이였는데 그래도 미드 텔포메타가 돌아오니 좀 안심이 되네요. CJ도 이제 리산드라 쓸수있음..ㅠㅠ
15/11/09 18:42
오프닝이 짧다보니 픽밴때 픽밴 해설에 집중을 못하고 오프닝에 했어야 될 멘트가 많아서 좀 번잡하네요 ;;
픽이 다른거 됐는데도 애초에 밀던거 계속 해설하지 않나.....
15/11/09 18:50
한국 아마추어 팀들 상태가!?
12강부터 느낀건데 왜 이렇게 다들 실력이 올라왔죠? skt 라는 아웃라이너의 존재가 다른 팀들에게 롤모델이 된건가...불가사의할 정도네요.
15/11/09 18:52
마치 어제 우리나라와 일본의 야구 경기와 반대 인거같네요 일본의 엄청난 야구 인프라로 유망주가 막나오는 것처럼 반대로 롤은 우리나라가 그런느낌이네요..크크
15/11/09 18:54
롤드컵 전에 해외 팀들이 전지 훈련 와서 스베누나 2부리그 아마 팀들이랑도 스크림을 했다던데, 그것 때문인지 전체적으로 아마 팀들 수준이 엄청 올라왔네요.
15/11/09 18:55
아마추어라고 믿기 힘든 운영 능력을 보여주네요.
피오라의 성장을 깔끔하게 말려놓으면서 오브젝트 주고 받기도 잘해냅니다. 라인 관리나 시야 장악도 잘하구요.
15/11/09 18:58
역시 해외대회 나가서 로랜드 고릴라 같은거랑 경기하다가 오니까 늑대, 하이에나한테 털리는거죠... 늑대, 하이에나가 그냥 늑대 하이에나가 아니거든요
15/11/09 19:01
역시 이래서 대회가 많아야 재미있습니다
단일 리그만 있으면 전력 순으로만 거의 순위가 정해지기 마련인데, 리그 끝나고 조용하던 시점에 이런 토너먼트가 등장하니 또 재미있는 일이 많이 생기네요
15/11/09 19:03
케스파컵 진짜 재밌네요 크크
거기다 롤드컵 이후라서 LCK수준 드립 안봐도 되서 더 재밌는 거 같습니다 되려 국뽕이 치사량까지 가는 건 아닌가 걱정될 정돈데 뭐 그거야 적당히 자제하면서 보면 되는거니 흐흐흐
15/11/09 19:03
1년 전 쯤에는 운영이고 뭐고 아마추어팀과 프로팀이 경기하면 라인에서 압살당하는게 당연했는데 이번 케스파컵에서는 오히려 라인단계에서 강한 모습도 많이 보여주네요.
15/11/09 19:07
아니 처음 픽봤을 때는 이거 CC가 너무 부족한거 아닌가?이러면 트리 못잡을 텐데 이 생각했는데 리산드라와 블라디가 함꼐하니깐 CC와 딜 모두가 다 되는 거였네요 크크
15/11/09 19:08
아무리 다른 능력치가 불리해도 프로팀에겐 운영이라는 최후의 보루가 있었는데
올해 한국 아마팀들이 기본 장착하고 나타나는군요. 북미에선 몇년이 지나도 운영할줄 아는팀이 c9하나정도였는데...
15/11/09 19:09
리산드라 쿼드라킬..
이번에도 블라디를 먼저 물고 시작했는데 졌네요 결국 블라디가 물렸음에도 불구하고 궁 EQ다 쓰고 W로 한번 어그로 끌고 존야로 어그로 끌면서 한타 완승
15/11/09 19:10
방금 한타는 CTU 모든 선수들이 엄청 잘했네요. 어그로 잘 뺀 블라디, 잘들어간 리산드라와 이블린 죽을 피에 트리 끈 쓰레쉬와 옆에서 딜 넣는 칼리까지
15/11/09 19:11
김철민 캐스터는 이번 대회는 뭐 하시려고 하시지 말고 그냥 묻어가시는 게 좋아보입니다...죄송스러운 말씀이지만 뭐하시려고 하실 때마다 괜히 흐름만 끊기네요;
15/11/09 19:14
짧은 컵대회고 빛돌이랑 정인호 해설님이 오디오가 많으신 편이라 그냥 묻묻 하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이번 대회 끝나고 다음에 롤 캐스터 또 하신다면 그땐 롤에 대해 공부를 좀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15/11/09 19:11
롤드컵 시작전에 롤드컵 끝나고 KT가 아마추어 상대로 그 와중에 썸데이가 0킬5데스5어시 하고 있다고 하면 뭐라고들 했을까요
10000% 두들겨 맞았을 거 같은데(..)
15/11/09 19:11
케스파컵 아마팀들이 북미가면 몇위정도 할까요? 플옵권에 들어갈수 있을까요? 아무래도 장기리그로 가면 분석당해서 무너질수도 있을것같긴 한데...
15/11/09 19:11
그래도 트리 딜폭발 타이밍까지만 버티면 이니시 걸기 위해 무리하는 리산드라 던지는거 받아먹어서 역전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CTU 지금 타이밍이 너무 강하긴 하네요.
15/11/09 19:11
이렇게 되면 케스파의 선견지명을 칭찬하지 않을수가 없습니다.
롤챌스 팀의 선전을 예견하고 롤챌스팀들을 가장 잘아는 해설자를 미리 영입...
15/11/09 19:11
https://www.ppt21.com/?b=19&n=8528&c=1795273
빤스쇼 50% 달성 중이네요...;; 오늘 물 온도가 차니 내일 낮 시간에...
15/11/09 19:12
롤드컵 보기전에 이랬다면 "프로팀 폼이 완전 엉망이네..." 했을텐데
롤드컵 종료후 이런 모습 보니 LCK 기반이 더없이 탄탄한 것 같아 든든하네요 크크
15/11/09 19:13
스베누가 들어왔을때만 해도 격차가 너무 심해서 팀이 너무 많은게 아닌가 싶었는데.... 10개팀이 부족한거였어!? 마르지 않는 인재풀.. 덜덜..
15/11/09 19:14
스코어가 잘해줘서 한타 근소한 승리를 하긴 했지만, 존야갖춘 리산과 블라디를 잡을 생각하면 한숨부터 나오죠.
이젠 정말 트타뿐이야!!
15/11/09 19:15
지금 파토스 약간 겁먹엇네요.
해설분들이 말햇듯 KT가 상대에게 압박감을 주는데 성공했어요. 이전처럼 리산드라가 막 이니시 못겁니다. 겁나죠.
15/11/09 19:20
확실히 애로우가 잘하네요... 이거 애로우 중간에 한번만 끊겼어도.. 역전은 안나왔을것 같아요... 그리고 역시 트타.....
15/11/09 19:20
이번 케스파컵은 아마와 프로의 격차가 생각보다 크지않다는 생각이 계속 들게하네요. 쫄깃해요. 흐
저런 아마추어팀이 스크림도 많이 하고 결과에 따른 페이도 많이 받을 수 있는 환경만 생기면 더 무서워지겠어요.
15/11/09 19:20
리산드라가 전 KT 연습생으로 알고 있는데
CTU 멤버 중에서 제일 못하는데요;;; 봇에서 궁을 아낀 나비효과가 다 이긴 게임을 완전히 말아먹었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