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4/21 01:27
이래저래 말도 많고 탈도 많고 좋아보이기도하고 나빠보이기도 한 이번 개편안이지만
이렇게 개편안의 틀에 맞춰 여러지역에서 본격적으로 대회가 진행되는걸보니 확실히 뭔가 스타판이 또 한번 격변하긴 했음을 실감케되네요.
13/04/21 01:46
고석현, 윤영서 선수도 아마 시즌1을 북미로 정한 걸로 아는데, 이러면 예선을 치루긴 치룰 것 같은데 중요한 대진표가 나와 있질 않아서 확신이 안 드네요. 만일 예선을 치루면 고석현, 윤영서 선수 같은 경우에는 예선을 통과해도 프리미어 리그에는 올라갈 수 없습니다.
13/04/21 02:02
뉴스게에 블코에서 발표한 대회방식 정리자료가 있던데(상금 및 포인트가 같이 공개된 그 글)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고석현 윤영서 장민철처럼 이번 시즌 한국WCS 프리미어리거(코드S)였던 선수들은 다음 시즌 프리미어리거 32명을 뽑는 챌린저리그의 예선부터 참가하게됩니다. 그런데 예외도 있다고 일단 명시되어 있긴 하네요.
13/04/21 02:03
https://www.ppt21.com/pb/pb.php?id=gamenews&no=5234
이글이군요. ...독수리짤방 아닙니다.
13/04/21 02:06
생각해보면 북미 예선이 골치 아픈 이유가 올해에는 중국, 대만 등의 지역은 따로 WCS가 배정 받지 못해서 이 쪽 지역 선수도 모조리 북미로 왔다는 점인 듯합니다.
13/04/21 02:07
방송은 시작했네요. 아마도 모든 경기를 중계해주진 않을테고, 중계진이 골라서 중계하는 식일텐데 한국 선수들 중계가 언제 시작할지 예상이 안 되니까 답답하네요.
13/04/21 02:17
대진표는 모르지만 예선에 참가하는 유명해외선수는 딱히 없을거같은데...(유명선수는 이미 초청자목록에 올랐겠죠. 정작 북미 초청자 명단에도 누구냐넌스러운 선수들 여럿 있는터라 예선 참가자 중엔 더더욱 네임드가 없겠죠.)
ㅣ 그런고로 한국선수들 경기가 자주 나오지 않을까 싶네요.
13/04/21 02:18
http://gamebattles.majorleaguegaming.com/pc/starcraft-ii-wings-of-liberty/tournament/wcs-america-season-1-qualifyin/bracket
대진표 정보인데 MLG 회원 가입이 필요하네요... ESL에 비하면 정말 불편하네요.
13/04/21 02:56
대진표는 공개되었는데 워낙 많아서 정리하려면 한세월이네요.
제가 먼저 올린 링크에서 찾고 싶은 선수 아이디로 검색해보시면 나와 있습니다만... 진짜 너무 많아서... 불판 글에 표시하는건 불가능에 가깝고, 직접 회원 가입을 하시고 찾아보시는게 편할 듯합니다. 혹시 알고 싶은 선수가 있다면 제가 찾아볼 수는 있습니다.
13/04/21 03:09
그런데 확실히 유럽은 128강 전까지 단판제로 진행되서 한번 지면 끝인지라, 한국 선수들이 한 명 빼고 다 탈락했는데 북미는 기회가 꽤 많아서 크게 걱정은 안 되네요. 지금 경기도 기량 차이가 보여서 2:0이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13/04/21 03:24
진화장을 저리 지을거면 가시 촉수는 하나를 짓거나 아예 안 지었어야 하는데, 이건 지나친 투자였네요. 건물 하나만 더 지었어도 여왕이 빨리 나와서 훨씬 나았을텐데요.
13/04/21 03:37
둘다 14못 15앞 같은 빌드로 시작했지만 번식지를 빨리올리는 이제동에 비해 상대선수는 찔러볼 의도인가요? 2진화장 돌리면서 근접공업 방업
13/04/21 03:41
으음....미스테리한 빌드를 구사하다 이보다 더 스무스하게 밀릴수 없다는 듯 쓸려나가는 미스테리 선수.
이제동 선수 일단 2:1로 올라갑니다.
13/04/21 03:44
다음경기는 잘하는 해외테란 중 한명인 데무슬림 경기를 틀어주는군요.
잘한다는 이야기는 종종 들었는데 실력에 비해 성적낸건 마땅찮았나...
13/04/21 03:50
아이디 사칭이 엄청 많더군요... 대놓고 SKTPartinG... 지금도 고석현 선수 아이디로 진게 보여서 중계진이 놀랐는데 래더 아이디가 전혀 다른 아이디...
13/04/21 04:06
전종범 선수도 승자 2라운드에 진출했고, 그리고 박진영 선수도 진출 확정 지어서 한국 선수들 모두 승자 2라운드로 갔네요.
승자 2라운드 중계 시작했는데, 한국 선수 중계는 아니고 FXO 북미팀 선수 경기를 하네요.
13/04/21 09:48
본문에 언급되지 않은 한국선수로는
김민형(콴틱,Apocalypse) 황승혁(콴틱,Hwangsin) 고석현(콴틱,Hyun) 이 있고 각각 승자조 16강, 패자조에서 5R, 패자조에서 5R 진행중입니다.
13/04/21 11:55
리퀴피디아 보니 양준식선수와 김학수선수는 지금 wcs a 32강 진출 확정된거 같네요
http://wiki.teamliquid.net/starcraft2/2013_WCS_Season_1_America/Premier Protoss (8) Terran (7) Zerg (11) Qualified Players (8) Alicia TBD TBD Oz Invited Players (24) 생략
13/04/21 12:04
이제동선수는 최재성이나 최정민 선수가 유력한 9라운드가 고비가 되겠네요.모두 제압한다해도 결국 팀동료 김동현과 만나게 됩니다만
13/04/21 12:47
최재원선수가 중국의 TOP 선수를 꺾고 WCS 아메리카본선에 진출합니다.
이로서 예선 1일차 한국인 상황은 본선행 양준식(프) 김학수(프) 최연식(테) 최재원(프) 패자조 최종전 김동현(저) 한이석(테) 패자조 10R 전종범(저) 김민형(테) 우경철(프) 박진영(프) 패자조 8R 최정민(저) 패자조 7R 이제동(저) 최재성(테) 김민혁(테) 천희수(테) 황승혁(프) 탈락 고석현(저) 다소 부진했던 유럽예선상황과는 다르게 북미는 한국이 강력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로서 1일차 WCS 예선경기의 한국선수들 경기가 모두 종료되었습니다. 가능하면 많은 한국선수들이 진출..했으면 하지만 너무 많으면 그것대로 안좋기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