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5/03/14 23:24:19
Name kimbilly
Subject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3


* 경기 방식 : 8강, 2개조 듀얼 토너먼트 (매 경기 단판) / 4강, 3전 2선승제 / 결승, 5전 3선승제

* 방송 일정
20:50 ~ 22:10 8강 A조 최종전 : SK Gaming vs yoe Flash Wolves
22:10 ~ 23:20 8강 B조 최종전 : CJ ENTUS vs Team WE
23:30 ~ 02:45 4강 2경기 : Team SoloMid vs yoe Flash Wolves
02:45 ~ 04:30 4강 1경기 : GE Tigers vs Team WE

* 영 어 생방송 보기 : Twitch
* 한국어 생방송 보기 : tving (유료) & T LoL (Android) & NAVER & afreeca & 다음 tv팟 (PC) & 다음 tv팟 (Mobile)
불판창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기바오가 승부를 갈랐군요. 아쉽네요.
마타는내가마타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CJ저평가는 옳았던 것으로 ..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저평가가 아니라 온당한 평가인걸로...
엔하위키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샤이 빼고 다 못했는데 MVP 스페이스 줘야겠네요. 한타때마다 포지셔닝이 아주 그냥..
Tyrion Lannister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한타하는데 점멸써서 벽 넘어간 후 미사일 하나 인광탄 한 번 날리고 아무것도 못하다가 위로 갔다 아래로 갔다가 귀환 눌렀다가(...) 취소하고 아래로 돌아가다가 혼자 짤리는 거 보고 할 말을 잃었습니다.
한걸음
15/03/14 23:30
수정 아이콘
고의 트롤 수준이죠 하.. 그거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한타 때 딜을 제대로 못 넣었고요.
제리드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귀환은 진짜 왜눌렀을까요;;
겜알못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진짜 그거 보고 벙찌더군요...
무지방.우유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거기서 대체 바론을 왜 갔을까요...?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CJ에게 카토비체는 진짜 악몽의 땅이네요 ;;
탑망하면정글책임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엠비션이 마우스 집어던졌구요

매라는 애니 레오나 같은 이니쉬 챔프 하면 진짜 안구테러입니다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언제 집어던졌죠?? 못봤는데 지나갔나...
탑망하면정글책임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겜 던졌다는 의미에요 실제로 던진게 아니라
방민아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게임을 던졌다는 의미같아요.
마스터충달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CJ 저평가는 옳았던 것인가 ㅠ,ㅠ
Grateful Days~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SKT가 나갔어야 했는데.. ㅠ.ㅠ 폼이 떨어진 상태의 CJ가 나가는게 불안하더니만..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저는 SKT도 SKT지만 진에어...
왜 거기서 의적 스킬 발동을 해서...;;;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1라운드에서 CJ전만 이겼더라면 2위로 출전할수 있었을 것 같은데 리그 초반 부진이 아쉬었네요
15/03/14 23:25
수정 아이콘
샤이 헤카림은 봉인하는 걸로... 한타에서 아쉬운 장면이 좀 많이 나옵니다...;;;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이번게임 샤이 헤카림은 그래도 괜찮았던거같은데..
시간도 어마어마하게 벌어준장면도 많이 나왔고..
15/03/14 23:30
수정 아이콘
확실이 선수들 중에는 샤이가 잘하기는 했는데...
그냥 샤이가 헤카림하고 잘 안 맞는 것처럼 보여서요... 문도가 더 나았을 것 같습니다...
무지방.우유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이번 경기만큼은 샤이 탓하기가...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샤이가 못한건 아닌데 문도 했음 더 나았을 것 같아서...ㅠㅠ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이렇게 4강은 한국 vs 중국 / 동남아 vs 북미가 되었습니다. 황밸이네요 허허허허
엔하위키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유럽은... 개최지?ㅠ
무지방.우유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클템 깊은 빡침이...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어이없네요 크크..
상대가 그 전 교전에서 대승해서 아이템도 잘 나오고, 무엇보다 바론버프까지 있는데..
급하게 용싸움에서 무리해서 한방에 밀리네요.
겜알못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아 정말 팬으로서 화나네요 판단이 정말 한심합니다...그리고 스페이스가 너무 심했어요.
새벽하늘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이래서 ge보다 cj가 잘하는게 중요했는데 쩝.. 중국 최약체팀한테 잡혀버리네요.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싸이온이 어그로를 너무 잘 끌었어요
이호철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GE가 우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이긴 하지만
현 한국 리그 3위가 이모양이면 확실히 갭이 줄어든 것 같군요.
사티레브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티원같은 수퍼플레이어에 압살당하거나 삼화같은 운영에 말려죽거나 삼블같은 전투민족한테 꺠지는것도 아니고
.........못하는것도 왜 상대적으로 부족한것도 아니고 그냥 왜 던져서 지는걸까..
CrazY_BoY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북미, 동남아, 한국, 중국 고르게 4강이네요... 이 와중에 유럽은...ㅠ_ㅠ
엔하위키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유럽은 개최국으로 한자리입니다?ㅠㅜ
llAnotherll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WE가 12위인가요? 한국은 1라운드 1,2위 보낸거 같은데 WE가 나온 이유는 뭔가요?
새벽하늘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지역대회 우승해서 그 자격으로 나왔어요. 그때 멤버는 거의 갈려서 지금 꼴찌하고 있구요.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작년 7월에 IEM 선전 우승을 했습니다...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WE가 지난 iem우승했다고 들었는데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The Last of Us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LPL 때문일거에요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초대 팀 외에 예선? 같은 지역별 대회에서 우승하면 출전권을 받는데 (c9과 갬빗처럼) 그 대회중 하나를 우승한 것으로 압니다. 당시 edg를 2-1로 이겼던가 했을거예요. 작년에 있었던 일인데 그 이후 we가 엄청 추락했던 것 같습니다.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we가 IEM 지역대회에서 우승해서 그 자격으로 나왔습니다.
초청팀이 아마 CJ TSM GE SK고 나머지 4팀이 전부 지역대회 우승팀입니당
한들바람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IEM 싱가폴 우승팀이라서 출전이 진작에 정해졌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LPL일정도 진작에 조정해줬고요.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참나 바론내줬으면 그냥 용스택하나 주고 운영했으면 되는건데 대체 왜 저기서 싸우는 선택을 하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코르키 포지션은 한타때마다 왜저런건지 모르겠고...
못해도 너무 못하네요 진짜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요 . cj는 4스텍인 상태인데 , 상대 바론버프 사라지고 5용기회 노리면되는거는..이건 실버에서도 알듯?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그... edg 오늘 보니까 엄청 쎄보이던데 쿨럭..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데프트랑 폰 실력이 어디 갈리가 없죠..
챠밍포인트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그팀 딜러가 세체수준들이죠

요즘느끼는건데 탱은 대충아무나해도 티안나는데 딜러는 짤없어요
15/03/14 23:40
수정 아이콘
EDG 정말 무섭죠... 시즌 초에 GE한테 스크림에서 발렸다는데... (EDG 스타일이 GE 스타일에 완전히 먹히는 것도 있습니다만...)
솔직히 EDG는 GE랑 붙여 보고 싶습니다...
다레니안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아니 대체 왜 조급해하죠???
이해를 할 수가 없어요
대체 뭐가 그리 급한거죠?
The Last of Us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CJ 좀 심하네요 상대 바론이 있는데, 한복판으로 들이닥치는건 무슨 오던가요
무지방.우유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라이벌? 갬빗을 잡는데 모든걸 쏟은 그들은 거짓말처럼...
John Swain
15/03/14 23:26
수정 아이콘
그냥 팀 자체가 한 몸이 되서 플레이하는 느낌이 아니었습니다 -_-;

바론 쓰로잉 이전에도 어거지로 한타 이겨가며 이득 보긴 했지만 전체적인 스킬 구성이 전혀 합이 맞지 않았어요. 매라가 플 티버를 쓰는데 팀원은 저~~멀이 있는 상태인 경우가 다반사고. 헤카림 텔포 뻘로 쓰고.. 스페이스 딜 포지션 영 별로고 앰비션 리신은 하는게 없고 코코는 이 상황에서 뭘 하징..



바론 쓰로잉 이전부터 불안 불안하게 흘러가더니 역대급 망 오더로 바론에서 다 죽고.. ㅜㅜㅜ 마지막에는 앰비션이 던지네요...... 하 이건 너무 심하네.. ㅜㅜㅜㅜㅜ
메리프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몬테도 매라랑 앰비션이 시너지 안나왔다고 지적중T.T
오쇼 라즈니쉬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보고싶다 플레임...
시너지따위 필요 없는
메리프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잘하다가 바론 오더가 다 망쳤네요...니네가 무슨 나진이냐...
피아니시모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카토비체는 CJ의 무덤이네요(....)
CJ가 유독 겜빗하고도 악연이 깊은 것도 그렇고
동구권하고 사이가 안좋은 듯 (?????)
탑망하면정글책임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클템 딥빡 크크
바다표범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아니 게임 한판하고 오니까 we가 이겼네요? 하러가기 전에는 분명 cj가 용버프 챙기고 주도하는 분위기 였는데...
방민아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클템 극딜 쩌네요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아 충격적인 리신 헤카림 시비르 평타에 둘정리....
리플레이 충격적입니다....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 마지막 판단도 의아하네요;; 거기서 왜 시비르쪽으로 발키리를...
XellOsisM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그냥 졌다 치고 깔끔하게 던진 느낌이..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시비르가 반피밖에 없어서.... 샤이는 궁도 못쓰고 죽었네요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클템횽 목에 핏대..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허허허 역시 국뽕은 치사량으로 복용하지 않는 걸로... 적어도 4강은 갈 줄 알았던 CJ가 멀리가버렸네요....
무지방.우유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사실 CJ 불안하다고 한 분들 많았죠....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TSM에는 질수도 있다고 봤는데 선수가 바꼇다지만 LPL에서 최하위권에있는 WE에게 털려서 4강도 못갈줄은...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바론오더는 할만했다고 봐요

