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1/10/18 08:45:28
Name 마바라
Subject [증시] 2011년 10월 18일 시황 불판
주식쟁이 마바라 입니다.

여러분들께 중요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주식쟁이들은 전문적으로 훈련된 선수들 입니다.

주식쟁이들의 매매는 완벽함과 안전을 기본으로 합니다.

가정이든 학교든 장소에 상관없이 따라하시면 안됩니다.

절대! 따라하지 마십시요.

Please, Don't try this.




§맥쿼리님의 알아두면 좋은 불판용어§

프로그램 매매 : 입력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 다수의 종목을 동시에 대량으로 자동매매하는 방법.

차익, 비차익거래 : 선물과 현물을 동시에 매매함. 쉽게 말해 선물과 현물지수의 이론가 대비 차이를 매매하는 형태.
그래서 외인이 현물 많이 산다고 무작정 주식 사다가 낭패볼 수 있음.
비차익은 선물빼고 현물만 가지고 하는 매매. 그래서 프로그램 볼때 주식은 비차익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를 확인할것.
차익거래는 업다운이 아닌 포지션을 해석해야투자에 활용할 수 있음. 다만 차익거래를 비차익이라 신고하고 매매하는 경우가 다반사.
엑셀 시트처럼 생긴거에 종목 리스트 연결되어 있고 동시 주문 가능.

투자주체 : 외인은 머리좋고 돈많은 주포, 기관은 눈치빠른 브로커, 개인은 탐요커라고 보면 됨.
국내증시는 외인 없으면 끝. 현물은 개인들이 잘 담을때도 있는데 파생쪽은 왠만하면 개인들 포지션 반대로 감.
하지만 가끔 외인들이 개인 계좌로 들어올 때도 있음. 그리고 서로 포지션이 얽혀 같은 방향으로 갈때도 있음.
항상 외인만 벌고 개인들은 잃는건 아님. 기관도 엄청 손실을 볼 수 있고 외인도 마찬가지.
다만 개인들만 연속적으로 수익나는 장은 없음.

베이시스 : 시장, 이론베이시스로 나눠지는데 시장은 선물의 현재가와 kospi200지수의 차이, 이론가는 선물의 이론가와 kospi200지수의 차이.
중요한 것은 시장베이시스와 이론베이시스의 차가 선물의 현재가와 선물의 이론가보다 크면 차익 프로그램매수를 유발한다.
더 쉽게 설명하면 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크면 콘탱고라고 하고 차익 프로그램 매수를 유발한다.
반대는 백워데이션이라 하고 차익 프로그램 매도를 유발.

풋,콜 : 옵션은 풋이 먼저. 풋이 유리하고 매도가 우위를 점함. 풋은 내릴수록 재수, 콜은 오를수록 재수다.
그럼 하락장에 풋만 사면 수익을 내는가? 절대 아니다. 그런데 옵션은 먼저 매도하고 나중에 청산하는게 있다.
쉽게 설명하면 콜매수와 풋매도 그리고 콜매도와 풋매수는 각각 원하는 방향이 같다고 일단 생각하라.
세부적인 건 다음에..

시장동향보기 : 시장동향을 보면 각 주체별로 선,현물 옵션에 대한 금일 매매동향이 수량과 금액으로 나뉘어서 나와있다.
수량만 봐도 안되고 금액만 봐도 안된다. 수량은 플러스인데 금액은 마이너스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각 상황별로 꼭 체크를 해야 한다.

시총상위종목 :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은 대부분 업종 대표주들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흐름을 보고 업종 순환매를 분석하고, 각 업종별로 현재 어떤 상황인지 알려주기 때문에 자주 확인해야 됨.

공매도 : 차입공매도와 무차입공매도로 구분되는데,
차입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와서 매도하고 나중에 되갚는 매매로 현재 기관이나 법인만 가능, 무차입공매도는 현재 금지.
개인이 할 수 있는 공매도는 유,무상이나 배당에 따른 권리 공매도 밖에 없음.

대주거래 : 변형된 공매도라고 보면 됨.
공매도는 매도한 후 이틀 후까지 갚아야 되는데, 대주는 보통 한달이 기본이고 최장 60일까지 가능.
개인도 가능하고 대주 가능 종목중에 매매하면 됨. 자기 대주와 유통 대주로 구분됨

대차거래 : 외인이나 기관만 가능. 아무런 제한이 없는 대주거래라고 생각하면 됨.
바로 셀링안해도 되고 나중에 매각대금을 이용한 숏커버 기간도 길고 수수료도 없음.

