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5/03 22:24
일단 오늘 챔스시간엔 매치업이 진행되서 다들 오늘 경기는 제대로 못봤을겁니다.
그래서 역시 오늘도 매치업 얘기부터 먼저.......
13/05/03 22:26
13/05/03 22:28
우와.. 이걸 통계로 만드신 분이 계시네요
http://nicegame.tv/bbs/view.php?id=ngtv_lol_freeboard&no=131538
13/05/03 22:30
근데 매치업이 참 재밌긴한데, 개인적으로 롤챔땐 주요 중계진이라도 롤챔을 좀 봤으면 좋겠네요. 김동준해설은 나겜 리그에 예능까지 챙겨보시던데..
우리나라 롤판에서 제일 중요한 대회를 정작 예능(뭐라 할 말이 없을 정도로 재밌긴 하지만요)때문에 못보다뇨 으으
13/05/03 22:33
이럴거면 롤러와를 왜 금요일에 하나 하는 생각이드네요. 차라리 일요일에 롤챔 + NLB 한주 진행 다하고나서 하면되지.. LOL토크쇼인데 가장 큰 이슈인 롤챔스를 제대로 못다룬다는것은..
13/05/03 22:43
지금 친구들이랑 톡에서 룰 운영 병맛이라고 신나게 욕하다가 엑페 진출이네 하고 와 했다가 다시 룰 까다가 다시 엑페 이야! 하고...
13/05/03 22:44
근데 키토님께서 말씀하셨던것처럼.. 픽밴이나, 또는 위치에 유불리가 있지 않나요?? 블루냐, 퍼플이냐에 따라 또 유불리가 바뀐다고 들었는데
13/05/03 22:45
재경기는 무한 재경기의 위험이 진영간의 유불리가 있기때문에 가장 깔끔한 계산이 가능한 시간제가 좋다고 봅니다...
전체 시간으로할지 이긴경기만의 시간을 해야할지는 논의 해봐야 할 문제이긴합니다만...
13/05/03 22:50
전 가위바위보로 진영의 유불리를 판단하는건 양팀이 동점을 가지고있는 상황에서 적절지않다고 봅니다.
모두 동등한 조건이 아니라면 그냥 경기에서 주어진 데이터로 판별하는게 가장좋다고 생각합니다.. 시간제 계산은 분명히 직관적으로 계산이 가능하고 과거 NLB에서의 재미난 상황등을 표현하기 쉽다고 보거든요.. 물론 개인차가있어서 그리고 LOL챔스의 경우는 NLB와의 연계가 분명히 존재하기떄문에 시간에 쫓기게 되기떄문에 재경기는 위험요소가 너무많다고 봅니다.
13/05/03 22:54
시간제는 직관적이죠. 모든게임을 적용하느냐 아니냐만 적용하면 시간이 짧은쪽이 무조껀 이익이거든요.
계산은 아주 짧은시간에 나옵니다. 경기 시간짧게해서 이긴쪽이 무조껀 유리한 방법이죠.
13/05/03 23:00
저도 esl룰을 보완해서 쓰는 룰이 가장적합해보입니다. 진영간의 유불리가 적다면 모르겠는데...
진영마다 유불리가 분명히 존재하고 위에서도감자튀김님이 말씀하셧다시피 그 중요한걸 그냥 간단히 가위바위보라고 생각하면 지는쪽의 코치나 선수는 그경기 탈락하고나면 그냥 그업보를 너무 오래동안 지고가야하기때문에...
13/05/03 23:02
생각해보니 같은 상대를 다른 진형으로 만날 수 있는데 단판제인 NLB보단 오히려 챔스가 더 시간제룰에 적합했던것 같네요. 진형 바꿔서 한번씩이니
13/05/03 22:55
시간제가 KDA가 받는 비판을 벗어날 수 없다 / 승패에 관련성이 없다는 의견에는 동의하기 힘드네요.
룰은 복잡해도 시청자가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짧게 설명 할 수 있으니 그다지 문제가 안돼보이구요. 위에도 썼지만 방송이라는 제한때문에 롤을 재경기로 진행하기는 부담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아예 비방용으로 하면 저도 찬성이네요. 유불리가 분명한 진형을 가위바위보로 정한다는건 솔직히 좀 그러네요. 진형간 유불리는 픽밴만으로 정해지는게 아니라서 블라인드만으로는 해결이 안되구요.
13/05/03 23:01
이기는 데 시간은 관련이 없죠 20분 경기도 승리고,2시간 경기도 승리입니다.