그냥 그떄 엄청 못싸운거지 특히 스페이스 포지션이 영아니였죠

가장 큰 문제는 바론버프있는 상대로 용쌈 하다가 게임 진거죠
물만난고기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we 스타일 정말 마음에 드네요. 탑,미드 투텔을 이용한 무한싸움메타!!
보통 한번의 큰 한타가 어떤 식으로도 끝나면 그 다음에 정비하거나 편안하게 오브젝트를 챙기는 등 약간 여유러운 마음가짐일터인데 we측에서 그 빈틈을 자꾸만 찌르면서 결국 게임까지 가져갑니다.
세크리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사실 코코 르블랑 빼면 우리나라에서도 CJ가 엄청 잘한다는 느낌은 없었죠. 개인적으로는 스페이스/매라가 좀 아쉽네요. 처음 듀오되었을때는 세계최고 봇듀가 될수도 있다고 생각했는데 스페이스는 포텐만 보이다가 정체중이고 매라는 이득보는 로밍이 점점 없어지네요.
John Swain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어제 오늘 매라는 사상 최악의 서포터.. ㅜㅜ
새벽하늘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가 오늘 잘해줬어요. 매라폼을 감안하면 스페이스는 진짜 잘하는거죠.
겜알못
15/03/14 23:30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가요?? 스페이스가 한타 때 딜 조금만 했어도 바론전투가 바뀌었을 겁니다.
15/03/15 00:45
수정 아이콘
매라가 아예 지켜주질않던데요?
엔하위키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쩝 전 스페이스가 너무 아쉬웠던게 한타페이즈마다 딜 생존 둘다 못한 느낌입니다. 미드1차 밀다 짤리는것부터 한타 시작부터 딸피로 겨우생존에 노딜.. 바론한타는 말할것도 없구요.. 매라가 못한게 있긴 한데 그걸 감안해도 진짜 심하다고 생각했습니다ㅠ
방민아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전 의견이 조금 다른게 다이애나 자르반 사이온 시비르면 팀원 모두가 도와줘야 딜 간신히 넣을거라 생각합니다. 스페이스가 브루저 많아지면 공황상태가 되는건 어느정도 동의하는데 팀원들의 적극적인 엄호를 받지 못하기 때문이 더 크다고 봐요.
한걸음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한타 내내 딜을 거의 안 넣은 수준이었죠..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매라는 로밍보다 특유의 이니시가 계속 손해만보는게 크죠

판단력이 많이 떨어진거 같습니다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진짜 스페이스 오리지널 맛밤 시절에는 한국 최상위급 원딜이 될 것 같았는데 성장을 못하네요....
사티레브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어제 갬빗전 나미는 mvp였죠
근데 레오나와 오늘...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기반 cj는 국제적으로 강하다고 느껴본적이 한 번도 없는듯..
cj는 전신 블레이즈때가 국제전 리즈시절.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제가 아까 불판에 뭔가 불길하다고 말 했는데 귀신같네요(..) 정말 반전의 반전이 속출하는 대회입니다.

c9 광탈, tsm의 cj전 대승리, sk의 최종전 탈락, 그리고 화룡정점으로 cj의 최종전 탈락...

we는 공개방송에서도 지적할 정도로 문제점이었던 미드 원딜을 바꾸고 온 팀이라 12등의 문제투성이 we는 아니지만 그래도 한국 2위로 초대됐던 CJ가 이렇게 조별 광탈할 거라고는 대부분 생각 못했을 텐데요.

CJ는 당분간 인터넷 접속하지 않는 편이...
엔하위키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지금 c9 걱정해줄때가 아니죠.. 강현종감독 저평가발언부터 해서 실드를 쳐주기가 힘듭니다ㅠ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c9 걱정한 적 없는데...;; 리플 잘 못 다신 것 같네요.
엔하위키
15/03/15 00:07
수정 아이콘
에구구 c9보다 더 까일 것 같다는 요지였는데 제가 표현을 잘못했네요흐흐;
행복한인생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CJ는 그나마 저평가가 아니라 과대평가 당하고 있었네요. 라이엇이 이번 IEM 파워랭킹 2위로 꼽아줬던데
그런 초 고평가를 두고 강감독은 저평가라고 우기더니 허허
15/03/14 23:27
수정 아이콘
이번 경기는 솔직히 챌린저스 리그만도 못한 수준의 경기였습니다.
CJ는 한심 그 자체네요.
라이즈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클템 표정이 모든걸 말해주네요..
Tyrion Lannister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클템 진심 화났나보네요 크크크
무지방.우유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CJ는 카토비체에서 굿이라고 해야할듯...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초대가수 노바소닉
라이즈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TSM WE 경기 긷개되네요.
최종병기캐리어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한국/대만/북미/중국

결국 유럽이 패자가 된걸로...
초보저그
15/03/14 23:28
수정 아이콘
결국 한국의 선진메타를 증명할 수 있는 팀은 GE 밖에 없군요.
자제좀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중국이 잘하면 또 흥미진진하죠 크크
크로스게이트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edg나 omg한테 졌으면 경기력도 팽팽했고 그래도 잘싸웠다고 이해하겠는데 중국 11위인 we한테 지다뇨..
어제 tsm상대로는 무기력하게 원사이드하게 밀리더니 오늘은 중국 최하위급한테...
15/03/14 23:30
수정 아이콘
근데 그 11위팀 레귤러 멤버 중에서 원딜과 미드를 교체한 WE라서... 사실 오늘의 WE는 중국 상위권팀과도 대등하게 경기할만 할 팀이라 생각됩니다.
박초롱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그 교체가 1~2주 밖에 안 됐다는 게 함정이죠. 그간 미드 원딜이 문제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롤이 팀플이 중요한 게임인 것도 사실이니까요.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근데 바뀐 멤버 특히, 미드가 너무 전 미드와 차이가 나서
LPL을 굉장히 즐겨 보는 입장에선 이 정도의 WE면 명가 재건에 성공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CJ가 던진게 원케 많았지만 WE도 팀으로서 게임을 할수록 단단해지는 느낌입니다.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미드였던 닌자가 진짜 심각할 정도로 못해서... 선수 바꿨으니 다음 LPL 상황을 봐야죠.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멤버 교체가 좀 크기는 합니다. 미드 원딜이 바꼇어요. 시에선수랑 미스틱선수가 합류를했는데
시에 선수가 정말 잘했습니다. 근딜 원딜 싸움에서 로밍가서 cs밀리는거빼고 코코선수랑 cs를 대등하게 이끌어간게 핵심이었고
중반에 킬 잘 받아먹으면서 로밍으로 벌어진 골드를 벌충하면서 무난하게컷습니다.
크로스게이트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뭐 경기력 보니까 we가 충분히 이길 자격이 있었다는건 인정합니다.
실수도 적었고 좀 투박해서그렇지 시야 먹는거하며, 한타 집중력이 cj보다 월등하게 좋았어요.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확실히 시야 장악이 효율적이지는 않은 것 같은데 그걸 숫자로 커버 하더군요...
그 덕에 2텔포가 탈 와드도 많아지는 효과가!!!
겜알못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CJ가 진게 그냥 자신들이 다 포풍쓰로잉을 해서 진거라 별 생각도 안드네요. 그냥 엄청난 쓰로잉에 화만 날뿐...
다레니안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아 진짜 이해가 안되네요 cj 팬도 아닌데 화가납니다
뭔 신인들 팀도 아니고 바론 먹혔다고 게임 던지나요
용 주고 정비하고 한타하면 되잖아요
이해가 안되네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어제도 딥빢한거 간신히 꾹꾹 눌러담고 있던데 지금은 완전...
로이스루패스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막판 3연속 쓰로잉은 제가 지금 IEM을 보는건지 아프리카 방송을 보는건지 의심스러울 정도였습니다.
왜 자꾸 CJ가 운영이 강점이라는지 모르겠네요. 라인전보다 운영을 잘할 뿐이지 항상 오더는 외줄타기인데..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클템 흥분하는거보니....
조만간 CJ 코치갈것같기도 합니다.. 크크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해설을 원케 잘 하고 온게임넷에서도 꽉 잡고 있어서 CJ코치행은 안 할거 같네요. 흐흐
FReeNskY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근데 지금 경기 보면 빅토르 중력장에 스턴걸리는게 쉽지 않아보이는데 그런의미에서 어제 경기는 정말...
John Swain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아니 그리고 시야 장악은 왜 그리 안한거죠.. 레드 사이드 와드가 그렇게 박혀 있는데 핑와 들고 있는게 리신 애니 단 둘이라니..... 상황이 아예 we쪽으로 기운 상황이 아닌데 왜 레드 사이드 쪽에 시야를 다 내주고 게임을 한건지.. 항상 보면 상대 와드가 훨씬 많아요.
Holy shit !
15/03/14 23:29
수정 아이콘
애초에 다이애나 살렸다는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픽밴이였죠.
누군지 모르지만 정말 기본도 없는 픽밴실력이죠.
라이즈
15/03/14 23:30
수정 아이콘
아 GE대 WE TSM대 YOE였군요.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어지간하면 한판한판에 일희일비안하려고 하는데
이번 iem에서의 cj는 진짜 졸전의 연속이네요
대체 뭐가 그렇게 급한건지...
세상에 4스택먹어둔 팀이 바론까지먹은 팀한테 용스택하나주는게 아쉬워서 싸움을 걸 생각을 할줄이야 정말 끔찍하네요
스페이스선수는 폼이 최저상태인데 이상태로 국내들어오면 더 떨어지면 떨어졌지 올라가긴 힘들어보이네요
라이즈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CH>>>>>>>>>>>>>>>>>>>KR>>>>>>>>>>>>>>TW&NA>>>>>>>>>>>>>>>EU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아직 우리에게는 최강자 GE가 남아있습니다!!!
John Swain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상대는 와드 엄청 들고 와서 파바박 들고 와서 게임하는데 이 쪽은 항상 와드 숫자도 딸리고.. 시야가 제대로 없으니 매라는 상황 계산 못하고 계속 이상한 이니시 열려고 하고.. 앰비션이 인섹킥으로라도 좀 열어줘야 하는데 시야가 없으니 너무 소극적이고..

