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3/04/09 17:59
GSL 코드A 영어 중계진인 Khaldor가 자신의 개인 방송에서 이번 예선전을 중계합니다.
http://www.gomtv.net/forum/view.gom?topicid=300592
13/04/09 18:17
여담이지만 케이블이 크긴 큰것 같아요. 어제 헬스하는데 무려 러닝머신 절반이 LG 시네마 스타2 이벤트전 틀어놓고 있더군요. 좀 놀랬네요. 만날 john망겜소리듣다가 아니 이게 무슨 조화요 의사양반..?
13/04/09 18:26
역시 장민철 선수답네요. 병력이 안 지키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 탐사정으로 피해 주는 것도 참 신기합니다.(물론 신재욱 선수 반응도 별로이긴 했습니다.)
13/04/09 18:27
이건 탐사정 몰살 수준의 견제네요. 신재욱 선수는 우주관문 가리라 전혀 생각을 못 했나 본데요. 이러면 제2확장 간다고 좋은게 아니죠.
13/04/09 18:30
이건 탐사정 피해가 너무 심각한데요. 교전으로 이득 못 가져가면 답 없는 상황인 듯합니다. 그래도 사이오닉 폭풍 판단이 적절해서 탐사정 역전했네요. 거기다가 불사조까지 다 처리한 것도 매우 좋은 부분입니다.
13/04/09 18:33
폭풍함 추가해주는 장민철 선수고, 신재욱 선수가 고위 기사 다수를 갖추고는 있는데, 폭풍함 추가되면 서서히 압박당할 가능성이 높거든요.
13/04/09 18:35
지금도 먹는 자원에 비해서 병력이 너무 적습니다. 광물이 아직도 천 단위로 남죠. 인구수는 200 근처도 아닌데요. 오히려 장민철 선수가 200을 채우고 소모전 강요하면 자원 축적량에서 신재욱 선수가 유리할게 없죠.
13/04/09 18:40
우주모함의 단점은 상대가 방업을 할수록 우주모함의 DPS가 확 깍인다는 점이죠.
그 외에도 사거리 문제가 있고, 일단 신재욱 선수가 고위기사와 집정관 체제라 우주쓰레기는 말그대로 쓰레기였습니다.
13/04/09 18:39
신재욱 선수 경기력이 생각 이상으로 좋네요. 이번 경기는 사실상 전술 단위에서 그 교전을 압승한 이상, 답 없는 교전이었죠. 그렇게 완패하리라고 장민철 선수도 생각하지 못 했을 겁니다. 제련소 연구가 밀렸고, 인공 제어소 연구도 불리한건 맞지만, 붉은 도시란 맵 특성상 좁은 길목에서 전면전은 여전히 장민철 선수가 나쁘지 않았거든요.
13/04/09 18:47
프로리그 1라운드에 연패를 하고 2라운드에 출전 안하고 3라운드에 연승을 했었지요. 5할이지만 최근 성적은 프로리그 연승중입니다. 그리고 그 시기 즈음에 코드 A 부터 승격강등전 분위기도 좋았구요
13/04/09 18:53
승격 강등전의 내용은 그리 좋지 않았고, 특히 하락세가 너무 심했던 헉 선수에게 졌던 경기가 있었죠. 코드 A도 그렇게까지 특출난 프로토스전이라고 보기 어려웠고요. 그 다음에도 승률이 좋았지만, 딱히 프로토스전만큼은 좋다 말하기 애매했습니다. 더군다나 그건 자유의 날개 이야기였고요.
프로리그의 경우에도 잘 기억은 안 나는데, 프로토스전은 없던가, 1전이던가 그랬을 겁니다.
13/04/09 18:46
김정민 해설 말씀대로 미리 지어놓은 전진 수정탑에서 광전사 정도 뽑아내서 탐사정 잡아내야 숨통이 트이는 정도지, 지금 앞마당 지역 점령하는 것도 버거워요.
13/04/09 18:47
장민철 선수가 스타리그 8강에서는 불리한 상황에서도 한방교전으로 역전을 이뤄낸적이 있는데, 지금은 상황이 워낙 안좋아서 그런 기적이 일어나기는 힘들거 같네요.
13/04/09 18:50
환상 기본은 동족전에서 재미없게 만드네요 변수를 없애는 듯해서 짜증나고 저그전은 뭐 그냥 사기고요 말그대로 토스 유일한 약점이 모르면 정말 막기 어렵다인데 그것 자체를 없애니까 강한 종족이 될 수 밖에 없는 건데..
13/04/09 18:53
제 생각도..환상 기본은 없애야 되지 않을까요? 모선핵으로 초반 관찰가능하고 중후반은 관측선이 있는데..거기다 환상까지;;;
너무 토스에게 정찰 유닛을 많이 주는것 같아요...;;
13/04/09 18:53
프로토스 스킬은 뭐하나 단점들이 거의 없어 보이네요. 게다가 정찰 능력은 거의 최고인듯..초반 피해만 없다면 맞춰가기도 편하고..
13/04/09 18:58
단순히 정찰 용도론 불사조가 스피드가 빠르기 때문에 불사조로 주로 합니다만 유닛 속임수를 이용할 때는 거신, 예언자가 종종 쓰입니다.
