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4/12/13 19:30
갱맘은 한경기 인상적인 장면 하나 보여주기 모드인가요.. 오늘은 솔킬..
플라이가 그립다.. 트레이스때문에 진에어 응원하는뎅..
14/12/13 19:36
전 누가 못했냐보다 누구 책임인가 하면 르블랑 지분이 제일 크다고 봐요. 전형적인 솔랭에서 라인전 강하고 한타 어려운 챔프로 라인전 흥하고 한타서 잠수타며 팀욕하는 플레이였어요.
14/12/13 19:34
플라이가 그립네요. 라인전은 화려하지 않아도 한타 딜 넣는거부터 이 선수는 자기에게 주어진 역할은 충실히 수행하는 선수였거든요. 이판 플라이 있었으면 한타 압승으로 게임 쉽게 갔을겁니다.
초반 단계에서 미드4인갱등 미드에 엄청난 투자를 해줬는데 르블랑이 신만 내고 한게 없어요. 트레이스랑 캡틴잭은 5연패기간동안 준수한 모습 보여주는데 미드가 너무 이상합니다
14/12/13 19:35
플라이가 갑자기 이적하면서 갱맘도 급하게 돌아온거라 호흡이 아직 좋지 않네요. 하지만 프리시즌이기때문에 본선에서는 다를 것 같기도 합니다.
14/12/13 19:44
지난 섬머부터 든 생각이지만 과연 탑급 정글플레이어 외에 리신이 과연 더이상 프로 간 팀게임에서 유용한가가 의문스럽네요.
14/12/13 19:48
그렇지만 또 리신만큼 op인 챔프도 없죠
게다가 대부분 정글러들이 리신인 기본으로 다루는지라서요 물론 상대따라 다르다는게 문제이긴 합니다만
14/12/13 20:18
하 진에어는 좀 안타깝네요
시즌 시작전만 해도 SKT랑 나진 다음으로 평가가 괜찮았떤 걸로 기억 하는 데.. 그 이유라면 역시나 다른 팀들이 다 팀 개편에 들어가는 동안 진에어는 그동안 괜찮았던 선수들이 쭈욱 남아있었기때문인데 플라이의 공백이 이렇게 큰가요.. 갱맘이 영 제 구실을 못해주고 있네요;; 뭐 스텔스랑 펠컨스로 나뉘어져있었다고는 하지만 나머지 선수들하고 잘 맞지도 않는 거 같고요
14/12/13 20:22
14/12/13 20:26
근데 오늘 EDG가 스피릿, 닌자의 we 를 누르고 데마시아컵 우승했는데 나메이 U는 여전히 고정 주전이더군요.
중국리그 로스터도 확정되서 다른 팀들은 영입한 한국선수 다 출전시키는 중인데 데프트는 내부 경쟁에서 나메이에 밀린건가 아님 다른 팀 트레이드 되는건가 싶네요.
14/12/13 21:09
와 한국섭 솔랭 의 위엄 인가요.. 삼성이 돈도 안쓰고 날로 먹는다 솔랭전사 5명 모아 놨다고 저래서 어떻게 게임단이 돌아가냐 비웃음만 샀는데..
14/12/13 21:28
탑에 올인해서 키웠는데 탑솔이 하는건 없고.
미달리는 진짜 아무것도 못하고. 제파는 스킬의 절반이 빗나가고. 이러니 이길리가 있나요;;;
14/12/13 21:29
꿍은 아쉬운게 니달리로 뜰때도 16강까지고 8강부터 창 적중률이 너무 떨어지고 결승까지 저러면서 다시 안꺼내나 싶었는데
이번 경기도 너무 못 맞추니 노딜이네요 그리고 오뀨 와야할 듯
14/12/13 21:30
신생 삼성은 항상 1세트땐 엄청난 모습을 보여주면서 압도하는데 2세트는 우왕좌왕 하면서 지고 있어서 2세트는 모르겠네요 크크.
14/12/13 21:30
삼성 퓨리는 아마 솔랭 전사 제트엔진 시절부터 루시안 장인으로 유명했던 선수인데 정말 잘하네요.