아 너무 답답합니다..
XellOsisM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전투력 측정 불가!! 크크크크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진짜 CJ는 현 멤버상태로 이기려면 코코중심으로 가야되요 헤카림같은거 고르지말고

라인스왑으로 원딜키워주지말고

탑이나 바텀에서 어느정도 손해보더라도 엠비션이 미드중심으로 봐주고 코코가 르블랑이나 아리 제드같은거 골라서 혼자 다 해결해야되요

뱅기가 자기분수를 찾고 폼을 찾았듯이 CJ도 1라운드에서 왜 잘나갔는지 알아야 합니다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CJ의 유일한 장점은 코코의 캐리력 하나뿐인데 자꾸 다른 라인에 힘을 실어주려는게 이해가 안가요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그렇죠... CJ가 잘나갈때는 샤이는 퓨어 탱커 해서 상대랑 비등하게 가고 앰비션 매라가 미드 파서 미드를 키우는 전략으로 잘 나갔었는데요....
GE한테 샤이 챔프폭 찔리면서 당한 후에 팀이 뭔가 망가진 느낌입니다...
John Swain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 방금 헤카림은 최악까진 아니었어요. 할 수 있는건 다 했죠. 궁극 잘 안 들어가고 합류 타이밍 조금씩 늦게 재고 텔포가 조금 늦긴 했지만..

팀 조합 자체도 나쁘지 않았죠. 플 티버 들어가고 인섹킥으로 꺼내고 빅토르 버스팅 들어가서 한 명씩 녹이고 시작하고 코르키가 추노하고.. 그렇게 흘러갔으면 이기는 건데 팀 스킬 연계가 전혀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매라 플 티버와 헤카림 궁이 한 번도 제 타이밍에 딱딱 들어간 적이 없습니다. 거기에 빅토르가 제대로 된 스플래쉬 버스팅을 한 경우가 한 번도 없었어요. 매라 혹은 헤카림과 연계가 제대로 들어간 경우가 거의 없다는 이야기.. 진짜 호흡이 너무 안 맞습니다. 스페이스 탓하기에도 애매한게 교전에서 다이애나 사이온에게 cc가 제대로 들어간 상황이 거의 안 나와서 딜이 들어갈 수가 없었어요.

이 모든게 안 된건 시야 장악이 제대로 안 되서.. 아군 레드 사이드에 저렇게 와드가 팍팍 박혀 있는데 제대로 지울 생각도 안하고 외려 상대가 와드를 공격적으로 박는 상황이었죠.. 상황 판단이 제대로 안 되니 정확한 이니시도 안되고 정확한 교전도 안되는 걸로 보였습니다. 그렇게 불리하지 않음에도 전체적인 cj 팀원들이 너무 소극적으로 경기 운영을 하다 보니 벌어진 참사 같기도 하고.. 와드 공사를 도와주지 않은 책임 같기도 하고.. 샤이 헤카림이나 스페이스에게 책임을 몰아주기는 너무 과하지 않나 싶습니다.
방민아
15/03/14 23:42
수정 아이콘
공감합니다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샤이 나름 잘컷죠 엠비션이 많이봐주기도했구요 단지 그게 중국꼴찌팀 탑이라는거 솔직히 한국상위팀 상대로도 저렇게 쉽게 잘 클까요?

그리고 문제는 팀에서 키워주고 스스로도 잘 큰만큼 게임을 캐리해야하는데

뒤로갈수록 이상한모습 보여주더라구요
John Swain
15/03/14 23:59
수정 아이콘
그건 동의합니다. 좀 과감하게 상대 딜러 라인에 파고들어도 괜찮았을 것 같은데 이상하게 소극적..이고 아군 떨어져 있을 때는 혼자 무리하게 들어가서 궁 쓰고 나오고.. -_-;
김정윤
15/03/14 23:31
수정 아이콘
클템 멘붕한듯..
Grateful Days~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픽은 받아치기.. 운영은 맞싸움.. 뭘 하자는것인가 ㅠ.ㅠ
라이즈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클템 마이크 내리고 욕했다에 500원 겁니다.
다레니안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CJ는 이번 대회 출전 독잔이 되었네요.
얻은게 없습니다. 상금? 그걸로는 회복 안될 데미지를 입었어요.
지금 국내 팀들 CJ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빨리 CJ와 붙는 날만 기다릴껄요 -_-.....
15/03/14 23:32
수정 아이콘
으어 귀환 하다가 바론에 핑 찍은 오더랑 드래곤 집착 오더 2개가 대망
에바 그린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드립이 찰지네요. 크크크

CJ는 뭐 다들 아쉬운 플레이가 나와서 별로 할 말이 없네요.

근데 저 시비르 스킨 뭐였죠 부메랑 모양이 참 이쁘던데
숲들숲들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그냥 cj가 we의 빠른템포의 파이팅에 정신없이 휘둘렸네요..중국경기 보면 정말 심하디 싶을 정도로 호전성을 보이는데 이게 운영이 없는듯 하긴 한데 그만큼 한타에 대한 숙련도가 더 좋다고 밖에..아무튼 충격이네요 lpl최하위 팀한테 진건 문제네요...edg나 omg, 스네이크같은 상위권팀도 아니고...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스타리그는 엄전김
LOL은 클전김? 템전김?
크로스게이트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그거해봐 시리즈 나오겠네요.
강현종감독 : "우리는 과소평가 되어있다." ---> 실제했던 말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사실 극과소평가받아 마땅했던 것이었나...
행복한인생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과대평가 되있었던거죠
차사마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cj가 잘할 때는 미드가 캐리한 겁니다. 근데 그 미드 챔프가 밴 당하니까, 이도저도 아닌 플레이를 코코가 하고 있어서 미드흉가인 예전 cj로 돌아간거죠.
15/03/14 23:33
수정 아이콘
방금처럼 운영할거였으면 나미를 뽑았어야...
새벽하늘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we 멤버 바뀐걸로 정신승리 해야하는 이 상황이 짜증나는거죠. 작년에는 중국애들이 이유 찾아가며 정신승리 했었는데..
어제의눈물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클템이 답답한 마음을 숨기지 않네요.

WE의 운영은 좋게 이야기 해서 우르르 메타이지 상대가 안싸워주면 레벨링하면
후반에 모든 오브젝트를 뺐길 수 밖에 없는 매우 근시안적인 메타이고
CJ도 차근차근히 레벨링과 용버프를 챙기면서 게임을 잡아갔습니다.

그런데 용 4스택까지 운영을 잘해놓고도 왜 갑자기 그렇게 조급하게 게임을 운영했는지 의아하네요.
강팀과 약팀을 가르는 기준은 게임 승패를 결정하는 실수를 줄이는 것인데
이런 관점에선 CJ를 강팀으로 놓기엔 아직 무리가 있는듯싶어요.
물만난고기
15/03/14 23:45
수정 아이콘
we가 아무 생각없이 뭉쳐만 다닌다면 상대안해주고 찢어져서 레벨링하면서 후반으로 갔겠지만 we가 중간중간 텔포를 이용하여 주요챔프들을 끊거나 반피 이상을 빼서 집에 보내거나하면서 숫자의 우위를 통하여 용스텍싸움은 졌지만 포탑싸움에서는 우위를 가져갔죠. 그래서 cj가 차분히 레벨링에만 신경쓸 수 없게만든게 we의 승리 요인이라 보입니다. 싸움을 안해줄려고 해도 싸움을 하게 만드는데 성공하였고 그 싸움에서도 몇번 지긴했지만 중요한 한타에서 승리를 가져감으로써 we가 이겼습니다. 그들의 우르르? 메타에 약한 점이 분명히 존재했지만 그 약점을 화끈하지만 팀웍이 좋은 한타력과 텔포를 잘 이용한 점, 픽벤에서 돌진조합의 최대 카운터인 잔나를 오히려 뺏어온 점등 여러가지 면에서 잘 보완했다고 봐야죠. 단순히 근시안적 메타라고 낮게 볼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John Swain
15/03/14 23:48
수정 아이콘
그쵸. 탑 2차를 밀음으로써 원할한 시야 장악을 가져갈 수 있었고.. 열세임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의 완벽한 이니시를 차단할 수 있었다고 보이네요. 그리고 cj가 제대로 된 한 덩이로 이뤄진 이니시를 한 번도 열지 못한 반면에 사이언의 시선 끌기와 다이애나의 돌진에 더불은 시비르의 딜링이 상대적으로 좋게 이뤄진 걸 보면.. 그리고 와드를 다들 한 뭉태기씩 사고 미칠듯이 랜턴 돌려서 시야 장악하려 노력한 것만 봐도.. we의 팀웍이 cj의 팀웍보다 나았다고 보여지죠.
물만난고기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그렇죠. 와드를 통한 시야장악이 완벽해서 그것을 통해 완벽한 운영을 한 것은 아니지만 좀 심하다 할 정도로 와드를 요소요소 박아놓아서 텔포를 참 효과적으로 사용한게 좀 더 좋은 포지션에서 we가 한타를 열 수 있게 한 원동력같습니다.
어제의눈물
15/03/14 23:55
수정 아이콘
사실 당하지 않을 이니시를 당해준 CJ의 잘못도 있습니다.
시야가 보이는 곳에서 사이온이 궁키는 모습이 보이는데도 서로 콜이 안됐는지 미드에서 코르키를 잃는다던지...
GE같은 팀이 이런 운영에 휘둘릴 거라고 보기 힘들거든요.
1세트를 얻을 수 있는 필살기는 될 수 있어도 올 시즌을 강타할 운영이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CJ가 많은 실수를 하고도 레벨링도 더 잘했고 용도 잘챙겼구요.
글로벌 골드도 바론을 치기 전까지 더 부유했습니다.
다 잡은 경기를 큰 실수로 놓친 것이라고 봐야죠.