룰은 복잡해도 시청자에게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건 KDA도 마찬가지입니다. 삘리 이기고, 늦게 져라 는 많이 죽이고 적게 죽어라랑 마찬가지죠
13/05/03 23:04
이기는데 시간은 관련이 없을지 모르겠지만 지는팀에게는 그걸 물고늘어지는 동기부여를 할수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요소가 될수있습니다. 물론 분당 KDA부분도 동기부여는 가능하겠지만 시간제에비해 덜 직관적이고 이런 문제성 있는 요소가 개입할수있는부분이죠.
적어도 시간제로 룰을 간소화 한다면 지는 팀에서도 추후 진출을 위해서 지는게임에서도 베스트게임을 이기는 팀은 짧은 시간에서 이겨내기위해 더 압박하는 플레이를 보여주겠죠.
13/05/03 23:07
그 부분은 저랑 생각이 다르시네요. 위에 키토님이 쓰신것처럼 시간제룰은 지는 팀에도 쉽게 경기를 포기하지 못하게 하는 동기부여를 하는데에 무게가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KDA랑은 다르죠. 이건 건물깨는 게임이지 킬딸치는 게임이 아니니까요.
13/05/03 22:52
무승부일시 굳이 타임어택 룰을 할거라면 굳이 재경기를 할필요까진 없겠죠.
분명히 NLB와의 연계가 되는부분이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있고 챔스본선과 NLB대회간의 패치연계부분이 떨어지는 상황이기 때문에 챔스본선에서 뛴 팀들에게 짧은시간이나마 조금이라도 더 적응의 시간을 주려면 재경기는 가혹한 조건이라 생각합니다.
13/05/03 22:51
정해졌네요.
n.Die.Guts vs LG-IM #1 LG-IM #2 vs MVP Blue Xenics Storm vs ahq Korea Chunnam Techno University vs KT Rolster A
13/05/03 23:03
1~3부 내내 건자잼은 역시 건자잼..
동수형한테 개드리퍼라고 하는 근거없는 패기부터 슬슬 짜증났는데 4부에서 카타스트로피의 여친생기는 베인 무빙과 사빌라의 생중계 트롤링으로 삼국통일을 했죠
13/05/03 23:07
트롤하는 이유조차 물음표였죠
람머스로 지 혼자 돌직구날려서 유리했던게임 날려먹고 지혼자 멘탈깨지더니 나중에는 세주아니로 지 실력이 딸리는걸 고의 트롤링으로 포장하는거보고 얘는 진짜 답없더군요
13/05/03 22:56
이걸로 KDA 관련 규정은 없어져야겠죠. 예전에 스타리그 초창기때도
임요환 선수가 점수제로 올라간 적이 있었죠(...) 그 이후론 그 제도가 사라졌고. 승자승 따지고 그거 안먹히면 그냥 듀스처럼 2점차 날때까지 진영 바꾸면서 계속 붙이면 된다고 봅니다.
13/05/03 23:01
그러고보니 스타 1이나 LOL이나 경기를 졌을경우 오래하면할수록 손해보는 제도인가요;;
스타 1은 확실히 오래하면 죽고 죽이는게 더 많아지니 깎이는 점수도 클텐데....
13/05/03 23:04
그럼 무한재경기의 가능성과 방송사정상 힘들고
시청자든 선수들이든 가장 합리적인게 타임어택이라고 봅니다 타임어택으로 인한 변수로 과거 겜빗의 올 민병대 이즈리얼의 투블써 두 따이브같은 역대급 경기도 나오는거구요
13/05/03 23:08
그럴거면 그냥 단판에 진영은 추첨으로 가는게 낫겠네요. 게임에 어떤 식으로든 제한을 두면 문제의 소지는 나올 수밖에 없다고 보는지라.
그 경기도 갬빗이 역전해서 명승부긴 하지만 만약 시간이 넘어갔으면 그 이후로는 승패가 어떻게 되든 보나마나한 상황이었을 텐데, 그런 상황을 연출해 낼 수 있는 제도 역시 정상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보거든요. 시간이나 KDA나 결국 큰 차이는 없다고 봅니다.
13/05/03 23:07
무한재경기는 롤의 경기 구조상 너무 힘이 듭니다. 위에서도 계속 논의하고있지만 진영의 유불리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뭐 가위바위보로 한다고한다면 수용은 하겠지만 불리한진영에 선택되어 지는팀과 팬들은 가슴이 쓰릴수밖에 없겠죠. 위에서도 계속 말씀드리는거지만 챔스 12강과 NLB플래티넘 8강 사이에는 아주 짧은 기간이 존재하고 패치가 확실히 버전차이가 2버전이상 차이가 나기때문에 적응문제가 아주 중요한 요소가 될수있습니다. 빠르게 결과를 정리해서 팀들에게 알려줄 필요성이 아주 절실히 필요하다는 점에서 재경기는 힘들것으로 생각 됩니다.
