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3/07 19:09
방금 다이브는 매우 무리였죠.
미니언 웨이브가 들어갈때 같이 들어가서 자르반 EQ를 안정적으로 맞추고 들어갔으면 필킬 + 빅웨이브 모두 놓침 이었는데;
13/03/07 19:23
다른건 모르겠고 영혼의 불꽃(E)부터 다 찍어서 일단 정글 사냥 속도부터 확보하는거 같더군요. 둔화(W)는 레벨 1만 찍어도 35%던가 그래서 나중에야 더 찍는거 같고요.
13/03/07 19:25
미드라이너가 블루가 필요없는경우는 E선마로 갱킹성공이후 폭풍라인밀기 + 빠른타워철거가 좋구요
블루를 줘야하는 경우엔 q,w를 조화롭게 찍어주는것도 좋습니다. 첫스킬은 거의 무조건 q로 스택을 쌓습니다. 나서스정글의 경우 유동성있게 스킬을 찍어주면 될꺼같아요.
13/03/07 19:25
신드라가 폭딜이 르블랑급인데
인식이 너무 안좋죠.... 출시 초기에 너무 안좋았는데 살금살금 버프버프 받아서 지금 거의 준OP반열에 올라왔는데 사람들이 몰라요~ 꿀빠세요~
13/03/07 19:28
CC와 좋은 광역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라인 푸시와 팀파이트에선 르블랑보다 유리합니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을 파훼시키는 괴랄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13/03/07 19:29
유앤미 진짜 오늘 쥐약 먹은 듯한 플레이네요. 스페이스, 헤르메스 등 시장에 좋은 원딜들이 많다는 걸 인지해야 될 듯 합니다.
13/03/07 19:31
요새 EG는 기대 안하는게 좋아요.. 육식 정글러 못하고 + 갱보다는 맵컨트롤 위주로 하는 스누피가 문제라고 봐요.
로밍 약한 프로겐도 한 몫하는것 같고...
13/03/07 19:32
윅드 선수도 딱히 잘 한다는 느낌이 많이 들진 않고, 나머지 두 선수도 그냥 평범하더군요. LCS도 대회 초반에야 승수 좀 쌓은거고 이후에 시간이 지날수록 중하위권 팀에게 지는건 안 좋아보이더군요.
13/03/07 19:38
프로겐이 꼴픽해서 같이 던지는게 제일 크죠. 롤드컵 이후에 EU에서 프로겐이 맘대로 픽하게 자유를 줬던게 팀 전체를 망치는 느낌이에요. 미드리신 빼고는 프로겐이 꼴픽해서 재미본 게 하나도 없습니다. 그나마 미드리신도 결국 정상급 팀 상대로는 다 졌고요. LCS에서도 4연패할 동안 라이즈랑 트페로 프로겐이 게임 던졌죠. 나머지 멤버들이 롤드컵 이후로는 개인 기량면에서 정체되면서 이제 정상급이 아니고 팀에서 프로겐에 대한 기대와 비중이 더 커지는 시점에서 프로겐이 꼴픽을 하니 팀 자체가 중위권 상대로도 경쟁력이 없어보여요.
13/03/07 19:32
SK 는 전 경기 자신들이 잘한 게 아니라, CJ 가 못했다는 걸 보여주고 싶은건지 너무 막 하네요. 좀 집중했으면 합니다..
13/03/07 19:35
일단 지금까지는 GG가 원탑으로 보이네요.
프나틱은 의외의 광탈을 하고 EG는 요즘 안좋았던 분위기가 계속 가고 수노 때문에 나름 복병이라고 생각했던 SKT는 유앤미가 마이틀리 코스프레 ;
13/03/07 19:38
이번 대회에서 북미 팀이 거의 참가를 안해서 확신은 못 하겠지만, LCS에서 잘 나가는 커스나 디그니타스도 좀 다른 무대에서 보고 싶네요.
13/03/07 19:36
EG에서 소나가 저렇게 군단의 방패부터 가는건 별로인거 같아요. 후반 가면 룬 방벽으로 올려줘야 하는데, 소나가 그럴 골드가 없을텐데요.
13/03/07 19:36
그와중에 MVP Ozone vs Azubu TPA는 킬은 안났지만 초반은 MVP 오존이 좋습니다..?
그와중에 라인스왑한 탑 듀오랑 봇 역갱에 성공한 MVP오존이 2킬 가져갑니다.
13/03/07 19:44
SWL에서 MVP가 15분에 10:0 1만골드 차이로 이기고 있습니다.
TPA상대로 말이죠. 그렇다고 TPA가 요즘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 그런건 또 아닌데;
13/03/07 19:47
전 SKT의 봇듀오가 안정적인 봇듀오에서 강속구 투구를 남발하는 봇듀오로 바꼇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IEM 하노버 이후로 성적이 좋지않았죠... 이유는 아실테지만... 봇듀오 입장에서는... 봇듀오가 게임을 캐리할려면 어떻게든 킬을 먹어야 하기때문에... 무리를 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게 성공하면 '와 쩐다.' 실패하면 '던지네' 가 되는거죠. 아마 수노가왔으니 1달정도 지나면 해결되리라 봅니다.
13/03/07 19:52
와 진짜 유앤미 진심 아...
마이틀리라는 방파제가 없어지니까 진짜 눈에 확들어오네요. 심지어 이긴판도 썩 잘한다는 느낌을 못받았는데 이거 완전 트위치 하드캐리수준이었어요.
13/03/07 19:54
미포빼고 진짜 못하고 있었죠. 근데 미포가 간접너프를 먹으니까 딴걸로 좀 헤메다가 최근에 트위치를 잡던데... 하.. 트위치도 영아닌듯.
13/03/07 19:53
트위치도 트위친데..래퍼드도 만만찮게 던졌죠 이번 판. 초반 탑 다이브+계속된 끊기기로 보자면 유앤미보다 심했던 것 같습니다.
13/03/07 19:56
이렇게보니까 어제 불밤이랑 LG가 잘한걸로 생각되는............. 역시 재평가의 롤?? (.........)
와 수노 불쌍하다
13/03/07 19:58
근데 진짜 유리해질만하면 한명 한명씩 던지고 한타에서도 우왕좌왕하는게 엄청 실망스러운 경기엿네요 sk
만만한 팀이라고 생각한건가요 정신 차리고 다음경기 준비해야될듯
13/03/07 19:59
트위치 1경기때도 사실 판단이 썩 좋아보이진 않던데
빠져야 할때 쭉 못빠져서 짤린경우도 있었고 하루에 모든 경기가 다 치뤄지는 만큼 짧은시간동안 원딜의 경기력이 얼마나 올라오나가 skt1의 관건이겠네요
13/03/07 20:08
예전 롤챔스 서머때 TEAM WE VS CLG EU 때도 프로게니비아 말릴려고 블루 계속 뺏고 그랬다가 블루 한번 맛보고나서부터 역전당한게 기억이남네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