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11/07 20:21
뭐 전승우승하기 직전 wcg예선에서 SKK도 셧아웃 당하기도 할정도로 비시즌에 많은 무게가 실리진 않지만.. 이건 정말 센세이션하네요.
누클리어도 사신도 잘했지만 플로리스의 경기로 기억될 것 같네요 이 경기는..
15/11/07 20:22
사실 타이거스나 skt같은 경우에는 그동안 고생했기 때문에 휴식기를 보냈을 가능성이 높다는 걸 감안해야겠지만... 그래도 스베누 키야
15/11/07 20:24
그러고보니 다음 라이엇의 세계 팀 랭킹이 어찌 될지 모르겠네요.
롤드컵 우승한 SKT = 당연히 1위. SKT에게 한 라운드를 따낸 KOO = 당연히 2위. 쿠에게 한 세트 따냄+펜타킬한 스베누 소닉붐 = ??? 쿠에게 한 세트도 못 따낸 프나틱[수정했습니다] = ??? 쿠를 두 번이나 이긴 FW = ???
15/11/07 20:27
오늘 아마추어 팀의 반란이 거세네요.
타이거즈는 아마추어팀임에도 불구하고 프로팀 스베누를 상대로 3억제기가 나간 상태에서 한타를 이겼어요!
15/11/07 20:28
룰루가 아까부터 계속 궁도 못쓰고 순삭당하네요. 아무리 룰루가 그냥 트타만 봐주면 된다고 해도 그냥 아무것도 못하고 저렇게 녹는건 절대 안좋은 데요. 솔직히 이번경기 스베누의 워스트는 룰루입니다. 라인전부터 시작해서 별로네요
15/11/07 20:30
솔직히 아까 트리 펜타할떄 궁한번 잘쓴거 제외하고
움직임 포함 잘한게 나머지에서 단한가지도 보이질않습니다 진짜 심각하네요 나머지선수는 다 1인분이상하는거같은데요
15/11/07 20:29
이거 결국 아까 제가 룰루도 망하는 건 안된다고 했던게 현실로 드러나네요
쉴드량도 이속량도 지금 이 타이밍에 AP가 너무 낮으니깐 안되요 그렇다고 너무 뒤에 있자니 트리는 물론이거니와 앞라인 커져라도 써줘야하고요
15/11/07 20:29
SKK도 wcg 광탈했듯이 일주일 전까지 5.18하다가 갑자기 적응하는 것도 힘들겠죠. 길어봐야 연습기간이 3~4일이었을텐데... 스베누가 정말 잘하지만 그 영향도 있는 듯.
그런데 타이거즈가 3킬 크크 진짜 대단하네요
15/11/07 20:30
만약 아까 트타가 처형 안당하고 넥서스 앞 타워 하나를 부숴놨다면
설사 바론 전투에서 졌다고 하더라도 슈퍼미니언이 남은 타워 하나를 부셨겠죠 그러면 결국 쿠가 아무리 전투력이 뛰어나도 함부로 나가질 못했을 거고요 이 스노우볼이 이렇게!?
15/11/07 20:31
룰루가 그냥 불타는 향로가서 트리만 버프 걸어줘도 될텐데....하하
프나틱의 SOaz는 그거라도 하던데... 스베누의 SOar는 그것도 안하네요....하..
15/11/07 20:35
트리스타나 하드 캐리 경기네요.
플로리스 뿐만 아니라 팀이 전체적으로 시야장악,운영을 잘해내면서 룰루의 저성장을 이겨내고 승리를 가져갑니다.
15/11/07 20:36
트타 하드캐리였습니다
근데 스베누 혹시 탑 서브가 있으면 바꿔야될듯한데요 룰루가 못해도 심하게못했습니다 4렙때 죽은것도 자기가 이상하게 타워안쪽가서죽은거였고 룰루가 망해도 궁셔틀하면되니깐 궁만 잘쓰면되겠지했는데 궁못쓰고 3번연속 가장먼저죽고.... 이건 너무심했어요
15/11/07 20:52
LPL이야 최근 국내 대회에서 몇몇 팀들이 주전빠진(ex. GODV가 원딜보는 LGD, 폰 데프트 없는 EDG 등등) 상황이어서 뭐 그럴수도 있다고 보는데, 케스파컵은 로스터 상태도 최소 1.5 군급 이상인지라....
스베누가 진짜 칼을 갈고 나온 느낌입니다.
15/11/07 20:38
CJ vs 위너스 3경기는 재경기 해야 하지 않을까요?
롤드컵에서 CLG전이랑 똑같은 버그인데 롤드컵에서 재경기 했죠. 심지어 이번 경기는 바로 게임을 결정지었죠.
