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5/07/11 19:50
근데 사실 나진의 저 조합이 안티 룬글이즈의 거의 교과서적인 조합은 맞아요.
강력한 타겟 CC를 가진 탱커에 연계를 해줄수있는 CC가 4개나 되죠. 알리 qw 빅토르 중력장 리신 발차기 여기에 시비르궁극까지 있으니까 사실 물리기만하면 이즈는 살아가는게 거의 불가능했어요..
15/07/11 19:55
나진이 저렇게 조합을 짜버리면 아나키 입장에선 그냥 멀리서 이즈리얼이 정조준을 맞추고 그냥 한타 끝날때까지 사거리 밖에서 qwe날리는 수밖에 없는데 나진이 qwer을 전부 잘 안맞아주고 듀크가 진짜 민병대텔포 이니시를 기똥차게 해버리니까..
이즈로서는 나 뭐 어쩌라고 할수밖에 없죠..
15/07/11 19:55
앞서도 말했지만 나진은 조합상 너무나 유리한 상황이기 때문에 절대 지면 안되었죠. 사실 만족할만한 경기력은 전혀 아니었습니다만 그래도 이겨냈다는게 다행이네요. 그와는 별개로 미키의 스킬 적중률이나 지나친 사이드-앞포지션은 그라가스, 쓰레쉬가 뭘 해보기도 전에 물리는 장면이 너무 많이 나왔죠. 카이팅을 잘하는 것도 아니고..
15/07/11 19:52
<순위>
1위 SK Telecom T1 12승 0패 +22 2위 KOO Tigers 8승 3패 +9 (-1) 3위 kt ROLSTER 7승 4패 +4 공동 4위 JIn AIr Green Wings 7승 5패 +3 CJ ENTUS 7승 5패 +3 ---------------------------------------------------------- 포스트 시즌 NAJIN e-mFire 7승 5패 +3 7위 Samsung GALAXY 4승 8패 -6 8위 longzhu INCREDIBLE MIRACLE 3승 8패 -11 ---------------------------------------------------------- 승강전 9위 REBELS ANARCHY 3승 9패 -9 10위 SBENU SONICBOOM 0승 11패 -19 * 이대로 끝날시 진에어, CJ, 나진 4,5위 결정전
15/07/11 19:56
진에어 - vs cj,나진 3승 1패.
cj - vs 진에어,나진 1승 2패. 나진 - vs 진에어,cj 1승 2패. 전 이렇게 계산해서 ..-;
15/07/11 19:54
SK는 정말 신계의 경지에 올랐네요. 너희 내 득실 못 따라와라를 보여주는 것 같은...
유일하게 절대값으로 스베누가 비빌만한..... 크크
15/07/11 19:53
아나키가 딜러지키는 싸움엔 굉장히 미숙하네요. 싸움이 벌어지기전에 시야를 먹으면서 이동할때도 상대편의 이니시를 생각하면서 해야되는데 그런 부분이 너무 미숙하네요. 이건 팀전체가 신경써줘야되는 부분이라서 이즈 혼자의 잘못이 아니죠
15/07/11 19:53
룬글이즈는 궁을 잘 맞추느냐에 승부가 갈리는데 이건 궁을 제대로 맞춘 적이 없음...;;
경기 시간이 꽤 길었기때문에 저 정도면 룬글이즈가 충분히 변수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궁을 맞추지 못하고 포킹을 맞추지 못하는데 포지션까지 안 좋으니 그냥 죽어버리니 그냥 끝이죠...
15/07/11 19:56
미키의 룬글이즈에 대한 미숙함도 보이긴 했지만 나진 CC기가 너무 많아서 위치 잡기 애매하기도 했어요.
아나키가 이즈를 중심으로 연습한 적이 별로 없어보이는듯 먼가 우왕좌왕하는 듯도 보였고...
15/07/11 19:57
나진의 조합 자체가 워낙 유리해서 절대 지면 안되는 수준이었긴 합니다만 그와는 별개로 이즈 숙련도는 많이 떨어져보였습니다. 기본적인 포킹이 전혀 안되는 상황이었고 궁 적중률은 물론 중반 이후부터는 궁을 쓰는 타이밍 자체가 이상했어요.