새로운 팀인 WE가 할 수 있는 운영이 이런 것 밖에 없었다고 봐야지 이 운영이 훌륭하다고 보긴 힘들어요.
물만난고기
15/03/15 00:02
수정 아이콘
글골은 포탑 수와 씨에스차이가 그렇게 벌어지지 않아서 많은 차이가 나진 않았고요.
저도 we의 이런 운영이 저번 시즌 삼화나 올 시즌 ge처럼 완벽에 가깝다고 보진 않습니다.
다만 분명히 약점이 드러나는 메타임에도 그것을 자신들의 역량을 최대한 살려서 약점을 보완했고 승리를 가져갔습니다.
그렇다면 충분히 훌륭하다고 볼 수 있는거죠.
그리고 실수는 we에게도 꽤나 많았습니다. 실수를 핑계로 승리한 팀을 낮게 볼 필요는 없겠죠.
어제의눈물
15/03/15 00:09
수정 아이콘
강팀의 조건은 실수를 줄이는 것에 있습니다.
CJ나 WE가 강팀이 되려면 모두 실수를 줄이는 것이 우선이 되야겠지요.
다만 실수를 전혀 하지 않는다면 WE는 미래가 없는 운영입니다.

선수가 많이 바뀐 WE가 해낸 운영은 바꿔 말하면 그만큼 실현하기 쉬운 프로 레벨에선 간단한 운영입니다
본인들만 완변하게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 실수를 바라는 운영인데 이런 운영은 승률이 좋을 수가 없어요.
왜 GE와 SKT가 승률이나 선수들 개개인의 실력 이전에 운영으로 전문가들에게서 높은 평가를 받는지 생각해보면
높은 수준의 운영을 할 수 있어야 강팀이고 그것이 모든 팀이 목표로해야 할 길이라고 봅니다.

중국리그나 WE를 무시한다기 보단 그들이 쓰는 운영이 높게 평가 받지 못하는지 말하고 싶었습니다.
물만난고기
15/03/15 00:38
수정 아이콘
메타적인 면에서 cj의 안정적인 조합이 좀더 우위에 있는게 맞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그것을 구현해나가는 것은 입이나 말이 아니라 선수들의 손입니다.
해당 메타가 아무리 좋더라도 선수들에게 맞지 않는다면 차라리 않하느니 못하겠죠.
결국 다양한 전술과 포맷이 나오는 이유는 사람이 하기 때문이라는 측면도 존재하죠.
we는 이유가 뭐가 되었든 오늘 경기에서 자신들에게 잘 맞는 옷을 입고 나왔고 cj는 그렇지 못했다고 봐야겠죠.
누구에게 운영자체가 높게 평가받지 못하겠지만 오늘의 승자는 we고 전 이점을 높게 평가하고 싶네요.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확실히 WE가 잘하긴 했는데 GE가 그런 텔포 대처는 귀신 같이 하는 팀이라... 시야 없는 데서 텔 타는데 그거 핑 찍어서 잡아내는 수준이라 WE 전략의 핵심인 텔포가 잘 될지 모르겠습니다...
물만난고기
15/03/15 00:04
수정 아이콘
ge는 잘 대처하겠죠. 딱히 여기서 ge 이야기가 왜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제리드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카토비체는 CJ에게 안좋은터에요!!
탑망하면정글책임
15/03/14 23:34
수정 아이콘
CJ팬인데 한숨만 나오네요

겨우겨우 이미지 좀 회복해놓나 싶었는데

롤갤이나 세계정부에 극딜당하겠네요

사실 당해도 쌉니다 에휴

매라는 진짜 이니쉬 챔프 하면 저게 프로가 맞나 싶을 정도로 맨날 망하는 모습만 보여주고

그리고 이번 경기는 그냥 엠비션이 멘탈이 나간듯

주 오더를 엠비션이 내릴텐데 바론오더는 그렇다 치고

마지막 용에서 무리하게 들어가려고 한것도 문제고 더 큰 문제는 확실히 하던가 리신 그냥 멍떄리다가 순삭당하고 겜종료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진짜 바론 먹히고 용에서 왜 들어간건지... 4스택이니 용 한두번 정도는 양보 해도 됐을 텐데요....;;;
행복한인생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왜 다이애나 밴은 안한건가요. 사실상 프로무대 처음 데뷔한 선수고 제대로 보여준건 저 챔프 뿐인데.
Holy shit !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애초에 선수들,감독,코치진의 실력이 그 정도밖에 안되는거죠.
WE팀은 전전판,전판부터 노골적으로 잔나를 밴하거나 다이애나/잔나 같이 픽했습니다.
이것도 모르고 그냥 잔나/다이애나 조합을 그냥 줬다는것 부터 픽밴은 개나 줘버려 마인드이고 그냥 놀러간가죠.
수지느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진짜 전자두뇌와 카리스마있는 오더력을 지닌 클템님이 빠지니까 CJ가 이렇게 몰락하네요

한명정돈 냉정하게 전황파악하면서 오더해야하는데 약간 개인기만하는 팀이 되어버린듯..
열혈근성노력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저는 실론즈라 잘 모르겠지만...
마지막 서폿픽은 애니보단 나미가 훨씬 나은거 아닌가요??
받아칠 준비하면 나미쪽이 더 좋은그림 만들거 같은데..
다레니안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저도 나미를 왜이리 과소평가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바로 어제도 그렇게 나미로 재미봐놓고 대체 왜...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샤이가 PDD에게 2연솔킬 당한 대회는 무슨 대회였죠?
새벽하늘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프로스트 3미드일때면 아마 iem 지역대회일거에요. 그때 ig가 우승해서 그 자격으로 작년iem월챔나가서 ktb랑 경기했죠.
15/03/14 23:35
수정 아이콘
진짜 매라는 정신차려야해요. 로밍가는데마다 킬헌납. 뭐이렇게 혼자하려고 하는지. 전체적으로 팀 밸런스를 다시 짜야할것같은 느낌이 드네요.
무지방.우유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타팀 팬인데도 국제경기라 그런지 괜히 빡치네요
원래 이런거에 빡치는 스타일이 아닌데 말이죠
뭐가 그리 급했죠 ㅠ
용 그렇게 잘 챙겨놓고...
다레니안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이게 국제대회의 묘미긴 한데... 참 기쁠땐 정말 기쁜데 빡칠땐 너무나 빡치네요.
차자리 지더라도 납득가게, 운영에 말리거나 한타에서 패배하거나 지면 좀 나은데 CJ는 대체...
헤카림 그렇게 키워놓고 허허;
탑망하면정글책임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그리고 CJ는 옛날부터 꼴에 자존심이 있어서 그런건지