13/05/03 23:10
굳이 재경기를 하려면 개인적으로 다음날 스크림 할 시간에 재경기를 비방용으로 진행하는 방법도 있겠네요.
시청자가 보지 못하는데서 당락이 결정되는 상황이라 방송보단 대회 진행이 우선인 해외대회 같은데에서나 쓸 수 있겠지만..
13/05/03 23:21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653&l=3847527
나겜 게시판의 글에 의하면 100초당 kda로 계산하면 온겜이 발표한 수치가 나온다는군요 ㅡㅡ.....
13/05/03 23:22
ahq 낚시 아니네요 진짜네요;;
http://gall.dcinside.com/list.php?id=leagueoflegends1&no=1930431&page=1&bbs= http://nicegame.tv/bbs/view.php?id=ngtv_lol_freeboard&page=1&sn1=&divpage=26&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no=131656 디시랑 나겜 스샷찾아보니 두개가 다른거보면 진짜 맞는거 같네요.
13/05/03 23:31
로레이 부모님까지 올라오셔서 응원 하셧던것같은데... 스폰철회 소식을 아셧을지....
한국팀 선수들은 해외팀스폰이랑 얽혀서 좋은꼴을 못보네요. 워3 때도 상금먹고 튄 해외스폰서 엄청많았는데... 하아...
13/05/03 23:32
한국팀 선수들 뿐만 아니라 해외 이스포츠 커뮤니티 기웃대다 보면 심심하면 상금먹고 튄 스폰들 봅니다 해외선수들도 그런 악질 스폰들 많이 겪어봤고 꼭 피해야 한다고 프로지망자들에게 어드바이스하고요
13/05/03 23:32
이거 이러면 거의 AHQ 사기 아닌가요?
한국을 호구로 보거나 아니면 갑작스럽게 본사가 망하는 상황정도가 아니고서야 1시즌도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 팀을 해체한다는건 선수들을 농락하는거죠. 이거 이대로 그냥 끝낼게 아니라 협회에서도 뭔가 나서서 문제를 제기해야 할거 같은데요 ;;
13/05/03 23:33
지금 대만 ahq팀이 멀쩡하게 가레나 출전하고 있는데 본사가 망했을 리가요 크크크
그런데 롤 선수들은 케스파 소속 선수들이 아니지 않나요?
13/05/03 23:35
케스파가 자신들이 프로리그협회가 아니란걸 증명할려면 다른종목 선수들의
권익을 위해서 나서주면 좋을거 같아서요 ;; 그냥 희망사항입니다. 게네들이 스타2 협회선수 아니면 신경이나 쓰겠나요...
13/05/03 23:39
AHQ 선수들 숙소 인터뷰 나온게 불과 2달 전이었는데....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54154&iskin=esports 연형모 "프로게이머를 바라보는 시선이 한국과는 다르다는 것이 느껴져요. 아직 저희가 보여준 것이 없는 신생팀인데도 대우면에서는 이미 다른 팀과 비슷한 수준으로 받고 있어요." 이걸보니까 거의 황당한 수준인데요;;
13/05/03 23:47
어제 1부에서 람머스했던 savila 라는 유져가 세주아니로 대놓고 고의 트롤링했습니다. 덕분에 챌린저 승급전 마지막판 유리한겜을 졌죠
13/05/04 00:02
http://nicegame.tv/bbs/view.php?id=ngtv_lol_freeboard&no=130905
사빌라가 겜에서 계속던지니까 그걸보고 동수형이 저분만 안던지면 충분히 이길수있다 왜 자꾸 던지냐고 방송중에 언급하니까 사빌라도 아프리카 방송중이였는데 그 얘기를듣고 동수형을 비롯한 해설진들 전체를 까는 말을하고 다른게임에서 저격해서 건자형이랑 같은편이되자 대놓고 트롤링에 앞에선 뭐라못하고 뒤에서 무한 해설디스 시전했죠 덕분에 새벽에 인벤 나겜 롤갤 삼국통일이 되었습니다
13/05/04 00:06
어제 건자잼 4부는 레알 역대급 방송이였어요
사빌라도 사빌라인데 그건 제쳐두고 카타스트로피가 베인으로 여자들이좋아하는 무빙이 후덜덜했습니다 은교에서 한번 불러줬으면좋겠어요 사빌라 카타스트로피 둘다 크크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