15/07/11 19:54
아나키가 이즈를 쓸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었다면
코르키를 그 타이밍에 뽑으면 안 되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오카이를 가져오던 알리스타를 가져오던 간에 둘 중의 하나만이라도 했으면 이즈의 생존력이 조금 더 많이 오르고 좀더 공격적인 포지션을 가지는 것이 가능했겠죠. 코르키가 나쁜 픽은 아닌데 상대가 시비르로 대처가 가능해서 레드사이드의 첫2픽의 가치가 있었을리가 없죠.
15/07/11 19:55
이즈 스킬샷이... 저번에 skt랑 할때 보고 선수들이 안 맞아주는 줄 알았는데... 유행하는 챔이라도 자신없는 챔보단 오프 메타여도 자기챔하는 게 낫겠어요. 물론 3밴맞으면 힘들지만요...
15/07/11 19:59
폰으로할때는 화면이 작아서 좀 불편하고 패드로 할때는 쾌적하게 재미있게 할 수 있네요.
게임 자체도 모바일이라는거 고려해서 15~20분에 보통 게임이 끝나고요.
15/07/11 20:07
현재 상대전적
진에어 - vs cj,나진 3승 1패. cj - vs 진에어,나진 1승 2패. 나진 - vs 진에어,cj 1승 2패.
15/07/11 20:54
다시 보니까 이게 상대전적을 고려하는게 맞긴 한데.. 세 팀 이상 동률시에는 한팀이 무조건 나머지 모든 다른 팀과의 상대전적에서 전부 우위를 점해야지만 앞순위를 배치해주네요. 진에어가 CJ전에서 한번 패했기 떄문에 nuri님 말씀대로 지금은 cj,나진,진에어 공동 4위로 표기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5/07/11 20:14
일단 세트득실이 동률일때에는 공동으로 순위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까 오프닝때 CJ,나진이 공동 4위로 순위가 나왔었습니다.
15/07/11 20:18
세트득실까지 동률이면 그 다음에 고려하는게 상대전적입니다. 그리고 혹시 몰라서 제가 오프닝 다시 확인해봤는데..
cj랑 진에어가 공동 4위였고, 6위가 나진으로 표기되었습니다. cj랑 진에어가 각각 각각 7승 5패, 세트 득실 +3으로 다 똑같고, 상대전적 역시나 동률이기 때문에 공동 4위라고 표기한거죠. 나진은 이번 경기 하기 전에 6승 5패라 6위였구요. 애초에 cj는 7승 5패고 나진은 6승 5패인데 같은 순위로 책정될리가..
15/07/11 20:53
다시 보니까 이게 상대전적을 고려하는게 맞긴 한데.. 세 팀 이상 동률시에는 한팀이 무조건 나머지 모든 다른 팀과의 상대전적에서 전부 우위를 점해야지만 앞순위를 배치해주네요. 진에어가 CJ전에서 한번 패했기 떄문에 nuri님 말씀대로 지금은 cj,나진,진에어 공동 4위로 표기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5/07/11 19:59
이즈 스킬샷이 진짜 안습이긴 했네요. 특히 오뀨는 처음에 이즈 궁에 킬내준거 말고는 e로 다 씹어먹으면서.. 한대도 안맞은듯..
15/07/11 20:06
헐 이재균 감독님이 아나키로 가셨나요? 방금 알았네요.
옛날 주훈감독님과 스미X브라더스 할때가 엊그제같은데 이젠 LOL감독님이신가.
15/07/11 20:39
IM 남은 경기 SKT빼고 다이기면 9승 9패인데.... SKT까지 잡으면 10승 8패.... 진짜 바늘귀만큼의 포시 진출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15/07/11 20:54
블라디가 한타 와중에 텔포타고와서 하는건 좀 애매한 챔프죠...
자리를 잘잡는게 중요한데... 그렇게 해선 자리잘잡는게 굉장히 힘든챔프라..
15/07/11 21:08
지금의 라인전은 단순히 CS와 딜교로 나오는 게 아니라
얼마나 상대편의 정글의 동선을 비효율적으로 만드느냐 그것을 통하여 나의 성장이 되면서 우리 팀이 이득을 볼 수 있느냐 이것인데 엑페는 그냥 상대 편 정글이 오면 오는 족족 죽어요. 용을 먹었다는 이득이 있긴 했으나 블라디라는 챔피언은 기본적으로 자기가 망하면 딜, 탱 다 안 되는 챔피언이기 때문에 갱에 굉장히 민감하게 대처를 했어야죠. 그냥 라인만 쭉쭉 밀어버리면 저건 뭐...