해외팀을 만만하게 본건지 픽밴이 저게 멉니까

GE는 상대가 자기들보다 못하거나 말거나 주력픽은 다 밴시키는데

다이애나는 왜 살려줘가지고 진짜

3연짜오부터 시작해가지고 이건 픽밴을 못하는게 아니라 그냥 에휴..
15/03/14 23:40
수정 아이콘
정노철감독 인터뷰만봐도 초진지모드로 이번대회 죽기살기로 임한다는게 느껴지더군요.
어느 한팀 만만하게 보지 않고 정보력입수부터 대비까지..
15/03/14 23:43
수정 아이콘
몬테 말로는 한국 팀들이 외국팀 분석을 소흘히 하다 의외의 카드에 한방 맞는 경우가 많은데 GE 숙소 갔더니 노페가 해외 팀 분석 다 끝내놨다 하더군요.... 그걸 증명한게 SK를 골로 보내버린 2원딜 밴이죠...
스테비아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이제 CJ가 국위선양하려면 한국 돌아와서 꼴찌를 해야하나;
kimbilly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방송 순서가 바뀌었네요. 공식 트위치 방송에 따르면 Team SoloMid vs yoe Flash Wolves 를 먼저 하고, GE Tigers vs Team WE 를 한다고 합니다.
뿌지직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샤이 오늘 잘했지만 마지막 바론때 이해가 안가는게 텔을 너무 늦게 탔어요.. 그냥 미리 타고 가도 되는데 간보다가 다이애나 먼저타고 그때 코르키 점멸이 있었는지 모르겠지만(없었던걸로 기억) 코르키도 언덕에 올라갈수밖에 없었죠..안갔으면 다이애나 콤보에 딜 하나도 못넣었을겁니다.
차사마
15/03/14 23:36
수정 아이콘
그리고 we는 수준낮은 팀이 맞습니다. 텔포 없는 사이온이 탑에 있는데 이니쉬를 하는 아마 수준의 판단을 하는 팀이고, 미드도 솔랭 미드 수준입니다. 문제는 코코가 파훼 당하고나서 예전의 국내 최하위급 경기력이 돌아온거죠.
코우사카 호노카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잘했는데 실력이 부족해서 진것도 아니고.. 의아하게 던지다가 끝나니 허탈+화만 나네요
John Swain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이렇게 진 거면 실력이 부족해서 진 거 맞습니다.. 중후반 운영 아예 안되요..
겜알못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분전이 아니라 그냥 자기들이 잘가다가 던져서 지니까....진짜 허탈+분노가 딱이네요.
행복한인생
15/03/14 23:40
수정 아이콘
저게 실력이 부족한거죠. we가 강팀도 아니고 같이 몸 비틀다 더 비틀어서 진건데
하하맨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분명 cj가 좋은 상황인데 시야 장악은 오히려 we가 다 해놓은 상태였죠...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확실히 국내에서 보여준 지금까지의 경기들로 봤을때 조급함이 있긴 했던건 맞습니다.
이 조급함이 어떠한요인에 의한것인진 모르겠지만 아무튼 실력의 영역에 속하긴하겠죠.
뉴욕커다
15/03/14 23:48
수정 아이콘
실력이 부족해서 진거죠..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어 TSM 먼저 하나요?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어제도 그랬는데 클템이 중계하면서 실시간으로 멘탈이 날라가는것같던데....
클템이 진짜 중계로 별로 티안내면서 잘하는데 친정팀 애정이 대단해서 너무 아쉬웠을것같습니다.
김정윤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아까는 티가 많이 나더군요..
다시보니까 리신잡힐때 막 한숨쉬는게 안타까워 보였습니다.
15/03/14 23:42
수정 아이콘
그래도 그정도면 클템이 평소에 CJ에 대해서 코멘트 하는거나 그런거에 비하면
그래도 중계정말 잘하고있는거라고 봐요.
클템이 진짜 메카닉적 피지컬때문에 어쩔수없이 CJ를 나가면서 승승장구 하길 바랬는데
뭔가 하나 꺼풀이 벗어나는걸 못하는것 같습니다 CJ가 이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두부과자
15/03/14 23:37
수정 아이콘
앞으로 cj는 iem 안나가는걸로...
행복한인생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아뇨 계속 초청해서 이렇게 해외팀의 제물이 되어줘야 롤의 해외 흥행에 도움이 되겠죠
행복한인생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cj는 이제 한국 롤팬 90% 지분을 차지하는 국뽕 유저들의 극딜을 맞을 일만 남은듯.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그런데 경기재미만 보면 cj vs ge보단 we가 올라간게 차라리 나을거 같기도 하네요.
cj vs ge는 평소 연습도 많이했을거라 스타일도 뻔하고 너무 변수도없이 무난한게임이 됐을듯...
물론 ge가 이기겠죠.
숨쉬기장인
15/03/14 23:38
수정 아이콘
마지막한타는 이해가 잘 안가네요. 드4 vs 바론이면 바론 지나갈때까지 집에서 안나가고 오브젝트 전부 줘도 되지 않나요... 코어템차이도 딱히 안났는데 왜 저렇게 조급했는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한두해 먹은팀도 아니고 4년차인데...
오쇼 라즈니쉬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호흡 맞춘지 얼마 되지도 않은 팀에 휘둘리는 유서깊은 명가의 꼴이라니...
각 라이너 기량이 넘사벽 차이가 난다고 보지도 않는데요.
무지방.우유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밴픽 기억하시는 분 계신가요?
왜 다이애나 살려준 건가요??
Holy shit !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WE팀은 1경기 잔나밴, 다이애니 픽, 2경기 잔나/다이애나 픽, 3경기 잔나/다이애나픽

누가 봐도 돌진조합 카운터 치지 못하도록 자신들이 안할땐 철저하게 밴을하고 할때는 다이애나랑 같이 픽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픽밴에서 저딴식으로 했다는게 진짜 수준미달을 증명하는거죠.
다레니안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WE : 룰루 쓰레쉬 르블랑
CJ : 렉사이 럼블 마오카이
납득가는 밴이긴 했어요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차자리 럼블 주고 다이애나를 밴했으면 어땟을까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네요
하하맨
15/03/14 23:42
수정 아이콘
막밴때 마오카이 내줄거 같아서 밴해버렸죠..
15/03/14 23:39
수정 아이콘
사건의 여파를 보여주듯 인벤의 서버가 출렁출렁 하군요 경기 직후 접속불가 였다가 지금은 접속은 가능한데 매우 느리군요
커피소년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저도 들어가는데 하도 안들어가져서 그렇게 생각중입니다...
쇼미더머니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CJ 지금 경기력도 화나는데 한국 와서 2라운드 날아다니면 그건 그거대로 화날거 같네요 참
정말 한국 리그 수준이 하향평준화가 된건지 -_-;
15/03/14 23:44
수정 아이콘
작년보다 평균격차는 줄어든 느낌입니다.
15/03/14 23:45
수정 아이콘
CJ가 어제 오늘 보여준건 이번 리그에서 IM,삼성도 안보여준거라서.....
무지방.우유
15/03/15 00:02
수정 아이콘
CJ가 오늘 보여준 건...
롤챔 때 전혀 안 보여준 모습이죠
그럴거면서폿왜함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항상 느끼는건데 CJ 픽밴은 상대방에 위험요소가 있어도 '밴할 필요 없음. 우리 준비는 완벽하니 준비한 대로만 하면 됨'이라는 마인드로 하는 것 같네요.
The Special One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Cj 실수고 뭐고 이정도면 그냥 약한거죠. 스페이스 포지셔닝 최악, 메라는 그냥 노답
태엽감는새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노페 감독처럼은 아니더라도

주력픽은 그냥 밴했으면 하는데

왜 안할까요?
빠독이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GE 경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서 그냥 일찌감치 자야겠네요 ㅠ
15/03/14 23:41
수정 아이콘
이제동과 광안리=CJ와 카토비체....
John Swain
15/03/14 23:43
수정 아이콘
그래도 재작년 카토비체 마냥 최소 결승은 가서 흑역사 만들 줄 알았는데.. 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ㅜ 세상에 4강도 못 가보고..
15/03/14 23:42
수정 아이콘
당초에 강감독이 보였을때 불안했습니다.
픽밴이 개판뜰 것 같았거든요.

헤카림은 왜 한건지, 팀에서 탱이 없어서 곤란해서 안한다는 발언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상대가 극도의 돌진조합인데 카운터를 칠 생각이 없었고 암걸리는 픽밴은 여전하네요. 사이온을 픽할 것을 생각하지 못했다면 진지하게 본인들이 프로인지 코치인지 고민을 좀 하기를
15/03/14 23:42
수정 아이콘
헛... GE 경기가 뒷 경기네요... 생방보긴 힘들 듯...ㅠㅠ
15/03/14 23:42
수정 아이콘
할말이 없네요
밴픽부터 경기운영까지 솔직히 다 지고 들어간 경기라
다레니안
15/03/14 23:44
수정 아이콘
이건 누구나 열받을 수 밖에 없어요.
여러분이 솔랭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초중반 게임 잘 풀었고 아군 캐리어 잘 컸습니다.
그런데 자꾸 어긋나고 이상한 판단나오면서 스멀스멀 짤리면서 어어어어? 하더니 마지막 한타져서 바론뺏기고, 용뛰어가다가 몰살당하고 졌습니다.
이건 게임에서 겪었어도 맨탈 나갑니다. 하물며 관전했는데 맨탈이 남아날리가...
John Swain
15/03/14 23:45
수정 아이콘
빅토르 : 아니
빅토르 : 님들 뭐함 대체?
코우사카 호노카
15/03/14 23:51
수정 아이콘
진짜 암 걸릴것 같은 상황...
15/03/14 23:44
수정 아이콘
전 솔직히 다이애나 밴 안한게 크다고 생각 안드네요. 4용 스택까지 유리하게 끌고간건 cj였단 말이죠.
그냥 못했어요. 운영적인면이나, 판단하는것도..
15/03/14 23:44
수정 아이콘
cj가 탈락했군요 허허
15/03/14 23:45
수정 아이콘