그리고 드래곤 버프를 계속 챙긴 삼성이 압도적으로 유리한 상황인데 글로벌 골드 이야기로 나진이 할만 하다는 느낌의 해설은 정확한 정보 제공이 아닌듯 싶은데...
14/12/13 21:32
근데 드래곤 버프가 물공마공 업인 1단계나 몇단계인지 헷갈리는데 이속버프 제외하고는 한타 자체에서 차이나는건 아니지 않나요?
나머지 두가지야 운영적인 측면에서 유리해지는 부분이고 나진도 일단 1스택은 쌓았으니 용 5단계만 안뺐기면 할만하긴 했죠.
14/12/13 21:37
팀게임에서 한팀이 몰아서 드래곤 3버프를 챙겼다면, 글로벌 골드로 환산하기 힘든 유리함을 가져간 거에요.
라인 컨트롤도 수월하고 시야장악 싸움도 유리하고 싸울 위치를 선점하기도 쉽습니다. 자신들이 원하는 운영을 할 수 있는 바론급 버프인데 이건 적어도 글로벌 골드 2~3천급이라고 봐요.
14/12/13 21:40
드래곤을 중반 이후부터 계속 뺐기고 타워도 돌려 깎기고 라인도 밀리는 상황이 계속 나왔는데 운영이 밀린 것이 아니군요...
팀게임에서 드래곤 버프를 계속 챙기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운영 중 하나입니다.
14/12/13 21:43
한타 다 지고 계속 밀리는 상황에서, 라인관리는 오히려 잘해서 cs가 모든 라인이 20개에서 100개 정도 앞섰죠. 그정도면 충분히 잘했다고 봅니다.
14/12/13 21:46
CS 말씀하시는데 지는 팀의 CS는 템이 상대적으로 밀리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만
카사딘이 겨우겨우 존야의 모래시계 나오고 니달리가 중간에 메자이를 갔다가 전혀 스택을 쌓지 못하면서 아무런 의미 없는 cs우위였어요. 더군다나 삼성은 드래곤 스택 우위로 상대에게 드래곤 둥지 근처로 오게 만들수 밖에 없는 운영의 유리함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글로벌 골드의 우위? 지금 게임에서는 아무런 의미 없던 것이었어요.
14/12/13 21:48
그나마 잘 했다는거죠. 오늘까지 16경기 하면서 지는 팀이 이렇게 KDA벌어지면서 글골 안벌어지고 라인관리 해놓은경우가 별로 없어서요. 보통 3000-5000골 벌어지고 라인관리 못해서 그거 정리하는 사이에 다 털리고 지는 것만 봐놔서...
14/12/13 21:51
이미 기운 경기에서 나진은 정말 잘해줬다는 것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굉장히 불리한 상황임을 해설은 확실하게 말해줘야죠. 드래곤 스택을 꾸준히 쌓은 팀이 글로벌 골드에서 조금 밀린다면 대부분 그 경기는 스택을 쌓은 팀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고 해석해야한다고 보고 있어요. 이런 부분을 확실하게 해설해줘야 보는 사람들이 이해를 할텐데 단순히 글로벌 골드,cs수급량만 이야기하면 시청자들은 잘못된 정보를 듣고 있으면서 게임을 보는거죠.
14/12/13 21:39
그러니까 할만한거죠.
글로벌 골드 2~3천급인데 실제 글골은 나진이 1천정도 앞서는 상황이면 말이죠. 그것도 저렇게 오래간 경기면 더더욱이요. 용을 많이 먹었을수록 유리한건 단순히 버프가 더 많다는게 아니라 그만큼 용5스택이 가깝기에 위협적인것이 크죠. 그리고 나진이 운영이 안된 가장 큰 문제는 창이 너무 안맞은게 크다고 봅니다. 일단 맞추고 상대를 내쫓건 이쪽이 정리하건 해야하는 조합인데 포킹이 안맞으면 운영이 되나요. 드래곤이 스택이 문제가 아니었죠.
