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5/01 20:07
방심하면 안되죠. 무조껀 이겨놔야 8강 안심할수 있는거였는데...
생각보다 상대가 강력하게 받아치다보니 너무 당황한게 맞는것 같긴한데..
13/05/01 20:07
수능 수리영역 때 종치고 나서 아, 다 풀었다 하고 기지개를 펴는데 주관식 답안 기입하는 것을 까먹었다는 걸 깨달은 그런 기분 아닐까요.
13/05/01 20:09
오늘 역배당 터지나요? KTA 2승에 건 사람이 얼마일까 싶습니다만
저는 매번 배팅에 참석했는데 바나나 우유에 근접도 못하네요.
13/05/01 20:12
A조 8강 팀은
1위 SKTT1 #2 그리고 2,3,4위를 놓고(사실상 블레이즈 2위가능성이 제일 높지만) CJ 엔투스 블레이즈, 나진 소드, MVP 오존으로 확정될듯 합니다
13/05/01 20:12
이렇게 되면 실드 경기 결과 보고 소드는 2;0으로 이기는 걸 자제해야할 상황이 올지도... 2등하면 3등 실드를 만날지도 모르니..
13/05/01 20:14
엠블이 거품이 좀 끼긴했죠...
탑이 쌔냐 그것도 아니엿고 정글이 쌔냐도 아니고.. 그렇다고 봇듀오도 쌘것도 .. 약한것도 아닌 좀 어정쩡한 위치였고..
13/05/01 20:14
아... 외국 해설진의 영화 드립이 터집니다!!!
이렇게 이기며 영화는 끝나고 크레딧이 끝난 후... 막눈: (의자에 앉아 고양이를 쓰다듬으며) 계획대로다 크크크
13/05/01 20:24
블루가 마스터즈 우승하고 시즌초반 소드 2:0할때만해도 '국내 최강미드' 이지훈과 '고정 밴 럼블'의 천주 등등으로 우승후보까지 거론됐는데 12강 광탈이라니... 역시 롤은 재평가가 제맛이죠
13/05/01 20:26
누가 봐도 오늘의 메인이벤트는 쉴드와 skt의 단두대 매치였는데.. 언더카드가 판을 확 달궈주네요
그래도 멘탈승리 vs 아 왜 하필 우리한테.. 같은 상황인데 부스 안은 극과 극
13/05/01 20:28
래퍼드 대 엑페 으아 기대됩니다. 라인전은 엑페가 한수위라고 생각하긴 하는데 어떻게 될지... 만약 래퍼드가 이긴다면 래퍼드보다 플레임 원탑설이 더 굳어질듯하네요.
13/05/01 20:29
엠블이 그 결승 5세트에서 하이머딩거 쓰면서 푸쉬메타로 주목을 받았던 팀이긴 한데, 그때보다 미니언이 더 세지고 라인프리징도 못하게 된 시즌3의 변화를 아직 못따라간걸로 봐야할까요.. 성장가능성은 충분했다고 생각했는데.. 아쉽긴 합니다. NLB에서의 활약을 기대합니다.
13/05/01 20:29
다른분들이 보실땐 비타민을 다음시즌에 볼수 있을것같나요? 오늘경기를 나쁘지 않게 하긴했는데
뭐 캐리했다 까진아니고 무난했다라고 보는데 탑에서 최상급 선수와붙어도 5:5 는 해줘야 8강권에 4강은 바라 볼수 있을것으로 예상되서 갈을것같은데...
13/05/01 20:30
탑 베스트 5와 붙으면 그냥 나락으로 후두둑 떨어질거같아요.
다음시즌 본선까지는 올라올수 있어도 상위권 진입은 아직 힘들거같습니다.
13/05/01 20:30
이제 나진쉴드는 왠만하면 2:0 만들기위해 로코가 말한 그 픽이 진짜실존한다면 당장 써야할거 같고.. SKT는 무재배 한번 더하면 5개의 무로 8강을 진출하는 기염을..
하지만 SKT 2팀이 A조 1위가 확정인지라 승리를 노릴거 같네요
13/05/01 20:31
골수 KT팬인 저로서는 KT A의 처참한 성적이 참으로 못내 아쉬웠고 비타민 선수 까기도 많이 까고 맨날 갈아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오늘 이렇게 잘하고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니 정말 제 스스로도 반성을 많이 하게 되네요. 그리고 왜이리 LOL KT팀은 인기가 없을까요 ㅠㅠ 참 잘하고 저한테는 너무나도 재밌는데.... 하긴 나한테 모든 KT 스포츠는 재밌긴 하구나 크크;
13/05/01 20:31
남의 잔치에서 도도리아만 신나네요.
http://gall.dcinside.com/list.php?id=leagueoflegends1&no=1904928&page=1&bbs=
13/05/01 20:31
래퍼드의 두뇌vs엑페의 기본기+노페의 컨디션에 따라 승부의 행방이 바뀔거같습니다.
노페가 살아나면 엑페가 캐리할 확률이 높아지고 노페가 죽어버리면 엑페 혼자 하는건 한계가 있다는걸 너무많이 봐서..
13/05/01 20:39
클마때도 남겼지만 분위기도 좋고 선수들 파악이 덜되었을때 롤챔스가 좀더 빨리열렸어야 기세를 이어갔을텐데
HD공사로 인해서 조금 더 늦게 열린게 MVP입장에선 아쉽겠네요 객관적으로보자면 클마때의 연합팀이 아니라 그 당시분위기처럼 우승후보이야기가 나오는건 너무 시기상조였던게 사실이고 진짜 실력대결은 자신들도 다 공개되고 분석된 후거든요. 팀을 다시 연합하기엔 나머지팀이 경쟁력이 사라질것같고 블루와 오존으로 나뉜상태로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이네요.
13/05/01 20:41
클럽마스터즈때만 해도 폼떨어졌다고 하던
나진 소드, CJ프로스트, CJ 블레이즈는 다 8강 가고 그때 날라다니던 스톰과 엠블은 빛의 속도로 고향인 NLB로 가네요..
13/05/01 20:43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강민 해설은 많이 실력이 느신 것 같은데 인터뷰 같은 것에서 보면 드립 욕심이 많은 것 같아요. 그리고 드립을 만드는 방법 중 상대방 (주로 선수)을 낮추거나 난감하게 만드는 것이 있어서 좀 아쉽네요. 그에 비해 민주희 씨는 많이 인터뷰 스킬이 는 것 같구요. 물론 강민 해설 실력이 많이 느셨고 앞으로도 더 많은 향상을 했으면 하는 마음에서 하는 말입니다..
13/05/01 20:47
근데 참 케이블이라도 오프라인 방송이니까 해설자나 캐스터나 말하는 것에 조심을 해야하네요. 쉽게쉽게 표현할수있는 비방용 용어를 쓰지 않으면서도 시청자들에게 비방용 용어를 떠올리게 할려면요
|
||||||||||
KT

K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