양적완화: 중앙은행의 일반적인 정책으로 효과를 보지 못할 상황에서 통상적인 성격이 아닌 카드를 쓰는데,
이걸 양적완화 정책이라 한다. 필요 규모 이상 유동성을 풀어서 거래량을 확대함으로 인해 시장의 안정을 꾀하는 방법이다.

FRB: 미국 연방준비은행들의 관리를 맡고 있는 기관이다. 독립적 통화정책 권한을 행사할 수 있고, 전세계 금융정책의 핵심이다.
이 이사회안에 FOMC라는 위원회가 있는데 주로 정책결정을 총괄하는 기구이다. 년간 8번의 회의를 가진다.


※ 본문과 리플은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본문과 리플은 매수나 매도를 권유하지 않으며 투자의 근거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하여야 하고 모든 위험은 본인이 감수하여야 합니다.
불판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0/18 08:53
수정 아이콘
어제 다우 빌빌대는 거 보고 하락폭이 더 커지겠구나 싶었는데 좀 많이 깨졌네요.
하루만에 5일 전으로 빽 할 지도 =_+
11/10/18 08:53
수정 아이콘
대충 훑어봤는데 오늘은 떨어져서 시작할 모양입니다~
하얀곰팅
11/10/18 08:54
수정 아이콘
동시호가는 어떻게 가지고 노나요?
상한가 갔다가 마이너스 됐다가 플러스 됐다가 다시 마이너스.. 그냥 동시호가를 안봐야되나 싶네요..^^
맥쿼리
11/10/18 09:00
수정 아이콘
조정한번 받을때 됐죠. 천천히 갑시다~~
마바라
11/10/18 09:05
수정 아이콘
20일선까지 조정받으면 1770인데..
어디까지 조정받을까요.. 아님 내일 바로 반등?
승리의기쁨이
11/10/18 09:10
수정 아이콘
또시작인것인가요 ㅠㅠ
11/10/18 09:19
수정 아이콘
개인의 힘으로 -1% 정도에서 타협하지 않을까요?
맥쿼리
11/10/18 09:26
수정 아이콘
영..영우통신!! 메디포스트 또 땡기는데요~~전 오늘 다 텁니다~~
애플보요
11/10/18 09:44
수정 아이콘
어제 다우 하락폭이 생각보다 커서 다우 조정이 2~3일은 가지 않을까 싶네요

기술주가 관건이지만 실적은 거의 선반영 된듯 싶고...
맥쿼리
11/10/18 09:52
수정 아이콘
골드만삭스 자산운용회장 짐오닐의 주간 브리프

지난 주, 우리는 지난 2009년의 가을 이후 S&P 최대의 랠리를 보았다. 많은 다른 시장 또한 비슷했다. 이러한 액티비티는 지난 8월부터 시작된 롤러코스터 장세의 상단 부분으로 다시 돌려놓았다. 따라서 묻고자 하는 문제는 2011년이 전형적인 “5월에 팔고 떠났다가 세인트 레저스데이에 다시 돌아오는” 장세가 될 것인가 아니면 그 동안 약세론자들이 그토록 떠들어 댔던 암울한 현실에 대해서 강세론자들이 깨닳게 되는 장이 될 것인가?이다. 다음에 첨부된 차트를 본다면 상황에 대해서 명확하게 볼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이번 랠리가 1280, 즉 8월에 시작된 급락 위의 레벨까지 상승해야 되며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안착해야 약세론자들이 사라질 것이라는 것을 알것이다.

그렇다면 11월 3-4일에 열리는 G20회의가 가까워지면서 다음 3주 동안의 뉴스가 정말 흥미진진할 것이다. 지난 주에 재정부장관들이 말한 것을 토대로 유추해 보자면, 우리는 유럽 패키지의 “빅뱅”에 대해서 더욱 큰 기대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이 괜찮다고 보여주는 경제지표들이나, 중국의 경기 연착륙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아마 시장은 상단 돌파에 대한 테스트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G20회의 후에는 중요리더들이 과연 정말로 우리를 더욱 안전한 곳으로 가이드 할 것인가? 일 것이다. 특히 유럽에 대해서 말이다. 따라서 나에게는 가이드북이 다음 2주간에 대해서는 꽤 명료하다.

중국 연착륙인가 아닌가?