WE/CJ
룰루/렉사이
쓰레시/럼블
르블랑/마오카이

잘반/헤카림코르키
잔나시비르/빅토르리신
다이애나사이언/애니

였나요? 부정확할수도..
karlee88
15/03/14 23:45
수정 아이콘
CJ는 뭔가 북미의 CLG 비슷한 느낌이네요. 잘 하는듯 보이다가도 결국은 내려올 걸 확신할 수 있는....
15/03/14 23:46
수정 아이콘
보다보다 열불이 가라앉질 않네요
왜 라이브로 이 경길 봐가지고...
TSM전도 던지다 졌다길래 그냥 스킵했는데...
국뽕까지 마실 생각도 없었는데 이런 졸전을 보게되니 멘탈이 날아가네요
내가 이런 경기를 보겠다고 일끝나고 와서 여자친구한테 욕먹어가며ㅠㅠ
15/03/14 23:46
수정 아이콘
사실 다이애나를 줘도 빅토르 가져왔으니 양호하죠.. 근데 문제는 WE가 노림수 쓰는거 다 걸려주고 같이 박아주는 정신나간 운영.
Mephisto
15/03/14 23:46
수정 아이콘
이번 CJ와 WE전 보신분들은 오늘 LPL에서 EDG와 IG의 경기를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중국과 국내리그간의 메타차이를 보시면 왜 CJ가 고전했고 결국 졌는지 충분히 느끼실 겁니다.
CJ가 못해서 진게 아니라 WE가 끈질기게 한타 유발하면서 물고늘어져서 국내 롤메타에 익숙한 CJ가 흔들린겁니다.
국내 팀들은 WE처럼 안하거든요.
쇼미더머니
15/03/14 23:48
수정 아이콘
EDG와 IG보다는 좀이따 할 GE와 WE를 보는게 나을것 같네요.
GE가 고전하거나 지면 메타의 차이도 있겠죠
뉴욕커다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GE하고 경기할 때는 높은 확률도 지겠죠.. 중국 11위 팀과 한국 최상위 팀의 대결인데..
그리고 EDG와 IG경기를 보라는 이유는 중국 내의 스타일이 한국 롤챔스와 어떻게 다른지를 보라는 뜻에서 쓰신 것 같습니다.
쇼미더머니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GE가 완승한다면 메타가 문제가 아니라 CJ가 문제라는게 더 드러나는거죠.
GE는 국내팀이 아니라서 이기는건가요.
오히려 고전한다면 메타가 달라서 그렇다는게 더 설득력 있는거죠.
어차피 국제대회는 메타와 메타의 충돌이고 상대 메타를 얼마나 잘 파악하고 받아들이고 대비하느냐가 중요한건데 그게 안된거라면 더 문제죠
뉴욕커다
15/03/15 00:04
수정 아이콘
비슷한 실력에서는 메타와 메타와의 충돌이 성립되지만
애초에 11위와 국내 10승0패인 팀과의 대결에서는 실력차이가 크기 때문에 메타와 메타와의 격돌로 볼 수가 없는거지요.
챌린저와 플래티넘의 경기에서 플래티넘이 뭘해도 이길 수 없는 것처럼 메타전에 실력차이가 가장 중요합니다.
15/03/14 23:49
수정 아이콘
말씀을 듣고보니 ge와의 대결이 더더욱 기대되는군요.
노페라면 이미 중국메타에도 빠삭할테니 휘둘리진 않을거라 믿습니다.
뉴욕커다
15/03/14 23:49
수정 아이콘
완전 공감합니다.
세계는 넓다는걸 다시 느꼈네용.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전 그것보다 CJ가 너무 싸우려고 한게 문제였다고 봐요. 그 CJ레드 진영에서 헤카림인가 먼저 다이애나 물고 하는 전투에서
그냥 안싸우고 적절히 견제 하면서 빠지면서 성장으로 그냥 끌고 갔어도 됬는데 어제 TSM전도 그렇고 그냥 자꾸 싸웁니다.
한국에서 하듯이 했으면 됬어요. 어제도 메라가 레오나로 지나치게 공격적인 포지션을 잡는다던가 이상한 위치에서 이니시 당해서 죽었고
오늘 애니로 또 지나치게 공격적인 이니시를 한다거나 이상한 위치에서 이니시를 당하고 로밍가서 킬주고...
선수들이 굉장히 공격적으로 했어요. 빅토르 있으니까 그냥 라인cs잘 지워가면서 한국에서 하듯이 무난하게 하면됬는데
피없는데 무리하게 바론간것도 문제였고..
어제도 그랬고 오늘도 그랬고 지나치게 공격적으로 풀다가 생각대로 안풀리니 그냥 제풀에 지친격이 됬죠.
행복한인생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이거 한국팀에 지던 해외팀들이 지던 전가의 보도 '메타에 익숙하지 않다' 핑계 같은데요. 조금 있다가 ge 랑 we 경기 보면 확실해질듯
Mephisto
15/03/14 23:55
수정 아이콘
핑계가 아니라 국내 롤메타가 그렇게 압도적이지 않다는걸 말씀드리고 싶은겁니다.
충분히 질만한 상대에게 진거라는겁니다.
쇼미더머니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질수도 있긴 하지만
일단 중국 11위와 한국 3위라는 숫자 차이만 놓고보면 질만한 상대라는 말도 나오기 힘들긴 하죠;
멤버가 바뀌어서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현재 성적으로 보면요;
하하맨
15/03/14 23:52
수정 아이콘
롤드컵만 봐도 실력 우위가 확실하면 그런 메타에 휘둘리지 않는데...현재 한국내에서 그런 팀은 ge 정도뿐이라..
PolarBear
15/03/14 23:59
수정 아이콘
국내롤메타에 익숙해도 롤드컵이나 IEM이런 대회에선 다른팀도 분석해야됩니다. 메타가 다르다고 해서 졌다는건 결국 실력에서 졌다고 전 생각되네요. 브루드워로 쳤을때 4드론으로 지든 노스포닝 3해처리로 지든 이 사람이 뭘 잘하는지 그리고 뭐를 주로 해야되는지 그에대한 대책은 무엇인지 그 판단은 무조건 필숩니다. 즉 이 메타차이로 졌다는건 그 분석을 못한 코칭스텝과 선수들의 실수죠.
챠밍포인트
15/03/14 23:48
수정 아이콘
전 뭐 CJ... 정확히는 블레이즈 때 팬이었습니다만,

지금의 CJ의 문제는 프로스트시절 문제와 비슷합니다. 그냥 원딜이 너무 '무색무취'입니다.

스페이스가 포텐이 터지네 마네 아직까지 기회를 주는걸 보면, 분명 스크림에선 꽤나 잘한다고 생각하는데, 문제는 대회에서 너무 소극적입니다.
원딜이면 강하게 콜하면서 판을 흔들면서 미친놈처럼 딜을 넣고 해줘야되는데, 스페이스는 정말 이번시즌 중에 하드캐리한 경기 1경기 봤는거 같습니다. 칼리스타 써서 게임 터트렸던 그 경기요. 저는 그 경기보면서 드디어 스페이스가 터지는구나 했는데, 어느새 제자리표입니다.
물론 탑정글미드서폿형들의 경력과 나이가 큰 목소리를 낼 수 없게하고, 매라의 서포팅 자체가 원딜을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스타일 또한 아니긴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너무 무색무취에요.

오히려 나진의 오뀨같이 다 꺼져 내가 개쎔!! 하면서 저돌적으로 딜넣는 스타일이 더 성장가능성 있고 좋은 원딜이지, 이것처럼 사리다보니 본실력의 반의반도 안나오는 이상한 포지션과, 팀원들의 케어를 전혀 못받는 모습들을 보면서 참 안타깝고 그렇습니다.

요새는 원딜이 프레이식의 낚시 (정확히는 약간의 어그로를 통한 탱킹) 까지 장착해서 팀파이트를 하는마당에, 딜을 이렇게 못넣으면... 서브라도 하나둬서 경쟁을 하던지 해야 될거 같아요. 코코도 못했지만 그간 해준게 있고 지금의 CJ를 강팀으로 만든 1등공신이고요.

반면 미스틱선수는 시비르로 기회잡아주니까 딜 확실하게 넣어주잖아요. 미스틱선수가 내내 잘한건 아니지만, 딜넣을 때 넣어주는거 보고 감탄했습니다. 너무 비교되었어요.
15/03/14 23:51
수정 아이콘
저는 스페이스가 원딜로서의 "끼"가 없다고 생각해요. 챠밍포인트님이 쓰신 글을 딱 한글자로 줄이면 "끼"라고 생각합니다. 원딜은 캐리본능, 그에 걸맞는 피지컬, 대담함 이런게 있어야 하는데(그게 독이되어 광속구 투수로 욕먹더라도) 스페이스는 항상 원딜답지 않은 존재감을 지닌 선수죠. 상대하는 팀 입장에서도 전혀 경계가 안되는 원딜이랄까요.
챠밍포인트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맞아요. 전혀 캐리할거 같지 않은 느낌을 주니까. 상대가 점점 두려움을 안느끼는게 느껴집니다.
에바 그린
15/03/15 00:04
수정 아이콘
끼 라는 표현 참 좋네요. 크크크 앞에 한 글자 붙이면 딱 제 스타일.. 똘...
15/03/14 23:51
수정 아이콘
그런데 프레이식의 낚시 플레이는 프레이라 가능한 거라고 봐서...
Holy shit !
15/03/14 23:51
수정 아이콘
원딜은 바론앞에서 포지션 못잡고 죽은거 빼곤 뭐 크게 잘못없죠.
애초에 조합 자체가 자르반/사이온/다이애나가 돌진해서 오는데 뭐 원딜이라고 살겠나요?
서폿이 저 모양인데
챠밍포인트
15/03/14 23:52
수정 아이콘
뭐 바텀듀오가 둘다 문제가 있는건 맞는데, 스페이스가 훨씬 잘하는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그놈의 포텐이 너무 안터지니 답답한 마음이 드네요.
무지방.우유
15/03/15 00:07
수정 아이콘
전 아무래도 스페이스-매라가 진짜 안 맞는 것 같은데
선수들은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낀쉬의 케어를 받던 스페이스는 절대 이런 선수가 아니었던 것 같은데-_-
15/03/15 00:04
수정 아이콘
전 시비르로 적팀 바론 먹는 거 혼자 저지하고 슈퍼캐리 했었던 그 경기 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
15/03/14 23:49
수정 아이콘
그냥 한숨자고 세시쯤 일어날까 -_-
15/03/14 23:49
수정 아이콘
사실 1라운드 CJ가 너무 잘하는게 신기했었는데..
2라운드에서는 좀 내려갈듯..
서리태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그럴일은 없을것같긴데 만약 ge마저 지면 정말 유례없는 대혼돈에 빠질지도..
15/03/14 23:52
수정 아이콘
왠지 ge가 졌을때의 커뮤니티반응을 보고 싶은 충동이 들기도..;;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확실히 다이애나 주고 빅토르 가져온 거는 나쁘지 않았죠... 쿠로도 그 매치업으로 이겼으니까요... 그리고 코코도 빅토르 나름 잘 한다는 평가 들었고...
John Swain
15/03/14 23:52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코코 잘했죠.. 라인전 페이스도 나쁘지 않았고.. 한타에서 솔직히 코코는 할 수 있는 베스트를 다 한 느낌; 다이애나를 차단 못한 다른 많은 상황들이 문제였죠.. ㅜㅜ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딱 하나 아쉬운게 마지막에 물린건데 그건 어쩔 수가 없었죠...ㅠㅠㅠ
月燈庵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중국 꼴찌 WE 한테 설마 CJ가 지겠냐고 지정 농담으로 한건데 현실화 라니.
외출 했다가 끝에 역전 당하는 부분 부터 봤는데,이건 뭐. ; 그저 웃지요. 으허허허허허허허허허허허허허허허.
Mephisto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그렇고 중국리그 폄하 하시는분들이 정말 많으신데....
WE가 CJ이긴거 그다지 이변 아닙니다.
단판전이라 충분히 질 수 있는 실력차이입니다.
그리고 저런식으로 역전 나오는거? 중국리그에서 자주 볼 수 있구요. 그런 역전이 나오는 이유도 국내리그와는 틀립니다.
지금 국내 팀중에서 LPL가서 무조건 상위 등수에 들 수 있다? GE뿐입니다.
나머지는 확률적으로는 가능성이 높지만 거기까지에요.
뉴욕커다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마지막 2줄은 잘 모르겠지만 그 전까지는 200% 공감합니다.
이번 롤드컵이 정말 기대되네용..크크
박초롱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이게 뭔가 의미있는 한타 대패로 지면 모르겠는데 뜬금없는 바론 오더와 이어진 용 앞 한타로 진 전개가 너무 이해가 안 가서 다들 그런 거죠 뭐. 어차피 경기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거고 WE가 이길 수도 있는 건데 질 때 지더라도 너무 뭐같이 지니까 참 ;;
Mephisto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LPL보시면 느끼시겠지만 경기 모두 지금 경기처럼 흘러가는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본 국내 유저들이 눈썪내 하면서 폄하하죠. 하하......
거기 휘둘리면 국내팀도 저렇게 되는거고 그걸 휘둘리지 않고 버텨내는게 쉽지 않다는거죠.
15/03/14 23:50
수정 아이콘
돌진조합 보고도 애니를 막픽으로 박은건 들어오는거 카운터칠생각이아니라 맞기전에 우리가 선빵날려서 박살내줄게라고 생각했다는건데 결과적으로 실패했네요. 애니이용해서 이니시로 이득본장면도 기억안나고요
어제의눈물
15/03/14 23:51
수정 아이콘
롤챔스 스프링 1라운드에 유행하던 초반 미드찌르기는
2라운드 들어서면서 초반 미드 주변 시야를 넓혀주는 운영이 기본이 되면서 불가능에 가까워져서
코코를 상대 미드보다 잘키우기 또한 실현하기 쉽지 않고,
메라의 빠른 로밍은 빠른 시야 장악 때문에 하기 싫어도 해야만 합니다.
메라의 이니시에서 실수가 있기는 했지만 게임 전체적으로 볼 때 큰 실수라고 보긴 힘들어요.