15/07/11 21:02
쩝 블라디가 희생을 하면서 드래곤을 가져가고 전반적으로 블라디 말고 잘키운건 좋았는데...
블라디가 텔포사용하는 한타 두번을 그냥 저버린게 너무 크네요... 사실 탑 ap딜러중에 텔포사용이 괜찬은 챔프는 럼블 정도 제하면 너무 좋지가 않아요 상성상... 와서 포지션을 잡아줘야 하는데..
15/07/11 21:03
1. 일단 마오카이 상대로 코르키 고르는건 져도 싸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무뇌수준 밴픽
2. 저번 이렐리아도 못하더니 엑페는 역시나 구멍
15/07/11 21:04
그리고 럼블처럼 오자 마자 바로 멀리서 광역궁을 깔 수 있는 챔피언이 아니고, 마오카이처럼 바로 달라붙을 수 있는 탱커 챔피언이 아닌 이상
블라디 같은 챔피언은 텔을 타지말고 용 타이밍에 그냥 합류해서 싸우는 게 훨씬 낫습니다. 블라디는 진영도 중요하고, 자기가 파고 들 수 있는 각을 미리 만들어놓는 게 좋은데 텔을 타고 오면 진영을 원하는 대로 만들 수가 없죠.
15/07/11 21:05
탑블라디가 흡총이랑 흡책 쓰레기인게 저 템들은 라인푸쉬를 해야 이득을 보는템이거든요
근데 점멸텔 블라디는 갱킹에 쉽게죽어요 한타 라인전 갱킹각 다 생각해도 흡책보다 심홀삿으면 더 낫을껍니다 빅토르 살짝 긁혀도 피 그리까이는데
15/07/11 21:09
위에도 썼지만 페이커처럼 눈에 딱 띄는 하드캐리 퍼포먼스가 없다고 해서 그 챔피언이 무섭지 않은게 아닌데 이상하게 쿠로의 빅토르는 전적대비 경시되는 느낌이.... 왜이렇게 밴이 안되는건지 크크크
15/07/11 21:10
잘 보면 쿠로의 빅토르를 T1이 제일 민감하게 대처하더라구요... 그래서 성적이 잘 나오는 게 아닌가 싶은... 크크
T1은 그냥 선밴으로 빅토르 해놓고 편하게 픽밴을 하죠 그런데 다른 팀은 빅토르를 풀어줌....
15/07/11 21:12
그러니까 말이죠. 위험요소가 있는데 그게 애매~하다고 느껴지는게 바로 함정입니다. 그럴땐 그냥 밴하는게 항상 최선의 수는 아니더라도 평타 이상은 치는데 오히려 너무 생각하다가 저런 챔프를 풀어주고 몇연뭐 당하고 그러는게 밴픽 못하는 팀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죠.
15/07/11 21:17
빅토르는 딜에 대한 기대값이 다른 챔피언보다 높기 때문에 준수하게만 성장하면 다른 챔피언보다 확실히 뛰어난 폼을 보여주는 챔피언인지라 그냥 위험이 있는 챔피언은 막아놓는 게 좋죠. SK처럼 자기가 빅토르를 가져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바로 밴을 하는 게 가장 깔끔합니다.
15/07/11 21:14
쿠로 빅토르는 본래 라인전이 강하지 않은 선수답지 않게 라인전도 준수하고 한타에서도 캐리력이 증가해요. 한마디로 엄청나게 눈에 띄는게 아니라서 그렇지 굉장히 잘한다는 소리인데... 이걸 밴 안하는건 앞서 말한 그 애매함의 함정에 빠지는거죠.
15/07/11 21:14
탑이 마오카이가 나왔는데 굳이 원딜을 코르키로 뽑은건 팀차원적인 부분이라 어쩔 수 없다고 보입니다. 코르키도 의외로 3~4코어 넘게 템 뽑히기 시작하면 탱커 상대로도 괜찮게 딜이 나와요.
블라디미르 픽이 악수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15/07/11 21:15
이런말이 어울리려나 모르겠지만.... 엑페의 챔프폭이나 경기하는 스타일을 보면 시즌 5의 선수라는 느낌이 들지 않아요 크크크 시즌 3의 선수같습니다.