나는 중국지역에서 1주일의 방문계획을 갖고 있었다. 지난 토요일날 24간이 걸려 홍콩에서 돌아왔는데, 사실 나는 유럽의 아수라장에 때문에 계획을 바꿔야 했지만 홍콩과기대에서 미리 연설을 하기로 하여 다녀왔다. 하지만 굉장히 즐거웠고 또한 홍콩에서 가장 중요한 2사람 외에 많은 재미있는 사람들을 만났다. 우연히도, 나는 가기전에 마지막으로 중국지역과 내부 CIO Call을 했는데, 다음 2~3분기 GDP 수치 중 가장 낮은 수치를 제안하는 외부 게스트도 있었다. 우리는 최근 월별 경제지표를 검토하기 시작했으며 역시 RMB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우리의 CIO Call에서 우리는 중국의 경기 경착륙 시나리오에 대한 이슈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으며 어떠한 나쁜 일이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토론했다. 대부분의 논의는 중국내 부동산시장과 지역대출이었다. 그 중 우리의 게스트는 몇 달 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이며 지방재정에 대한 불안이 증가할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하지만 불량부채에 대해서는 중국에게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얘기했다. 그는 GDP의 5% 정도는 지방채 발행 등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미팅과 홍콩에서의 사람들과의 토론에서, 나는 연착륙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게스트는 중국의 2012년 Q1 GDP yoy가 7%, CPI 4% 이하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그는 통화적, 재정적 정책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며 2012년 중반에는 다시 GDP가 8%로 복귀할 것이라고 보았다.

우리는 월별 데이터를 검토했으며, 검토 결과 지금까지는 M2의 더딘 성장, 소프트 상품의 거래보고서, CPI의 둔화 등을 볼 때 연착륙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중국과 RMB 이슈

나는 중국을 방문했을 때 사람들에게 RMB의 전환성에 대해서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들었다. 지난 5월부터 중국에 방문한 적이 없었는데, 다시 가보니 8월에 글로벌 증시가 변동성이 커지면서 중국 정책당국이 어쩌면 RMB를 자유화 할 수 도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소문에는 2015년을 타겟으로 한다고 한다. 내가 사람들에게 물어봤을 때에는 2015년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대해서는 반문하지 않았으나 중국 당국이 공식적인 타겟을 정할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보였다. 사람들은 상황에 따라서 그리고 다음 리더십의 이양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달려있다고 얘기했다. 하지만 내가 물어본 모든 이들은 꽤 실현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으며, 2015년엔 SDR 배스킷을 포함하여 RMB가 더 많이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홍콩에서 진행된 미팅 중 하나에서는, 나는 RMB로 표시된 FDI의 사용 증가에 대한 허가 개혁이 발표될 것이라는 얘기를 들었고, 곧 발표되는 것을 보았다.

워싱턴 DC가 RMB를 악의 근원으로 돌리는 것과는 상반된다. RMB가 명목상 실제상 지난 6년간 달러에 대해서 30%가 올랐다. 사실 나는 의회가 왜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의회를 통과하게 되더라도, 백악관과 대통령이 승인하지 않을 텐데 말이다. 하지만 모두들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 해주는 근거는 아마도 중국의 어마어마한 외화보유고일 것이다.

중국의 무역흑자는 연초대비(9개월간)는 막 $180 billion을 넘어섰고, 이것은 GDP의 2%를 살짝 넘어선다. 무역흑자는 2008년 신용 리스크가 발생하기 전 보다 1/4가 낮은 수치이며, 또한 수입 트렌트의 강화와 수출의 약화로 인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DC가 취하고 있는 액션은 근거가 없다고 볼 수 있다. 7~8년 전에는 말이 됐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유럽의 빅뱅

일요일날 많은 헤드라인과 뉴스기사들을 읽고 예상컨데 G20 재무장관 회의는 유로위기의 빅뱅적인 해결방안에 대해서 더 많은 성과를 보여주었다. “세개의 다리”들은 좀더 현실적인 그리스 헤어컷, 은행 재자본화, EFSF의 권력 강화 등으로 점점 관심을 끌고 있다. 그리고 Paul Achleitner의 제안에 대한 뒷얘기가 공개되었으며, Paul 자신이 FT에 그것에 대해서 사설을 기고하였다. 흥미롭게도, 프랑스와 독일 리더들은 그들에게 계획이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아직 그 것이 무엇인지는 알려주지 않고 있다.

아무튼, 우리는 10월 23일 다시 유럽 리더들이 회의를 갖는다고 하니 들뜨게 된다. 그리고 11월 3~4일에 열리는 G20이 있다. 역사상 가장 중요한 G20가 될 듯하여 기대감이 상승하고 있다.