WE같이 근시안적인 메타를 차근차근이 레벨링하면서 게임을 장악해 놓고도 마지막에 상대에게 기회를 주는 판단을 한 것을 보면
그냥 CJ 팀이 전체적으로 아직 자신들의 운영에 확신이 없어보입니다.
마지막까지 자신감을 가지고 집중해야 할 것 같아요.
전 아직 CJ 팀이 강팀으로 변모할 희망이 충분히 있다고 봅니다.
다레니안
15/03/14 23:51
수정 아이콘
다음팟 채팅 한번 봤다가 눈테러당했네요. -_-;;
뭔 입롤들이 이리 크크크 대체 코코는 왜 까이는지 크크크크
Holy shit !
15/03/14 23:52
수정 아이콘
텔든 다이애나랑 라인전 그 정도 했으면 뭐....
다레니안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아쉽다고 할 순 있겠지만 깔 건 없지요
초반 시야장악에서 자르반이 리신에게 압승하면서 미드 왼쪽 시야를 다 먹어버렸으니까요.
차사마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못한 거 맞습니다. 워낙 메라와 엠비션이 임팩트가 커서 그렇지. 빅토르로 그렇게 딜 못 넣기도 힘듭니다.
다레니안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앞라인이 붕괴되어버리는데 저 상황에서 딜을 넣으라는건 말이 안되죠.
애니는 뒷라인 견제하느라 앞점멸 하는 상황에서 빅토르가 무리하게 딜 넣으려다가 죽으면 게임 10분은 전에 끝났을 겁니다
John Swain
15/03/15 00:01
수정 아이콘
사이언 다이애나가 앞에서 들이대는 상황이고 시비르는 저 멀리서 헤카림 리신 때리고 있는 상황인데 거기서 앞으로 나가서 상대 시비르를 녹일 수도 없고..

빅토르가 할 수 있는 건 다 했습니다. 솔직히 중반 이후 한타 구도에서 제대로 된 티버 스턴이나 헤카림 궁이 들어간 적이 없었어요. 그게 들어가야 빅토르도 e r q 다 집어넣죠.. 헤카림 애니가 이상한 이니시를 걸려다가 무위로 돌아가고 그 타이밍에 we가 들이대니 빅토르가 안정적으로 이니시를 걸 수가 없습니다.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참 뭐랄까 시대는 돌고 도네요. 2013 롤드컵때도 오존 광탈로 인해서 역국뽕이 나오더니 2014 롤드컵때도, 이번 IEM에서도 그러네요. 크크크크

전 결과적으로 전혀 바뀐게 없다고 생각해요. 냉정히 지금 경기는 그냥 CJ가 삽을 푼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죠. 국내롤 수준을 논할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겜알못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음..저도 개인적으로 cj가 국내서 하던것보다 훨씬 못하고 던져서 진거라고 생각해서요... cj의 여태까지 국내서의 성적과 실력을 폄하할 이유도 나머지 팀들을 저평가할 이유도 없는거같습니다.
15/03/15 00:00
수정 아이콘
전 LPL이 이상할정도로 고평가되는게 가끔 좀 어이가 없어서요. 한국 선수들이 가도 중국식 전투메타로 현지화되는게 희한하기도 하고.... 성향이라는게 고정된 이상 바뀔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운영면에서 수준차가 너무 나거든요.
서리태
15/03/15 00:03
수정 아이콘
저도 같은생각인데 cj도 iem오기 전에 나진도 2대0으로 잡는 등 경기력은 나름 괜찮았던터라. 이번 대회에서 의아할 정도로 초하드쓰로잉을 남발한거지 롤챔스에서는 솔직히 잘했죠
무지방.우유
15/03/15 00:11
수정 아이콘
2013은 SKT가, 2014는 삼화가 압도적인 포스를 자랑해서 다른 한국팀들이 국뽕에 탑승해서 그렇지
그 밑에 팀들 중에 우승을 장담할 수 있던 팀은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행복한인생
15/03/14 23:53
수정 아이콘
ge 랑 skt 정도 제외하면 사실 한국팀들 해외대회 나간다고 하면 다 불안하죠. 진에어조차도 의적 팀이라
그동안 부정해왔지만 한국 리그의 상대적 수준 저하는 명백한것 같습니다.
중국 EDG나 스네이크 같은 팀 이길 수 있다고 장담할 팀이 안보이네요.
15/03/14 23:55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작년, 재작년 롤드컵도 마찬가지였고 그전에도 마찬가지였죠. 결국 이런 대회는 멘탈문제도 크다고 생각하거든요.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선수들이 유출되면서 국내리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내려간 건 부인할 수가 없는 거 같아요...
15/03/15 00:03
수정 아이콘
진에어는 미드문제가 크죠
라이즈
15/03/14 23:55
수정 아이콘
그냥 CJ가 못한거....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픽밴을 너무 못했는데 이건;... 경기 내용이 좋지도 않았고 ㅜㅜ 아이고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CJ는 일정도 참... 귀국 하지마자 수요일날 경기 해야되는데.. IEM에서 졸전하고 분위기 개판일텐데..
15/03/14 23:56
수정 아이콘
4강 시작 빠르네요

이제 세시간은 맘 비우고 봐야지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그나저나 다이애나 주류픽으로 충분히 올라올수있을것같은 느낌인데요.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요새 솔랭에서 꽤 하던데요. 페이커도 하고.
작은 아무무
15/03/14 23:59
수정 아이콘
2주전부터 밀고있었습니다 하하하하하하
15/03/14 23:59
수정 아이콘
W 버프후에 승률 꽤올라왔어요. 한국에서도 이번시즌내에 나올거라고 봅니다
하하맨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요이가 설마 tsm도 잡고 일내는건 아니겠죠....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TPA, TPA...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것이...