14/12/13 21:43
드래곤 패치 전에 실제로 글로벌 골드가 차이가 없더라도 조합 상황에 따라
어떤 챔피언이 컸느냐에 따라 이미 게임이 기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 같은 경우는 드래곤 버프가 그렇구요. 나진처럼 드래곤 버프를 챙기는 것을 운영의 핵심으로 보고 경기를 하는 팀이라면 더더욱 이번 게임은 드래곤을 상대에게 내주면서 매우 불리해졌다고 봐야합니다.
14/12/13 21:48
드래곤 때문에 진게 아니라 나진이 픽을 하면서 했던 의도가 실패한것일 뿐입니다.
나진의 픽은 결국 니달리와 코르키 포킹 특히 니달리 포킹이 중요했는데 방송상 보인거 합쳐봐야 10번 될까 싶을 정도였죠. 이건 드래곤 스택 때문에 불리하게 흘러간게 아닙니다. 그리고 드래곤 스택 3개나 벌어져서 운영적 유리함에서 밀릴 정도인데도 글골을 앞서간건 오히려 용싸움을 제외한 부분은 나진이 잘한거고 포킹만 잘 맞췄으면 충분히 할만한 상황임은 맞았죠. 근데 포킹이 아예 안맞으니 니달리는 없는거나 마찬가지였고요
14/12/13 21:53
애초에 포킹 조합으로 드래곤 둥지 싸움에서 유리함을 가져가고
피 없는 상대가 빠지는 타이밍에 드래곤을 챙기는 것이 나진 운영의 핵심이었을 겁니다. 이부분을 캐치하고 오히려 드래곤을 계속 챙긴 삼성이 운영을 매우 잘했다고 봐야죠. 나진은 밀리는 상황에서 최선의 플레이를 한 것이구요. 전 조합이 잘못되었다고 보진 않습니다.
14/12/13 21:55
조합이 잘못되었다고는 안했습니다.
그 조합을 제대로 쓰지 못했다는거죠. 오히려 드래곤 대치전인데 나진은 창을 거의 못맞추고 삼성은 속박을 맞췄고 거기서 승부가 갈린거죠. 용싸움만이 아니라 계속된 대치전에서도 니달리의 창이 핵심인데 그거 맞추는걸 거의 못봤어요. 이건 드래곤도 문제가 아니고 메자이도 문제가 아니에요. 오늘 창 명중률이 10%? 아니 5%는 됐을까 의문이네요. 나진이 내내 밀렸지만 창 적중률이 좀 높았으면 후반에도 충분히 할만했을겁니다. 아예 안맞아서 문제였던거죠. 그래서 니달리는 없는거나 마찬가지일 정도로 한게 없었고요.
14/12/13 21:59
애초에 전 나진이 잘했다 못했다가 핵심이 아니라 해설이 제대로 경기 상황을 말해주지 않는 것에 대해서 말한 것이었어요.
그리고 꿍이 창을 잘 못맞추는 것은 프로 경기에선 당연하죠.창 던지는 위치에 와드가 다 되어있는데 그걸 맞아주는 프로가 어디있습니까? 반대로 시야 밖에서 쏘는 모르가나는 구체를 꾸준히 적중했죠. 드래곤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서 얻은 이득을 중간에 계속 끊기고 메자이를 가는 등 전부 버리면서 중반 이후 이미 기운 게임이었음을 말하고 싶었습니다.
14/12/13 22:02
그걸 감안해도 심각할정도로 안맞은겁니다.
맞추게 보인거 다 합쳐도 10번이 될까 싶을 정도였는데 그건 정말 심각한거죠. 용 4스택이라 밀린게 아니라 포킹 한번이 안맞아서 밀린겁니다. 오히려 상대 포킹 얻어맞으니 진거죠. 포킹이 안맞았으니 압도적으로 진거지 포킹만 맞았으면 할만하다는건 맞습니다. 가정이라고는 하지만 포킹 조합인데 포킹을 빼놓고 말하는것이 의미가 없는거죠. 그리고 할만하다는건 어디까지나 어려운 상황이라는걸 전제로 깔고 하는 말이고요.
14/12/13 22:06
쇼미더머니 님// 프로 경기에서 선수 단 한명의 문제점으로 게임이 기우는 경기는 거의 없습니다.