G20와 IMF의 자금

시장이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된 이유는 큰 이머징 국가들이 IMF를 통해 간접적으로 유로지역의 채무 펀딩에 간접적으로 투자를 하려고 한다는 추측성 기사 때문이다. 브릭스 국가들이 더 많은 투표권을 얻기 위해 IMF에 기여를 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고 보일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이에 대해 반대하며 IMF가 지난 재본화로 인해 충분한 자금이 있다고 말하고 있다. 혹자는 미국의 반대가 IMF에의 권력을 브릭스에게 너무 일찍 넘기는 것을 용납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떠한 경우더라도, 11월의 G20을 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다. SDR 개혁과 RMB의 조기 포함에 대해서도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 경제에 대한 증거

이제 중국의 데이터가 나오기 시작하면, 우리는 “macro data vacuum”을 월 말까지 진행한다. 우리는 이번 달 flash PMI, 공식 PMI, ISM 데이터, 한국과의 무역거래 등을 통해 늦여름부터 하락에 대한 여러 사인을 많이 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2008년의 가을과 비교해보자면, 미국은 계속 긍정적인 사인을 보내면서 애널리스트들은 Q3과 Q4의 전망을 올리고 있다. 몇몇 유럽의 데이터도 긍정적인 사인을 보내고 있다. 영국은 지금의 패턴과는 예외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발표된 지표들이 꽤 안 좋게 나오고 있다.

나는 지난 3~4개월 동안의 급격한 움직임을 보며 지난 2009년 초의 상승세에는 두 가지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생각한다. 첫째로 중국이 좀 더 내수적이고 소비자가 이끄는 경제로 가고 있고, 그리고 미국의 강한 통화적 편향성이다. 유럽의 문제를 보았듯이, 유럽이 글로벌 경제의 성장과 시장의 key가 되진 않는다고 생각한다. 나의 가설이 맞으려면, 우리는 중국 인플레이션의 둔화, 중국의 정책편향의 변화, 중국 소비층이 잘하고 있다는 근거, 그리고 미국이 유럽에 끌려가지 않는 증거가 필요하다.

유로위기가 엄청 커졌지만, 나는 이것이 중국과 미국을 끌고 들어가는 힘이 있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미국과 중국이 그 동안 일본의 장기적인 약세에도 대처해 왔는데, 왜 유럽에게 대처할 수 없다고 보는지 알 수 없다. 유럽이 아예 무너진다면 또 모르지만 지금 상황이 그렇게 힘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

유럽은 지난 몇 주간 시장이 다시 회복하고 빅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예상치가 많이 올라왔다. 하지만 아직 많은 딜레마 들이 남아있다. 예를 들자면 Berlusconi의 아직 이탈리아에서 잠정적으로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유럽 대응책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다. 우리가 유럽에게 바라는 것은 단지 붕괴되지 않는 것이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우리와 우리 시장에게 문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짐 오닐
골드만삭스자산운용 회장

요약하면 현 상황을 나쁘게 해석하지 마라. 생각보다 튼튼할 수도 있다. 다만 신중하게 판단해야 될 요소들이 있다.
11/10/18 09:53
수정 아이콘
오늘 엔터주 무슨 일 있나요?
제왑 상한에 SM도 +7% 이상이군요..덜덜...
11/10/18 10:08
수정 아이콘
아침에 엔터주 뺏는데..........................................
앨런아이버슨
11/10/18 10:25
수정 아이콘
오랜만입니다.
현중이랑 oci 보유하고 3년뒤에 돌아오려했으나 3년안에 거덜날것 같아서 갈아탔습니다. 흐흐.
손절의 반대말이 무엇인지 기억조차 안나는군요..
지금은 국순당이랑 네오위즈게임즈랑 바이오랜드 들고 있는데 얘네들 어떻게 보시나요?
애플보요
11/10/18 11:07
수정 아이콘
음 중국 GDP 예상 하회군요.. 뭐 크게 작용할거 같지는 않지만요 . 오늘 고점은 이미 나온것 같습니다.
28살 2학년
11/10/18 11:26
수정 아이콘
혹시 뿌리깊은나무 보시는분 계신가요? 기가 막힙니다. 싸이더스 주식 나왔으면 급등할 정도로 잘 만들었어요.
덕분에 지금 일어났습니다 -_-;;
heydalls12
11/10/18 11:53
수정 아이콘
그래서 sbs 주가가 고공을 하는건가요..
설탕가루인형
11/10/18 12:11
수정 아이콘
바이오~ 바이오~ 바이오 용사~
아침에 마이너스 가길래..그럼 그렇지~ 했었는데...이게 뭔가요...
지금이라도 들어가야 하는건가...OTL
11/10/18 12:15
수정 아이콘
http://news.kbs.co.kr/world/2011/10/18/2373695.html