15/07/11 21:16
트런들이 신의 한수가 됐네요. 한타를 이기려면 딜을 제대로 해야 하는데 5:5 대치구도에서 트런들이 기둥을 세워놓으면 아지르랑 코르키의 사거리가 긴 것도 아니고 빅토르의 딜 압박도 있어서 기둥 주위에서 무조건 빠져야 합니다. 결국은 순간적으로 빅토르를 녹이거나, 블라디나 렉사이가 뒤에서 덮치면서 빅토르의 어그로를 빼주고 나머지 딜러들이 앞쪽부터 녹였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빅토르의 어그로를 잘 빼준, 빅토르가 블라디 물었던 미드 한타때는 블라디가 빅토르 어그로를 혼자 다 받아내면서 아지르 코르키에게 빅토르의 딜 압박이 사라졌고 한타를 이길 수 있었죠. 반면에 그 이후에 계속된 한타에서는 용 앞에서 서로 대치하다가 정면으로 들어가다보니 트런들의 기둥 + 빅토르의 딜 압박때문에 아지르랑 코르키가 기둥 옆에서 가만히 서 있었고 한타를 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15/07/11 21:22
사실 요새도 쿠로가 빅토를 잡았을 때와 아닐 때가 확실히 차이를 좀 보여주거든요.
밴을 하는 게 아니면 이렇게 가져오는 게 낫습니다.
15/07/11 21:35
꿈도 희망도 없다.... 상대가 미드 이즈인데 주도권이 상대에게있어..
CC가 알리스타정도 뿐인데... 빅토르로 연계가 불가능하진 않지만서도..
15/07/11 21:51
어쨌든 롱주도 미드 원딜은 잘커서 어떻게든 이즈만 제압할 수 있으면 한타 이기는 그림도 나올 수 있어요. 방금처럼 끊어먹는 플레이를 한두번 더 만들어낼 수 있다면 금상첨화구요.
15/07/11 22:07
<순위>
1위 SK Telecom T1 12승 0패 +22 2위 KOO Tigers 9승 3패 +11 (-1) 3위 kt ROLSTER 7승 4패 +4 공동 4위 JIn AIr Green Wings 7승 5패 +3 CJ ENTUS 7승 5패 +3 ---------------------------------------------------------- 포스트 시즌 NAJIN e-mFire 7승 5패 +3 7위 Samsung GALAXY 4승 8패 -6 8위 REBELS ANARCHY 3승 9패 -9 ---------------------------------------------------------- 승강전 9위 longzhu INCREDIBLE MIRACLE 3승 9패 -13 10위 SBENU SONICBOOM 0승 11패 -19 * 이대로 끝날시 진에어, CJ, 나진 4,5위 결정전 아까 순위에서 조금 수정을 거쳤습니다. 다시 보니까 이게 상대전적을 고려하는게 맞긴 한데.. 세 팀 이상 동률시에는 한팀이 무조건 나머지 모든 다른 팀과의 상대전적에서 전부 우위를 점해야지만 앞순위를 배치해주네요. 진에어가 CJ전에서 한번 패했기 떄문에 nuri님 말씀대로 지금은 cj,나진,진에어 공동 4위로 표기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15/07/11 22:09
참 다이나믹한게 2R 시작할때만 해도 KT 롤드컵 빠빠이라고 포기하는 분들도 있었는데 어느새 3위 크크크크 중위권 순위다툼이 진짜 매경기 엎치락 뒤치락 난리통이네요
15/07/11 22:10
IM은 탑이 스베누를 제외하고는 최하위 같습니다.
엑페 선수는 최근의 탱기반의 대세픽들이 안 되는 것 같고 애플 선수는 대세픽은 가능한데 흥한 적이 기억이 나지 않네요. 탑이 캐리가 되지 않으면 원딜이 하드캐리가 가능한 픽을 진지하게 고려해야 하는데 코르키, 루시안, 시비르로는 답이 없지요. 그런 픽을 하는 팀은 완성된 팀이고 탑이나 미드가 상대를 누를 자신이 있으니 하는 겁니다. 탑과 미드가 반땅가는 것이 최선인데 이길 가능성이 있을리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