이번 경기의 패인이 꿍의 니달리 창 적중률이라고 보긴 힘들어요. 포킹의 핵심은 시야 장악이고 시야 장악 안되어있으면 페이커라도 현저히 낮습니다. 프로 경기가 아니라 천상계 솔랭에서도 그래요. 이번 경기는 나진의 운영이 삼성의 운영에 완전히 밀린 경기였을 뿐이라고 하고 싶네요.
14/12/13 22:23
드래곤 4버프가 운영에 유리하기는한데 운영을 잘하더라도 상대가 한방이 있으면 언제든지 역전 가능한게 사실이죠. 괜히 운영의 XXX 한타의 XXX라는 말이 있는게 아닌것처럼요. 결국 글골이 조금이나마 앞선 이상 한방은 지니고 있었고 운영이 100% 완벽한게 아닌이상 역전의 여지는 충분히 남았다는겁니다. 특히 엄청나게 큰 루시안이 창을 한방 크게 맞기라도 한다면? 핵심 딜러가 이탈하게 되면 나진 입장에서는 그때만큼은 오히려 압도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점할수도 있었죠. 이게 할만한게 아니면 뭔가요?
아무리 운영에 유리하다고 해도 운영이라는게 절대적인것도 아니고 어느순간 실수가 나올수 있는거고 이런 경우 글골이 같은 상황이라면 유리한 상황도 오히려 역전될 가능성이 얼마든지 있는거죠. 나진에게도 한방이 있기때문에 할만한거죠. 그 한방이 안터지니까 진거고요.
14/12/13 22:57
쇼미더머니 님// 운영이란 기본적으로 자신들의 유리한 점을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진이 유리한 것이 무엇이 있었죠? 시야장악? 드래곤 버프? 아이템 차이? 챔피언 레벨 상황?조합상의 유리함? 하다못해 바론 버프라도 있었나요? 나진이 굴릴 수 있는 유리함이 단 한가지도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cs를 많이 수급해서 글로벌 골드가 조금 많다는 것이었는데 그것이 삼성보다 템의 우위로 나타나지도 않았습니다. 한타 때 도움이 될만한 템도 부족했죠. 삼성이 주의해야할 것은 자르반의 이니시와 니달리의 창 뿐이었습니다. 팀게임에선 어지간하면 주의해야 할 것에는 당해주지 않습니다. 상대 실수를 바라고 꿍의 창이 맞길 바라는 상황은 운영이 아니라 기적을 바라는 겁니다. 단순히 글로벌 골드 앞서니 나진이 할만하다라고 말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해설입니다. 불리하지만 나진이 그래도 상대의 실수를 잘 잡아낸다면 기회는 있다라고 했어야죠.
14/12/13 21:31
저기 벨파크 피즈 말고도 모르가나 도 밴해야 겠네요 모르가나 궁이랑 블랙 쉴드 떄문에 달라 붙질 못하니깐 루시안이 저렇게 날라 다니고 와...
14/12/13 21:37
제발 다 좋은데 뻘짓에 가까운 픽밴은 지양합니다 나진 스태프님들....카사딘 탑솔에 미달리에 후반가면 딜딸리는 코르키는 아닌거 같아요...
14/12/13 21:39
호흡 맞춘지 보름도 안됐다는데 지금까지의 프리시즌 경기를 보면 솔랭 잘놈잘 이론이 맞다는 생각이 점점 듭니다. 꽤 전부터 팀게임과 솔랭 별개론이 가라앉기 시작하기도 했고.
14/12/13 21:50
지금까지 정글,서폿은 꽤 다르다고 봤는데...그냥 잘놈잘 맞는거 같네요. 팀 게임 경험 없는 솔랭 전사 다섯 모아놨는데 이정도까지 잘하는거 보면...
14/12/13 21:47
프리시즌인 만큼 제파에게 기회를 주는거 같은데요
이런식으로 계속 제파가 경기력이 안나온다면 정규시즌 가서는 제파는 보기 힘들 것 같습니다.
14/12/13 22:12
불리한 경우 운영하는 법을 삼성은 아직 전혀 모르고 있네요.
1경기 나진은 적어도 겉보기에는 할만한 느낌이 들게 버텨줬는데 삼성은 시야 장악 다 되어있는데 계속 나가다가 죽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