를 보고 싶습니다 흐흐흐
15/03/14 23:57
수정 아이콘
맹주드립 흥하네요 크크크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근데 마지막 리신때리던 시비르 평w 다 크리터졌나요? 인피팬댄이더라도 ???소리나오는 수준의 딜이던데
피아니시모
15/03/14 23:59
수정 아이콘
네 2연속 크리티컬이...
서리태
15/03/15 00:06
수정 아이콘
크리의 신이 강림했죠 크크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마오카이 뽑았는데 바로 니달리를 빡 박아버리는 요이.
15/03/14 23:5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스페이스 잘한다 잘한다 예전 원딜3대장이다 포텐있다 하는데 이정도면 거의 보얀류로 분류되는거 아닌가요?
개인적으론 이선수 매섭다는 느낌을 받아보질 못했습니다.
승률이 낮아도 매섭다,잘한다는 느낌을 받는 원딜이 있는 반면에요.(ex 오뀨)
15/03/14 23:59
수정 아이콘
그 포텐 시작이 원 CJ 롱판다 억제기 시절부터라... 몇년동안 포텐만 있는건지..
15/03/15 00:00
수정 아이콘
진짜 미완의 유망주로 끝나는 느낌입니다...
Holy shit !
15/03/15 00:00
수정 아이콘
서폿이 메라.
15/03/15 00:02
수정 아이콘
스페이스가 데뷔한 시점이랑 기간을 생각해보면 만개해야할 시기는 꽤 많이 지났다고 봐야 하긴 합니다.
그래도 국내에서 아직 상위권에 있는 팀이고 잘하고있으니 당장에 스페이스 선수포함 라인별 선수교체를 할만큼의 압박감은
없을것같긴 하거든요.
지금 원딜 최정점으로 불리우는 프레이 임프 데프트 우지 나메이 이런 선수들 보다는 분명히 한수 or 두수 밀리는 건 확실히 체감은 되는 수준이구요.
15/03/15 00:02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번시즌엔 꽤 잘해줬어요. 솔큐에서 항상 상위권찍는선수고 매라선수와도 합이 어느정도 맞아가는 모습이죠 이번대회에서의 모습은 다르지만요
다레니안
15/03/15 00:03
수정 아이콘
원딜들은 다 그렇습니다.
레이븐은 결국 자살전차로 끝났고
미스틱은 미소년원딜로 끝났으며
리리스는 패드리프트로 끝났습니다
믿고 꾸준히 기용해보느냐, 갈아치우느냐의 싸움인데 제 기억에 데프트 말고는 뒤늦게 포텐 터진 원딜은 없었습니다.
초반에 안터지면 그게 끝인것 같아요.
하하맨
15/03/15 00:05
수정 아이콘
데프트는 등장 초반부터 이즈리얼로 나름 핫하지 않았나요?..
다레니안
15/03/15 00:10
수정 아이콘
시즌3 배틀로얄 데뷔전은 핫했으나 그 이후 팀의 암흑기(?)등에 겹쳐서 빛을 못보면서 본인도 좀 하락세였죠.
그러다가 14년 스프링시즌 다데가 합류하고 본인의 포텐도 터지면서 세체원이 되었습니다
15/03/15 00:11
수정 아이콘
이번시즌 리그에서 무난하게 잘해준건 맞습니다.
뭐 선수를 갈아치우라느니 그런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레니안
15/03/15 00:00
수정 아이콘
TSM 픽밴 정말 영리해요.
전립선
15/03/15 00:00
수정 아이콘
TSM 화이팅!
다레니안
15/03/15 00:01
수정 아이콘
룰루 서폿은 솔직히... 써먹기는 영... 너무 구리죠. 한타는 좋으나..
15/03/15 00:02
수정 아이콘
드디어 스테이크의 이렐이!!!
다빈치
15/03/15 00:04
수정 아이콘
픽밴만 봐선 TSM은 요이전 준비를 많이 안해온듯 하네요.. 스테이크 선수가 윅드선수급 이렐장인인데 어떨지..
15/03/15 00:06
수정 아이콘
로코도코가 트윗으로 SK전 준비 많이 했다고...
15/03/15 00:04
수정 아이콘
TSM을 보면 오히려 운영면에서는 가장 한국 수준에 근접할 수 있는게 북미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북미가 한국롤을 가장 적극적으로 벤치마크 하기도 하고... 하지만 시야장악부터 오브젝트 컨트롤 면에서는 여전히 많이 미숙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짜임새가 그렇게 견고하지 못해요.
15/03/15 00:05
수정 아이콘
전형적인 한국식 똑똑하고 효율적인 픽밴의 TSM.
닥치고 패기! 드루와드루와 쌈박질의 Yoe.

여기서 TSM이 지면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것이 언제나 좋은건 아닌 사례로 남겠군요.
15/03/15 00:05
수정 아이콘
진짜 TSM이 서양 롤의 최후의 보루입니다...
15/03/15 00:06
수정 아이콘
TSM! TSM!
15/03/15 00:06
수정 아이콘
김동준 해설 뼈있는 한마디. "CJ가 떨어져도 이상하진 않은데..."
kimbilly
15/03/15 00:08
수정 아이콘
불판 변경 합니다.
15/03/15 00:08
수정 아이콘
이거 거의 탑 다이브 100프론디... 는 일단 목숨 부지는 했네요..
15/03/15 00:09
수정 아이콘
대만팀 탑 잘하네요
15/03/15 00:10
수정 아이콘
윅드급 이렐 장인이랍니다...
15/03/15 00:10
수정 아이콘
이렐을 아래로 보내다니 잔인한 놈들 ㅠㅜ
15/03/15 00:21
수정 아이콘
WE를 그냥 우르르 메타라고 단순하게 생각하면 안됍니다.

우르르 몰려다닌다고 레벨링이 낮다고 김동준 해설위원이 말씀하셨는데 투텔포를 이용해서 레벨링의 임계점을 계속 유지하였죠.

사실 탑이 1.5레벨, 원딜이 0.5레벨 밀렸을뿐, 정글,미드는 레벨차이가 없었습니다. 서포터는 오히려 1레벨 높았죠.

어차피 한타, 즉 주요 오브젝트 있을때만 레벨이 같으면 되요. 15.9레벨이든 15레벨이든 똑같이 2랩 궁극기 가진 15랩 챔피언일 뿐이거든요.

게다가 후반으로 갈수록 경험치 요구량이 많아져 레벨 격차가 상쇄돼죠.

용, 바론 없어지고 바로 우르르 몰려서 끊어 먹어서 이득 취하고 타워 밀면 되고, 용, 바론 나오기 3분전부터 레벨업 부족한 챔피언에게 경험치

몰아줘서 레벨 격차 없애주면 되요.

타워철거메타가 레벨링 메타에 약했던건 극 초반 레벨링 구간에 경험치 요구량이 적어서 2~3랩 차이가 나는데, 게다가 시즌4까진 레벨업 성장치가 전 구간 동일해서 레벨링 앞에 무너질 수 밖에 없었죠.

그러나 WE 우르르 메타(가칭)는 극 초반 레벨링을 멈추는게 아니라 중반 텔포를 이용하여 뭉치는 것이라 극 초반에 비해 레벨의 중요성이 떨어지기도 하고, 게다가 레벨업 성장치 & 경험치 패치가 되엇 예전과 같은 레벨링 앞에 장사 없는게 아니죠. 타워 철거 메타랑은 달라요.

그러나 오브젝트에서 대치국면이 장기화 되는것을 원친 않는데, 그러면 또 다시 레벨 격차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15.9레벨이 16레벨 되거든요.

그래서 모였어? 싸워! 처럼 보이는 겁니다. 사실 WE에겐 싸울 시간이 그때뿐이거든요.

또한 투텔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는 1텔을 타이밍으로 무력화 시키겠다는 의도입니다. 미드 21/0/9가 텔포를 듬으로써 텔레포트 쿨다운이 30초 줄어듭니다. 그래서 첫 교전에서 양팀 텔포가 활용이 되었더라도 다이애나의 쿨이 먼저 돌아와서 선공권을 가지게 되죠. 당연히 WE가 틀어쥔 패이므로 쓰는게 당연하죠. 30초 안에 안쓰면 없어지는 패인걸요.

또한 탑 또한 헤카림, 사이온 같이 기동성 좋은 캐릭을 뽑아 필요하면 탑에서 바텀까지 빨리 달려올 수 있는 챔피언을 해요. 이 역시 양팀 텔포가 없을때 선공권을 틀어쥐게 하는 요소죠.

마지막으로 WE에서 텔포 1개만 빠지면 당연히 그 다음 교전 선공권이 생기죠.

그래서 일단 자신들에게 유리한 패를 빨리 빨리 소모시켜서 이득을 더 보려고 하는것에 불과합니다. 우르르 몰려서 하나 끊겠다, 이런게 아니에요. 매복해서 하나 끊는게 아니라 사실 레벨링 뒤쳐지지도 않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7077 [LOL] 2015 스베누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R 7일차 CJ ENTUS Vs KT Rolster [340] 반니스텔루이8439 15/03/18 8439
7076 [스타2] 2015 GSL Season 1 Code S 4강 2회차 이승현 vs 김준호 [283] SKY925668 15/03/18 5668
7075 [확밀아] 무한의 하트의 무한의 확장 [31] 공룡2220 15/03/18 2220
7074 [퍼즐앤드래곤] 바스냥은 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 것인가 [13] 호구미1828 15/03/18 1828
7073 [UEFA]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 - 손흥민 선발출전 [207] V.serum3176 15/03/18 3176
7072 [스타2] SK텔레콤 프로리그 2015시즌 2R 3주차 CJ vs PRIME [61] 삼성전자홧팅2218 15/03/17 2218
7071 [스타2] SK텔레콤 프로리그 2015시즌 2R 3주차 ST-Yoe vs SAMSUNG [43] 삼성전자홧팅1752 15/03/17 1752
7070 [EPL] 29R 리버풀 vs 스완지 시티 -기성용 선발- [101] V.serum1930 15/03/17 1930
7069 [스타2] SK텔레콤 프로리그 2015시즌 2R 3주차 JIN AIR vs MVP [97] 삼성전자홧팅4446 15/03/16 4446
7068 [LOL] IEM 시즌9 카토비체 월드 챔피언쉽 결승전 Team SoloMid Vs Team WE (2) [260] 반니스텔루이5850 15/03/16 5850
7067 [LOL] IEM 시즌9 카토비체 월드 챔피언쉽 결승전 Team SoloMid Vs Team WE [346] 반니스텔루이5916 15/03/16 5916
7066 [해외 축구] EPL 29R [265] 반니스텔루이4056 15/03/16 4056
7065 [해외 축구] EPL 29R 불판 [75] FastVulture1933 15/03/15 1933
7064 [스타2] IEM9 월드 챔피언십 4일차 - 결승전, 주성욱 vs 조성호 [147] SKY926100 15/03/15 6100
7063 [스타2] IEM9 월드 챔피언십 3일차 #3 [121] SKY923769 15/03/15 3769
7062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6 [376] kimbilly10395 15/03/15 10395
7061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5 [347] kimbilly8454 15/03/15 8454
7059 [스타2] IEM9 월드 챔피언십 3일차 #2 [291] SKY924555 15/03/15 4555
7058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4 [390] kimbilly9324 15/03/15 9324
7057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3 [310] kimbilly7975 15/03/14 7975
7056 [해외축구] EPL 29R - 아스날 vs 웨스트햄 등 [176] FastVulture2368 15/03/14 2368
7055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2 [372] kimbilly7744 15/03/14 7744
7053 [LOL] IEM9 월드 챔피언십 2일차 - 8강 최종전 + 4강전 #1 [302] kimbilly8515 15/03/14 85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