그리스 파업으로 도시 기능 사실상 마비..
의회가 이번주에 처리할 공공부문 임금 삭감과 공무원 임금 지급 정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긴축안 표결을 앞두고 시위가 격해지고 있다는 소식이네요.
이 동네도 참 답이 없는 것 같습니다.
28살 2학년
11/10/18 14:05
수정 아이콘
아까 메디포스트 얘기를 했었는데 오늘 거래량보니 심상치가 않군요.
설마 대동단결 풀리나....
맥쿼리
11/10/18 14:29
수정 아이콘
메디포스트 오늘 움직임을 보면 흔드는게 아니고 돌리는 거 같은데요?
선데이그후
11/10/18 14:53
수정 아이콘
순수한 세력주모양에선 흔드는 모양이 아니고 2006년이후에 세력주의 패턴이 다양화되서 뭐라 말하긴 그런데 큰의미는 없는것 같은데요.
메디포스트의 패턴양식은 고가에서 옆으로 횡보하면서 물량을 조금씩 처분하는데 시간이 지나봐야 알수있지 지금은 의미가 없어요.
맥쿼리
11/10/18 15:18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습니다. 내일 하루 정도 더 조정 받지 않을까 싶은데..
오랜만에 주식을 샀더만 설레이네요.
선데이그후
11/10/18 15:25
수정 아이콘
오늘 수고많으셨습니다. nc는 좋겠네요. 구단주가 부자라 얼마나 투자를 할지.. 나도 온라인게임 개발해서 갑부되면 프로야구팀 창단하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0 슈퍼스타K TOP5 생방송 불판 (1) [234] 오크의심장4191 11/10/21 4191
478 MBC <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시즌 2> 7화 불판 (방송종료) [139] 큐리스3508 11/10/21 3508
477 [증시] 2011년 10월 21일 시황 불판 [85] 마바라2204 11/10/21 2204
476 [토론회]서울시장 후보 토론회 나경원vs박원순 #2 [386] 어린시절로망3734 11/10/20 3734
475 [토론회]서울시장 후보 토론회 나경원vs박원순 [318] 어린시절로망3710 11/10/20 3710
474 [프로야구] 2011년 10월 20일 목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4차전.. # 2 (경기 종료) [247] k`4849 11/10/20 4849
473 [프로야구] 2011년 10월 20일 목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4차전.. # 1 [213] k`3591 11/10/20 3591
472 [토론회] MBN '저격수 vs 저격수' 나경원-박원순을 말한다! [44] 몽유도원2959 11/10/20 2959
471 [증시] 2011년 10월 20일 시황 불판 [65] 마바라1956 11/10/20 1956
470 [AFC 챔피언스리그] 4강 1차전 전북 vs 알 이티하드(경기종료) [230] 레몬카라멜2393 11/10/20 2393
469 [프로야구] 2011년 10월 20일 목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3차전.. # 3 (경기 종료) [243] k`3439 11/10/19 3439
468 [AFC 챔피언스 리그 4강] 수원 Vs 알사드(이정수 출전) 불판 [88] 가을의추억2305 11/10/19 2305
467 [프로야구] 2011년 10월 19일 수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3차전.. # 2 [226] k`2888 11/10/19 2888
466 [프로야구] 2011년 10월 19일 수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3차전.. # 1 [228] k`2616 11/10/19 2616
465 [증시] 2011년 10월 19일 시황 불판 [92] 마바라1938 11/10/19 1938
464 [UEFA 챔피언스 리그 32강 조별리그 C조 3R] 오텔룰 갈라티 Vs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불판 (박지성 결장) [171] 반니스텔루이2217 11/10/19 2217
463 [증시] 2011년 10월 18일 시황 불판 [41] 마바라2070 11/10/18 2070
462 [프로야구] 2011년 10월 17일 월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2차전.. # 3 (경기 종료) [256] k`4680 11/10/17 4680
461 [프로야구] 2011년 10월 17일 월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2차전.. # 2 [212] k`3010 11/10/17 3010
460 [프로야구] 2011년 10월 17일 월요일 <롯데 vs SK> 플레이오프 2차전.. # 1 [208] k`2709 11/10/17 2709
458 [증시] 2011년 10월 17일 시황 불판 [75] 마바라1990 11/10/17 1990
457 [EPL 8R] 뉴캐슬 유나이티드 Vs 토트넘 핫스퍼 + 손흥민 경기 불판 [203] 반니스텔루이2375 11/10/16 2375
456 [EPL 8R] 아스날 vs 선덜랜드 (박주영&지동원 후보) [2] [214] 은안2367 11/10/16 236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