13/04/09 18:57
엄전김 SE 역시 괜찮은데요? 크크 저번 군심 출시 행사때도 느꼈지만, 디테일한 부분은 해변킴이 잡아주고 순간순간의 포장과 감동은 엄옹이 선사해주는 것이 참 좋네요~
13/04/09 18:59
신재욱 선수는 자기가 주도권을 상실한 상황에서 대처가 나쁘지 않았고, 오히려 자신만만하게 이어나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는데 비해서, 장민철 선수는 2경기는 정말 시종일관 밀린 경기였네요.
13/04/09 19:00
곰티비에 오픈시즌부터 아쉬운게 있었는데 다름아닌 cg예요. 롤때문에 나이스게임티비를 봤을때 충격이었던게 인터넷 방송인데도 규모가 큰 곰티비보다 훨씬 깔끔한 cg 였습니다. 곰티비는 아직도 cg가 변화가 없네요.
13/04/09 19:05
그런가요? 자막실수가 나와서 그렇지..
초반에 좀 까이다가 갑자기 CG퀄이 확 올가서.. 요즘엔 곰티비가 더 잘하지 않나요? 무대, 오프닝 연출은 확실히 온겜이 좋습니다만..
13/04/09 19:10
네.. 당연히 그런 CG도 같이 말한거구요..
오픈시즌 당시 업적점수 등 시행착오를 많이 거치긴 했습니다만 지금은 딱히 나쁘다곤 생각 안 합니다. 되려 온겜이 훨씬 투박했고, 여러가지 그런 화면UI에서도 변화도 많았다고 봅니다.
13/04/09 19:00
목요일 중계진도 좋긴 했는데 너무 차분한 감이 있어서 살짝 별로 였는데, 현장중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긴장감있게 그리고 흥분해서 중계해주는 엄전김 SE 멋집니다!
13/04/09 19:08
용산 옵 컴퓨터가 맵 랜더링에 문제가 좀 있네요.
그리고 이제서야 느껴지는 WCS의 단점이 타 방송사에서는 대회 주관 스폰서가 언급이 안된다는 점이네요. 이렇게 장기적으로 가면 스폰서 구하는데 문제가 생길 것 같은데요.
13/04/09 19:17
사실 저정도로 업글을 안하면 까먹었다기보다는 박수호 나름의 대처법이라고 보는게 옳지 않을까요? 자날 때부터 박수호는 업그레이드를 잘 안 눌렀으니...
업글을 미루고 1업 뮤링링에서 물량을 쏟아내서 어떻게든 피해를 주겠다는 전략이었던 것 같은데, 최병현이 너무 잘한 것 같아요. 뭐 박수호 머리 속은 아무도 모르는 거겠지만요 크크
13/04/09 19:16
브루드워부터 군심까지 제일 꿀재미는 테저전 같네요
브루드워는 막판에 레메때문에 좀 지루해졌지만 퀸을 발견하면서 다시 재밌어진것같고....
13/04/09 19:20
박수호식 운영의 핵심은 뮤탈리스크를 보존하는거네요. 저글링을 계속 소모하더라도 의료선을 소모시키는게 핵심인 것 같습니다. 아무리 그래도 의료선 방어 연구 누르는 테란은 없으니까요.
13/04/09 19:24
저테전은 봐도 잘 모르겠네요. 최병현 선수 거의 지는 것 같았는데, 막판 의료선 견제 성공하면서 박수호 선수의 gg라니... 저는 공성전차가 보고 싶습니다. 이런 스타일의 교전도 좋지만, 너무 견제만 강제되고 이런 양상만 계속 된다면 금방 질리지 않을까요. 그런 생각이 드네요...
13/04/09 19:26
보통 박수호선수처럼 22업 번식지 저그는 22업까지 눌렀다고 생각한 이후엔 아예 진화장을 안보는 선수가 많아서
아예 몰랐던듯 하네요. 보통 테란보다 조금 더 빠르게 22업 눌러서 이득보는 식으로 하는건데..
13/04/09 19:25
보기엔 멋진 경기였지만 어찌보면 저그가 비효율적인 싸움을 한거였죠.
자날 저그가 강했던 이유가 진균으로 상대를 묶고 데미지 주고 결국 무리군주와 감테 공짜 유닛을 쓰는, 초중반에 소모되는 저글링을 후반에 보상 받을 수 있었었죠. 근데 현재 군심 저그는 초중반때 (군심 추가 요소들로 자날보다 더)소모했던 저글링과 맹독충을 보상 받을 수가 없습니다. 오히러 후반으로 가면 소모속도가 더 심해지죠. 지금 게임과 같이요. 이건 저그 선수들이 깊이 고민해봐야 할 문제 같습니다.
13/04/09 19:27
개인적으로는 테프전을 가장 기대하지만, 이러니저러니 해도 스타크래프트는 저그 대 테란전이 제일 몰입도가 높은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만 테란의 혼이었던 탱크가 자취를 감춰버린게 아쉽긴합니다. 저부터도 래더에서 이제 탱크는 안쓰게되더라구요. 지뢰가 일종의 보급형 탱크가 됐어요. 탱크는 테테전 말고는 뽑을 여지가 없게 되버린것 같습니다.
|
||||||||||