15/11/07 20:44
재경기는 술통버그였죠. 기억에 착오가... 근데 그때는 바로 알려줘서 진행이 스무스하게 넘어갔지만, 이번에는 그러지 못했는데 버그로 게임이 한방에 결정지어진 것인데 이것은 버그도 게임의 일부라고 넘어가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이미 선례가 있는 버그인데 이해관계 때문에 바른 판단을 하지 않고 어물쩡 덮어두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15/11/07 20:46
어물쩡 덮어둔다기보다는 롤은 버그가 너무 많아서 하나하나 태클걸면 게임 진행이 안되어서....
그냥 CJ 몰수패하고 넘어가는 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15/11/07 20:52
아마도 버그를 알고 의도적으로 설치했다고 생각해서 몰수패하면 다른팀들이 의도적으로도 다른 곳에 와드를 설치 할 꺼라고 생각해서요.
15/11/07 20:47
cj 안티 아니고 없는 재경기 창조한것은 제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근데 이런 한경기를 어물쩡 넘어가면 앞으로 생기는 버그로 인해 게임 진행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때 안좋은 선례가 남고 게임과 리그오브레전드의 이스포츠로서의 지속성에 해악을 끼치게 됩니다. 밸런스와 게임성 문제는 넘어가더라도요.
15/11/07 21:00
처음이든 아니든 그것은 지금 문제와 관련이 없습니다.
그것은 그것대로의 사안이고, 문제는 지금입니다.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것도 아니고 충분히 인지한 상황인만큼 이는 시정해야합니다.
15/11/07 21:14
관련이 왜 없어요. 이번이 처음인 것처럼 그냥 넘어가면 안좋은 선례가 남는다느니 해악을 끼친다느니 하는데 이미 여러 번 일어난 일을 가지고 그렇게 말하는 건 선동이죠.
15/11/07 21:15
음, 선동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겠군요. 죄송합니다.
그러면 이번엔 그냥 CJ가 진출하고 다음 버그부터는 이런 일 없이 바로 조치가 되었으면 합니다.
15/11/07 21:00
뭐 저분이야 13~14시즌 내내 CJ욕먹으면 욕하는 게 다 나진팬이라 주장하던분이라
물론 그와는 별개로 몇몇 분들의 의견중에 도가 지나친게 있는 것도 사실이긴하고요
15/11/07 20:39
타이거즈가 딱히 엄청 큰 실수를 한 것도 없었고
초반부터 양팀간의 운영이 정말 스피디하고 화끈했죠. 케스파컵 12강 중 가장 수준높은 경기였다 평하고 싶네요.
15/11/07 20:41
이번 케스파컵이 이변의 연속인 것이 2:0 승리가 CTU Pathos VS Young Boss, SAMSUNG VS ESC Ever 예상밖의 경기이고 섬미시즌 3위부터 6위팀까지 팀들이 모두 1패 이상을 합니다.
15/11/07 20:41
SKT를 비롯해서 TG와 KT 모두 케스파컵 준비 부족에 롤드컵이 갓 끝나서 떨어진 긴장감 때문에 고전할 것이라고 예상하긴 했는데...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는 케스파컵 진출팀들은 저런 이유 상관없이 그냥 잘합니다. 앞으로 또다른 슈퍼 스타가 나올 것 같아요.
15/11/07 20:45
1세트에 제일 놀란게 스베누 게임 풀어나가는 속도가 정말 엄청 빠르더라구요. 내내 무의미하게 넘어가는 타이밍이 거의 없던... 상대 라이너 위치 확인하고 칼같이 카정 들어가고 시야장악 꼼꼼하게 하는 모습부터가 충격적이었습니다. 롤드컵 준우승 팀인 타이거즈가 시야싸움에서 확실히 앞설거라고 생각했는데...
15/11/07 20:47
타이거즈는 귀국은 빨라도 월요일 저녁 즈음에 했을 겁니다... 지금 토요일인데 그럼 화 수 목 금 4일 남죠... 그럼 킨드레드는 연습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15/11/07 20:52
스베누 선에서 다 정리되는걸로. 진에어 선에서 다 정리되는걸로. 이 말이 해외리그를 무시해서 하는 말이아니라 우리나라 중위권 팀들이 정말 잘하네요
15/11/07 20:53
결국 결과가 경기력 논쟁에 있어서도 깡패이긴 한것 같습니다. 만약 롤드컵 성적이 별로였으면 이런 경기력이라고 해도 폄하당했을거예요 크크
15/11/07 20:55
성적은 말도 안됬죠 쿠의 2패 FW KT가 진 1패 를 제외하면 한번도 안졌으니까요. 아직도 한국이 최소 반걸음 이상 메타에서 앞서나가고 있다고 봅니다. 전략도 그렇고.
15/11/07 20:57
한국이 따라잡히고 있다 상향평준화가 되어간다. 저도 그말에 공감하지만. 결과만 놓고 보면 한국의 성적은 작년보다 이번년이 더 좋았습니다. 물론 사실 언제 해외팀이 우승해도 이상하지않을정도로 따라잡혀도 이상하지않긴하지만, 그래도 한국팀들은 아마 최상위권 팀일겁니다 항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